뿌리를 찾아서(121)
-
봉성 金輪峰(금륜봉) 과 돌 거북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봉성리 386-1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비지정문화재 [鳳棲樓(봉서루) 와 頌德碑(송덕비) 전경] 鳳棲樓(봉서루)는 새로운 게시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곳에서는 생략.. [頌德碑閣(송덕비각) 전경] 頌德碑閣(송덕비각) 안에는 '縣監趙公東益永世不忘碑(현감조공동익영세불망비)'라 새겨진 쇠로 부어 만든 頌德碑(송덕비)가 있다. [縣監趙公東益永世不忘碑(현감조공동익영세불망비)] [봉성 금륜봉 과 돌 거북. 송덕비각. 봉서루 전경] 돌 거북 뒤쪽으로 송덕비각과 봉서루가 함께 나란히 붙어 있다. 봉화군 봉성면은 유서 깊은 옛 봉화 고을(縣)의 소재지로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古斯馬縣(고사마현)에 속했으며, 신라의 경덕왕 때에는 玉馬縣(옥마현), 고려 현종 때에는 鳳城縣(봉성현), ..
2015.12.22 -
傳 弘儒侯 薛聰墓(전 홍유후 설총묘)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423 경상북도 기념물 130호 [입구쪽에서 담은 설총 묘 전경] 보문동 진평왕릉 동쪽 마을내에 있는 묘. 신라 중대 문장가의 한사람인 薛聰(설총)의 무덤이라 전해내려오고 있다. [설총 묘 입구와 안내판] [안내판 글 내용] [설총 묘 전경] 설총은 경전을 우리말로 해석한 한국 儒學(유학)의 할아버지, 또는 신라 역사상 가장 뛰어난 열 사람을 가리키는 '신라 十賢(십 현)' 가운데 한 분으로 일컬어진다. * 儒學(유학) : 공자의 사상을 근본으로 하는 유교의 학문 [薛聰(설총) 묘] 설총은 신라 경덕왕때의 대학자로서, 그의 아버지는 원효대사(617-686)이다. 원효와 설총 두 父子(부자)는 한민족의 정신사에 큰 족적을 남기신 분들이다. 신라 10현 중 한 사람으로 향찰..
2015.12.18 -
통영 박경리 공원과 묘소
소재지 :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신전리 [박경리기념관 현판] [박경리 기념관 전경] 박경리 기념관 앞 주차장에 주차를 한 후 제일 먼저 차에서 내렸다. 마음은 바쁘고 들려볼 곳은 많고... 우선 옆쪽에 있는 안내판 부터 디카로 담기 시작했다. [통영시 관광안내도] [통영팔경 안내판] [박경리공원 안내도 [건물 아래쪽의 출입구] [안내팻말] [기념관과 묘소 가는 길] [기념관 앞 정원과 박경리 소설 碑(비) 전경] 박경리 공원과 묘소로 가는 나무계단을 오르기 전 뒤돌아 담아 본 박경리 기념관 전경 [박경리 기념관 전경] 기념관은 공원과 묘소를 들려본 후 내려오며 들리기로 하고 우선 공원과 묘소로 향했다. [묘소가는 계단] 정원과 기념관 정원에 세워놓은 碑(비)를 담느라 머뭇거린 동안 벌써 앞장 선 친구가..
2015.12.16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神武王陵,(신무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동방동 660 사적 185호 [신무왕릉 출입문 전경] 능 주변은 담장이 쳐 있고 담과 담 사이 작은 철문이 있었다. 다행히 문은 잠겨있지 않아 열고 들어갈 수가 있어 좋았다. [안내판 글 내용] [철문을 들어서자 곧장 멀리 보이는 神武王陵,(신무왕릉) 전경] 흥덕왕의 이름은 金祐徵(김우징). 아버지는 상대등 均貞(균정)이며, 제43대 희강왕의 從弟(종제)이다. 어머니는 眞矯夫人(진교부인) 박씨이고, 비는 眞從夫人(진종부인)이다. [줌으로 당겨 담은 神武王陵,(신무왕릉) 전경] 흥덕왕 3년(828) 大阿飡(대아찬)으로 侍中(시중)에 임명되었다. 831년 면직된 뒤 834년 다시 시중이 되었으나, 이듬해 아버지가 상대등에 임명되자 사임했다. 836년 흥덕왕이 돌아가신 뒤, 아버지인..
2015.12.14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祇摩王陵(지마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30 사적 제 221호 [지마왕릉 입구와 안내판 전경] 鮑石亭(포석정)에는 여러차례 들려보았기에... 포석정주차장에서 곧장 우측으로 난 지마왕릉으로 향했다. [안내판 글 내용] [祇摩王陵(지마왕릉) 전경] 입구의 계단을 오르면 사방이 소나무로 둘려져 있는 신라 제6대 祇摩尼師金(지마이사금)의 릉인 지마왕릉이 보인다. [정면에서 담은 祇摩王陵(지마왕릉)] 일명 祇味尼師今(지미이사금)이라고도 하며, 破娑尼師金(파사이사금)의 아들이다. 姓(성)은 경애왕이나 삼릉의 주인공과 함께 朴氏王(박씨왕)이다. [祇摩王陵(지마왕릉)] 圓形封土墳(원형봉토분)으로 봉분만 남아 있을 뿐 다른 시설물은 보이지 않는다. [지마왕 陵碑(릉비)] 무덤의 위치와 규모 및 형태로 보아 신라 초기에 만든..
2015.12.12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神文王陵(신문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453-1 사적 제 181호 [왕릉의 삼문 弘禮門(홍례문) 전경] [弘禮門(홍례문)과 안내판 전경] [신문왕릉 안내판 글 내용] [열린 삼문에서 담은 신문왕릉] [정면에서 담은 神文王陵(신문왕릉) 전경] 神文王(신문왕)의 이름은 政明(정명), 또는 明之(명지)이며, 자는 日炤(일초). 부왕인 문무왕을 위해 '感恩寺(감은사)'란 절을 세우기도 한 왕이다. 어머니는 慈儀王后(자의왕후), 비는 神穆王后(신목왕후)이다. [우측에서 담은 神文王陵(신문왕릉) 전경] 왕릉 앞 소나무가 왕릉을 향해 절을 하듯 고개를 숙이고 있는 모습이 신기해 보였다. [릉앞 상석] 지방 행정 제도를 정비하여 전국을 9주로 나누고 국학을 설치하여 학문을 장려하였다. 봉성사와 망덕사같은 대사찰을 창건하여..
2015.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