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121)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善德女王陵(선덕여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산 79-2 사적 제 182호 [입구쪽 안내 팻말과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선덕여왕 표석비] 신라 제27대 善德女王(선덕여왕, 재위 632-647)은 본명이 德曼(덕만)이며 眞平王(진평왕)과 어머니 摩耶夫人(마야부인)의 딸로 신라 최초의 여왕이다.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和白會議(화백회의)에서 그를 왕위에 추대하고 聖祖皇姑(성조황고)란 호를 올렸으니 그 해가 바로 당 태종 6년이다. [솔숲 사이로 보이는 선덕여왕릉 전경] 재위기간에는 唐(당)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내정에 힘썼다. 634년에 年號(연호)를 仁平(인평)으로 고쳤다. 慈藏法師(자장법사)의 청에 의해 645년에 龍寺九層塔( 황룡사구층탑)을 세우고, 芬皇寺(분황사)와 瞻星臺(첨성대)를 건립하..
2016.01.28 -
백범 김구선생 은거기념비와 의사 박공문용 기적비
소재지 :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삼정리(쇠실 휴게소 내) [백범 김구선생 은거추모비 전경] 해남 답사길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잠시 쉬어가려 들린 쇠실휴게실. 그곳에서 우측으로 얕든 언덕에 세워놓은 백범 김구선생 은거비와 의사 박공문용 기적비를 만났다. [안내판 내용] 그냥 지나칠 수 없지요. 예전같으면 아마 그냥 지나쳤을지도... [좌측에서 담은 백범 김구선생 은거비 전경] 김구선생이 1898년 5월 하순 경부터 40여일간 쇠실마을에서 머물렀던 것을 기념하여 세운 추모비이다. [의사 박공문용 기적비와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의사 박문용 기적비(좌)와 백범 김구 은거비(우)] 의사 박문용은 1882년 1월 15일 보성군 겸백면 사곡리 10번지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9세 되던 ..
2016.01.18 -
崔瑩 將軍 墓(최영 장군 묘)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산70-2 경기도 기념물 제23호 [崔瑩將軍 墓(최영장군 묘)로 가는 길] 高麗(고려) 末期(말기)의 名將(명장)이며 충신인 崔瑩(최영, 1316∼1388) 本貫(본관) 昌原(창원) 諡號(시호) 武愍(무민). 장군은 忠肅王(충숙왕 3년, 1316) 사헌규정 元直(원직)의 아들로 동주(鐵原, 철원)에서 태어나 護軍(호군), 大護軍(대호군)을 거쳐 찬성사, 팔도도통사, 門下侍中(문하시중)등을 역임하였다. 鴻山大捷(홍산대첩)에서 왜구를 섬멸한 것을 비롯하여 수십차에 걸쳐 왜구를 무찌르고 국내의 대소 반란 토벌 등 80여 회나 출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 恭愍王(공민왕 4년, 1355)에는 元(원)나라에 속했던 압록강 서쪽의 八站(8참)을 수복하기도 하였다. 원나라의 횡포와..
2016.01.16 -
沖齋(충재) 權벌(권벌) 묘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神道碑閣(신도비각)] 추원재에서 바라본 신도비와 묘역 오르는 계단 [神道碑(신도비]] 신도비명은 특이하게도 두 기가 써 있다. 원래는 사후 20년이 되던 1568년(선조1)에 좌의정에 추증 되었을 때 사암 박순이 지었으나, 선조24년(1591)에 재차 광국원종공신 1등에 녹훈되어 영의정으로 증직되자 우복 정경세가 다시 지은 때문이라 한다. [神道碑文(신도비문)] [沖齋(충재) 權벌(권벌) 묘] 單墳(단분)으로 정경부인 화순 최씨와 합장이다. 묘갈에는 '忠定公沖齋權先生之墓(충정공충재권선생지묘)'라 쓰여 있다. 본관은 安東(안동). 자 仲虛(중허), 호 ?齋(충재). 萱亭(훤정). 松亭(송정). 할아버지는 副護軍(부호군) 琨(곤)이고, 아버지는 성균생원 증영의정 士..
2016.01.09 -
고산 윤선도 유적지 어초은 사당과 묘소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漁樵隱(어초은) 사당] 尹孝貞(윤효정, 1476~1543) 선생의 자는 希參(희참) 호는 漁樵隱(어초은)이다. 金宗直(김종직)선생의 문하인 錦南 崔溥(금남 최부)선생과 幽齊 林遇利(유제 림우리), 城隱 柳桂隣(성은 류계린)의 가르침을 받아 학문을 다지신 성리학자로서 퇴계선생(1501년)보다는 25년 율곡선생(1536년)보다는 60년 먼저 태어나신 분이며 학문이 뛰어나 해남향인들의 마음을 크게 열어 밝게 가르치게 하여주었다. [안내판 글 내용] [漁樵隱(어초은) 사당 전경] 이곳은 입향조인 어초은공과 불천지위인 윤고산의 사당을 따로 지었다. 그리고 집안 동쪽에 사대조를 받드는 안사당이 있다. 현존 5대 봉사를 하고 있는 안사당은 순종21년(1821)에 세웠으며 그..
2016.01.07 -
月亭(월정) 孝婦閣(효부각)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월정리 향토문화유적 [月亭(월정) 孝婦閣(효부각) 전경] 답사가는 길에 우연히 길가에 세워져 있는 낡은 효부각이 눈에 띄었다. 잠시 쉬어가기로 하고 근처에 주차한 후에 디카를 들고 효부각으로 향했다. 자세한 내용은 안내판의 글로 대신합니다. 아래에 올렸으니, 읽어보셔요. [월정 효부각 안내판] [月亭(월정) 孝婦閣(효부각)] 지극한 정성은 하늘도 통하는것 같다. 하늘도 땅도 짐승들까지도 도움을 주는것을 보면.... 어릴적 할머니에게 들었던 얘기들도 언제나 착하고 선하게 살면 복을 받는다는 얘기 부인의 효행을 안내판의 글로 읽으며... 나를 돌아보게 하였다. [주변 노거수] 지금은 길가에서 겨우 명맥만 유지하며, 효부각 옆 노거수와 세월의 흐름따라 흐려져 가지만, 간혹 지..
2015.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