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480)
-
南地藏寺(남지장사)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865 시도유형문화재 34호 [南地藏寺(남지장사 전경] [음수대] [안내판과 안내도 전경] [남지장사 안내판 글 내용] [남지장사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우록마을 등산로 종합 안내도] [남지장사로 오르는 돌계단] 오래전 들렸을 때는 없었던 옹벽을 성처럼 쌓아 남지정사로 오르는 높다랗게 돌계단을 만들어 놓았네요. 07년도에 다녀온 남지장사와 비교해 보시려면 요기 클릭 하시면 됩니다. [光明樓(광명루)] [光明樓(광명루) 옆 범종] [光明樓(광명루) 현판] [光明樓(광명루) 전경] [光明樓(광명루)에서 담은 대웅전 전경]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로 가창면 最頂山(최정산)에 있는 사찰. 팔공산내의 北地藏寺(북지장사)와 서로 대칭되는 곳에 위치한 ..
2015.09.02 -
충남 花巖寺(화암사)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202 도지정문화재 기념물 제151호 [花巖寺(화암사)보호수] [花巖寺(화암사) 보호수 2] [보호수 안내팻말] [花巖寺(화암사) 입구 전경] 화암사의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삼국시대의 古刹(고찰)이라 한다. 화암사는 오서산 중턱에 위치하고 백제때 창건하였고 건물은 화순옹주의 부군이자 영의정 김홍경의 아들로 월성위인 김한신이 재건하고 중수한 것으로 추사선생 댁과는 인연이 깊은 절이다. 추사 김정희 선생의 증조부인 월성위 김한신이 조선영조의 부마가 되었을 때 別賜田(별사전)으로 분급된 일대의 田土(전토)에 포함되어 그 一門(일문)에 세습되었다 영조 28년(1752) 월성위가 중건하였으나 그후 대웅전은 燒失(소실)되고 요사채만 남아있다. 추사선생은 이곳 烏石山(오석산) ..
2015.08.25 -
해인사의 1번지 願堂庵(원당암)
소재지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번지 [願堂庵(원당암) 출입구] 사진으로 보기에도 좁아보이는 아름드리 두그루의 나무 사이를 통과해서 원당암으로 들어서면 곧장 주차장이 보인다. 원당암은 해인사 맞은 편 봉우리, 비봉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으며, 원당이란 '소원을 빌려고 세운 집'이란 뜻이라한다. [願堂庵(원당암) 안내판] 원당암은 해인사 1번지 같은 상징적인 암자다. 해인사와 형제처럼 역사를 같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법당앞에 보물 518호로 지정받아 보호받고 있는 석탑과 석등에도 암자의 나이테가 새겨져 있다. [원당암 안내판 글 내용] 신라 哀莊王(애장왕)은 부처님의 가호로 공주의 난치병이 낫게 되자 順應(순응), 理貞(이정) 두 대사의 발원에 따라 국력으로 海印寺(해인사)를 창건하게 된다. ..
2015.08.22 -
대구광역시 孤山書堂(고산서당)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 산22 문화재자료 제15호 [옆에서 담은 孤山書堂(고산서당) 전경] 孤山書堂(고산서당)이 언제 세워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退溪(퇴계) 李滉(이황, 1501년~1570 년)과 愚伏(우복) 鄭經世(정경세) 선생이 이 곳에서 講學(강학)했다는 것으로 미루어, 1500년대에 이미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합니다. [고산서당 안내판 글 내용] [정면에서 담은 孤山書堂(고산서당) 일각문] 조선 명종조에 鄕儒(향유)들과 尹希廉(윤희렴)이 齋室(재실)을 짓고 퇴계선생에게 齋號(재호)를 청하여 齋(재)는 孤山(고산)으로, 門(문)은 求道(구도)로 한 퇴계의 手筆(수필)을 받았으며, 구도라는 편액은 지금도 남아 있다 한다. [孤山書堂(고산서당)] 규모는 앞면 4칸. 옆면 2칸으로 지..
2015.08.20 -
三陟(삼척) 竹西樓(죽서루)
소재지 :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 9-3 보물 제213호 [竹西樓(죽서루) 삼문과 안내판 전경] [죽서루 관람 안내판 글 내용] [외출 영화촬영지 안내팻말] 이곳에서 영화 외출을 촬영하였나봅니다. 전 영화를 보지 않아 잘 모르지만, 좋은 영화였을것 같은 예감이 드네요.^^ [竹西樓(죽서루) 삼문] 죽서루로 입장해 보실까요.^^ 죽서루의 입구 옆에는 문화관광해설사의 집이 있어 문화해설을 필요로 하면 이곳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竹西樓(죽서루) 전경] 이 누각이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고려 명종 때의 문인 金克己(김극기)가 쓴 죽서루 詩(시)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12세기 후반에 존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태종3년(1403) 당시 삼척 부사 金孝孫(김효손)이 고쳐지었다. 우리가 가..
2015.08.18 -
金忠善(김충선)과 鹿洞書院(녹동서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585 [鹿洞書院(녹동서원) 전경] 녹동서원은 조선으로 귀화한 일본장수 모하당 金忠善(김충선, 1571~1642)을 추모하기 위해 정조 13년(1789)에 건립한 서원이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1884년 훼철되었다가 1914년 중건하였으며, 1971년 이전하였다. 김해김씨(우록김씨) 시조 김충선 沙也可(사야가)의 일생은 우리에게 남다른 감흥을 준다. [神道碑(신도비)] 침략군이 되기를 거부한 일본인 沙也可(사야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내세운 전쟁의 명분이란 것은, 단지 전쟁의 부당성을 스스로 드러내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침략을 하는 이도 저항을 하는 이도 모두 알고 있던 옳지 못한 명분이었지만, 조선을 침략해 들어온 20만 일본의 무사들은 그 부당한 전쟁..
2015.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