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480)
-
山淸(산청) 南沙里崔氏古家(남사리최씨고가)
소재지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 285-2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17호 [고가로 들어가는 골목길] 높다랗게 쌓은 돌담에는 담쟁이 덩쿨이 엉기어 있다. 녹음 짙은 계절에 들린다면 푸른잎들로 더욱 운치가 있을것 같다. [최씨고가 일각문 전경] 1985년 1월 14일 경남문화재자료 제117호로 지정되었다. [최씨고가 일각문] 이 문을 들어서면, 남사마을 중앙에 자리잡은 가장 큰 집으로 안채와 외양간채, 사랑채가 안채를 중심으로 ㅁ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으며 1930년대 지은 고택으로 1985년 1월 14일 경남문화재자료 제117호로 지정되었다. [대문 우측 옆 담 너머로 보이는 막 개화하려는 백목련] [주의 글] [안내판 글 내용] [사랑채 전경] 사랑채의 좌우 2곳에는 중문이 설치되어 있다. 건물의..
2015.08.12 -
경남 산청 尼泗齊(니사재)
소재지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 문화재 제328호 [尼泗齊(니사재) 전경] 예담 마을을 흐르는 남사천을 따라 오르다 보면 尼泗橋(니사교) 건너 산 둔덕에 보이는 건물이 尼泗齊(니사재)이다. 이순신 장군이 백의종군 길에 박호원의 농사짓는 노비의 집에서 하룻밤 유숙하였던 곳이라 합니다. [좌측 옆에서 담은 尼泗齊(니사재) 전경] 이순신 장군은 무관시절 두 번의 백의종군을 하게 되었다. 그 첫 번째가 함경도에서 여진족을 격퇴할 때 였으며, 두 번째는 삼수군 통제사를 지낼 때 였다. 두 번째 백의종군길에 오른 장군은 경상남도의 '하동과 진주'구간의 끝자락에 위치한 산청의 남사 예담촌을 지나게 되었다 합니다. [이사재 유숙지 비 전경] [이사재 유숙지 비 글 내용] [안내판 글 내용] [尼泗齊(니사재) ..
2015.08.11 -
吳章煥(오장환) 시인 생가와 문학관
소재지 :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회인로 5길 12 [문학관 입구 골목] [문학관이 보이는 골목길에서] [문학관 가는 길 골목 담벽에 적혀 있던 시인의 詩(시) 해바라기, 종이비행기] [주차장에서 담은 오장환 문학관과 생가 전경] 2006년에 개관한 오장환문학관은 오장환 생가 옆에 있다. [생가와 문학관 전경] 오장환은 1918년 아버지 오학근과 어머니 한학수 사이에서 4남 4녀 중 3남으로 태어났다. 유년시절의 오장환은 말이 없고 조용한 성격을 지녔지만, 귀염성 있고 진실한 사람이었다고 한다. 회인공립보통학교를 3학년까지 다니다가 경기도 안성 공립보통학교로 전학하여 그곳에서 졸업했다. [표석비와 생가 전경] 1931년 4월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한 오장환은 이곳에서 정지용시인을 만나 詩(시)를 배우고된..
2015.08.03 -
청도 雲岡故宅(운강고택)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 269 중요민속자료 제180호 [南故宅(운남고택) 앞 골목길] 어제 소개한 南故宅(운남고택)을 나와서 골목 안 쪽으로 들어가 운남고택 담을 끼고 돌아서면 막다른 골목이 보인다. 골목끝에 雲岡故宅(운강고택)으로 들어갈 수 있는 솟을 삼문이 있다. [안내판 글 내용] [雲岡故宅(운강고택) 현판] [雲岡故宅(운강고택) 솟을삼문앞 막다른 골목] 운강고택은 逍遙堂(소요당) 朴河淡(박하담, 1479∼1560)이 벼슬을 사양하고 이곳에 서당을 지어 후학을 양성했던 옛터에 순조 9년(1809)에 朴廷周(박정주, 1789∼1850)가 분가하면서 살림집으로 건립한 가옥으로 雲岡(운강) 朴時默(박시묵)이 순조 24년(1824)에 중건하고 1905년 朴淳炳(박순병)이 다시 중수하였다...
2015.07.29 -
청도 南故宅(운남고택)
소재지 :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리 267-2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70호 [南故宅(운남고택) 토담과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운남고택 토담을 타고 자라고 있는 수세미] [雲南故宅(운남고택)] 도로 밖 담에 세워놓은 안내판을 보고 운남고택으로 향했다. 대문은 닫혀 있는데, 대문 안쪽에서 윙윙 기계음이 들려나와서 혹시나 하고 대문을 살짝 밀쳤더니, 오잉 문이 열리네요. 마침 이곳에 거주하시고 계시는 분이 계셔서 목재로 무언가를 다듬고 계셨어요. 들어가서 사진을 찍어도 되겠습니까? 여쭈어보았더니 흔쾌히 허락을 해 주셨습니다. [사랑채] 운남고택은 조선 말기 雲岡(운강) 朴時默(박시묵)의 셋째 아들인 朴在忠(박재충)이 분가하면서 건립한 전통 가옥이라 합니다. 그 옆쪽으로 雲岡故宅(운강고택)도..
2015.07.28 -
山淸(산청) 洗心亭(세심정)
소재지 :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원리 [洗心亭(세심정) 전경] 덕천서원 앞 덕천강 기슭에 세워져 있는 洗心亭(세심정) 남명 선생이 세상을 떠난 4년 후인 1576년 선생의 제자들이 덕천서원(당시는 덕산서원이었음)을 건립하여 위패를 봉안하고 나서, 1582년 서원 건립에 앞장섰던 남명의 제자 守愚堂(수우당) 崔永慶(최영경)이 선조 15년(1582) 덕천서원 유생들의 휴식처로 세운 정자이다. [洗心亭(세심정) 전경 2] '洗心亭(세심정)'이라는 정자 이름은 남명의 제자이자 성리학자였던 河沆(하항)이 지은 것으로, '周易(주역)'에 나오는 '聖人洗心(성인세심)' 마음을 씻는다. 라는 문구로부터 비롯되었다 한다. [洗心亭(세심정) 옆 詩碑(시비)] [詩碑(시비) 내용] 세심정 옆에는 남명 선생의 시비가 있다...
2015.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