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121)
-
護國地臧寺(호국지장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호국지장사 입구쪽 전경] 호국지장사는 원래 통일 신라말 도선국사가 창건한 葛弓寺(갈궁사)가 그 시초이며, 이후 昌嬪 安氏(창빈 안씨)의 원찰로 지정되어 華藏寺(화장사)로 이름을 고쳤으며, 1983년에는 국립묘지에 안치된 호국영령들이 지장보살의 원력으로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뜻에서 護國地藏寺(호국지장사)로 바꾸게 된 것이라 한다. [護國地臧寺(호국지장사) 표석비] [오르는 길 좌편에 자리한 보호수] [안내팻말 글 내용] [護國地臧寺(호국지장사) 전경] 지장사가 자리한 이곳은 일찍이 이승만 대통령이 들렀다가 "만일 이곳에 절이 없었다면 내가 묻히고 싶은 땅"이라고 했다는 일화가 전할만큼 좋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護國地臧寺(호국지장사) 전경] 호국지장사의 건물..
2015.11.20 -
김대중 대통령 묘소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 2동 [도로변에서 담은 김대중대통령 묘소 전경] 위 묘소쪽을 보니, 어디서 오셨는지 단체로 묘소를 방문하려 오신듯... [도로옆에 세워놓은 김대중 대통령 묘소 표석] 한 무리의 사람들이 다녀간 후 들려볼까하고 잠시 아랫쪽에서 기다렸다. [묘석 뒤쪽으로 난 묘소에 이르는 길] 아버지와 아들 같으신데... 큰소리로 말씀을 하셔서 엿듣게 되었다. "방금 누구의 묘를 보고 왔지?" "김대중 대통령" "뭐라고?? 김대중 대통령이 뭐야, 김대중 대통령님 해야지" 하며 목청을 높이네요. 평소에 무척 김대중 대통령을 따르셨던 분이셨나봅니다. [묘소 가는 길] 단체로 들리신 사람들이 다 빠져나간 길을 걸어 묘소로 향했다. [좌측에서 담은 김대중 대통령 묘소 전경] 1924년 전라남도 목..
2015.11.19 -
대능원 천마총과 新羅味鄒王陵(신라미추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大陵苑(대릉원) 삼문 전경] [경주시 관광 안내도] [경주 황남리 고분군 안내판 글 내용] 2000년에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경주역사유적지구 5곳 가운데 하나이다. 별도로 대릉원지구로 부른다. 대릉원이란 이름은 '味鄒王(미추왕)을 大陵(대릉 :竹長陵)에 장사지냈다'는 '三國史記(삼국사기)'의 기록에서 딴 것이라한다. [미추왕릉과 천마총 가는 길] 대릉원은 경북 경주시 황남동에 자리한 신라의 고분군으로 경주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고분군이다. 20여 기의 능이 밀집되어 있는 곳으로 미추왕릉, 황남대총 등이 있으며, 내부를 공개해 유명해진 천마총도 이곳에 있다. 천마총은 아직도 누구의 무덤인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5세기 말에서..
2015.11.18 -
朴正熙(박정희) 대통령 묘소
올해로 서거 36주기를 맞이하신 박정희 전 대통령 묘역에도 참배를 하고, 또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서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듯 다녔지만, 동작동 국립묘지에는 들려보지 않아 마음 한구석 늘 찜찜하게 생각하였는데, 마침 서울 사는 아들 딸 집을 방문하게되어 돌아오는 길에 아침을 먹고 서둘러 동작동 국립묘지로 향하였다. [박정희 대통령 묘역 오르는 계단 전경] 참배하려 오르시는 분들의 모습이 간간히 보인다. [묘소 안내표석] [묘역으로 오르는 돌 계단] 1917년 11월 14일, 경북 구미시에서 태어나셨으며, 1979년 10월 26일일 서거하셨다. [계단 아래쪽에서 담은 대통령 묘소 전경] 朴正熙(박정희,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대, 6대, 7대, 8대, 9대 대통..
2015.11.17 -
順天金氏 始祖(순천김씨 시조) 金摠(김총) 영당과 墓(묘)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주암리 산 32 전남민속자료 제27호 [순천김씨 시조 사적지 표시석과 안내표시석 전경] 당일치기로 다녀오기 위해 새벽 일찍 집에서 출발 고속도로를 경유하며, 시골길을 달려 도착한 시간이 너무 일렀을까? 짙게 낀 안개가 아직도 걷히지 않고 신비스럽게 사적지를 덮고 있었다. [성황신 김총 영정 안내석 글 내용] [성황신 김총 영정 안내석 영문 글 내용] [사당과 재실 전경] 사적지 표시석을 지나 우선 적당한 곳에 주차를 하고, 디카를 꺼내들었다. 담은 사진은 이렇게 뿌옇게 안개가 낀 새벽 기온이 촉촉하게 온 몸을 감싸는듯 하다. [순천김씨사적지연혁비와 공덕비] 사당 옆 터에 세워놓은 순천김씨사적지연혁비와 공덕비이다. [동원재 외삼문 전경] [崇尙門(숭상문) 현판] [재실 삼..
2015.10.28 -
신채호선생 사당및 묘소
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신채호선생님을 모신 사당] 20세에 성균관박사가 되었으며, 황성신문의 기자로 논설을 쓰며 을사조약 체결을 단호히 배격하였고, 대한매일신보에 초빙되어 주필로서 국권회복, 민족의식 고취에 공헌하였다. 28세 무렵에 이동녕·안창호 선생 등과 함께 항일비밀결사인 신민회를 조직하였으며, 1910년 해외에 망명한 후 본격적으로 국사 연구에 힘써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등의 저서를 집필하였다. [안내판 글 내용] [사당앞에 있는 간단한 선생님의 약력을 적은 비문] 1919년 상해임시정부수립 후에는 의정원 전원위원장으로 독립운동에 힘을 기울였고, 1929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旅順(여순)감옥에서 복역하던 중 순국하였다. 뒤늦게 정부에서는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
2015.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