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121)
-
강원도 영월 莊陵(장릉)
소재지 : 강원도 영월읍 영흥리 산 131-1외 10 사적 제196호 [안쪽에서 담은 정문 전경] 영월은 어딜 가나 단종의 고혼과 충신들의 넋이 발길 닿는 곳마다 서리지 않은 곳이 없다. 단종의 유배지인 청령포와 사약을 받고 승하한 관풍헌,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시를 남겼던 자규루, 마지막 자리인 단종이 묻힌 장릉 그의 능까지 왔다. [장릉 안내판 글 내용] [朴忠元旌閭閣(박충원정여각)] 영월 장릉 경내 입구에 들어서면 맨 처음 오른쪽으로 보이는 것이 바로 낙촌비각이다. 영월군수이던 낙촌 박충원이 노산묘를 찾은 일에 대한 사연을 기록한 기적비각이다. 이 비각은 박충원의 충신됨을 후세에 널리 알리기 위하여 1972년에 세운 것이다. 충신 박충원은 중종26년(1531) 文科(문과)에 급제하여 文景公(문경공..
2015.12.10 -
동작동 국립묘지의 주인 창빈안씨 묘역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2동 [창빈안씨 묘역 안내팻말] [묘역으로 가는 길] [정면에서 담은 神道碑(신도비) 전경] 창빈안씨 神道碑(신도비)는 비석은 1683년에 세워진 것으로 높이가 3m이다. 龜趺(귀부)와 ?首(이수)를 갖춘 다른 신도비와는 완전 차원이 다른 모습으로 네모난 바닥돌 위에 基壇石(기단석)을 얹고, 그 위에 곧게 솟은 사각형 碑身(비신)을 심어 창빈의 일대기를 적었다. 비석 꼭대기는 지붕돌로 마무리했는데, 귀퉁이 추녀가 얕게 들려져 있다. [좌측에서 담은 神道碑(신도비) 전경] [뒤에서 담은 神道碑(신도비) 전경] [우측에서 담은 神道碑(신도비) 전경] [묘역으로 오르는 길 2] 조선 11대 왕인 中宗(중종)의 후궁이자 선조의 할머니인 창빈 안씨(1499~1549년)의 묘소다. ..
2015.12.02 -
원천석 묘역
소재지 : 강원도 원주시 행구동 산37 강원도 기념물 제75호 [주차장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사당으로 가는 길] [묘역으로 오르는 탐방로] 묘역으로 오르는 1번 탐방로 길을 택하여 걸음을 옮겼다. 산책길 양쪽으로 세워놓은 운곡 원천석 선생과 관계된 그림과 안내글을 읽으며... [운곡 원천석 선생 묘역 안내도] [탐방로 길 전경] [탐방로 길 전경 2] 양쪽에 세워놓은 운곡 선생과 관계된 사연들은 따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탐방로 길 전경 3] [묘역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아래쪽에서 담은 운곡 선생의 묘역 전경] 본관은 원주(原州), 자 子正(자정), 호 耘谷(운곡) 原州(원주) 元氏(원씨)의 中始祖(중시조)이다. 고려말 조선초의 隱士(은사)로 널리 알려졌으며, 특히 '靑丘永..
2015.11.26 -
윤보선 대통령 묘소
소재지 : 충청남도 아산시 동천리 2구 [碑閣(비각) 전경] [國泰民安(국태민안) 현판] [敬天孝親(경천효친) 현판] [碑閣(비각)과 碑(비)] 윤보선 대통령 묘소 입구 공터 안쪽으로 碑閣(비각)이 세워져 있었다. 비각에는 敬天孝親(경천효친) 國泰民安(국태민안)이란 편액이 걸려있으며, 비각안에는 윤대통령 역대 조상님들의 공적비 등이 모셔져 있다. [안내판과 묘소 오르는 계단] [안내판 글 내용] 가족 묘소는 이 비각의 오른쪽에 돌계단이 있는데 그곳을 따라 계속 올라가면 가족묘 맨 윗쪽에 윤보선 대통령의 묘소가 있다. 돌계단이 제법 길어요. 따라 올라보셔요. 가도 가도 계단으로 이어지는듯... 그러나 이 계단 끝에는 묘역이 보일듯... [해평 윤공 瀅善(형선) 지묘] 처음으로 만난 가족 묘(윤대통령의 막내..
2015.11.25 -
최규하 대통령 묘소
소재지 :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 1동 [국가원수 묘역 팻말] [최규하 대통령 묘소 전경] 崔圭夏(최규하, 1919~ 2006) 본관은 江陵(강릉). 대한민국의 제10대 대통령이시며, 제4공화국의 2번째 대통령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국무총리 출신 대통령이었다.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가운데 영어를 가장 능통하게 구사한 인물은 이승만 대통령 다음으로 최규하 대통령이 꼽힌다 합니다. [묘소 앞에서...] 우선 참배부터 드린 후... 주변을 살펴보며 디카에 담기 시작하였다. [우측에서 담은 최규하 대통령 묘소 전경] 대한민국 헌정 사상 대통령 직위가 최단명으로 끝난 비운의 대통령 최규하 전 대통령이 부인 홍 기 여사와 함께 국립대전현충원 국가 원수 묘역에 안치되셨다. [좌측에서 담은 최규하 대통령 묘소 전경] [..
2015.11.24 -
독립운동가이며, 시인인 한용운선생 생가지를 찾아서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기념물 제 75호 [生家址(생가지) 안내판] [生家址(생가지) 안내글] [만해 체험관] 늦은 시간 도착하여 체험관엔 들리지 못하고 건물만 사진으로 담아 올려봅니다. [체험관 앞 만해선생 동상] [生家址(생가지) 전경] 주차장에 차를 세워놓고 생가지를 향하여 발길을 옮겼다. [관리소] 생가지로 들어가는 왼쪽에 세워져있다. [卍海 韓龍雲(만해 한용운)선생 생가지] 승려이며 詩人(시인)인 韓龍雲(한용운, 1879∼1944)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獨立運動家(독립운동가)로도 활동했으며 호는 卍海(만해)이다. 6세부터 성곡리 서당골에서 한학을 배워 9세에 문리를 통달, 신동소리를 들으며 자랐다. 26세에 강원도 백담사에 들어가 불문에 입도. 삼일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2015.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