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480)
-
청송 수정사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강리 2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73호 [수정사와 주변 안내도 내용] 일주문 건립 관개로 인해 출입을 금지한다는 알림 팻말을 보았기에... 망서리다 수정사 근처 개곡 아랫쪽에 있는 황성옛터 작사가 응호(왕평) 묘소에만 다녀올까하고 들렸는데, 되돌아 나오는 길에 돌아보니 수정사가 보였다. 잠시 들렸다가기로 하고 걸음을 재촉하였다. [水晶寺(수정사) 전경] 高麗(고려) 恭愍王(공민왕, 1352~1374)때 懶翁大師(라옹대사)가 創建(창건) 하였다 합니다. [水晶寺(수정사) 입구쪽 뜰 전경] 주변 경치가 아름답고 산 속에서 흘러내리는 샘물과 계곡에 흩어진 돌이 수정같이 깨끗하여 수정사라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이외에 수정사와 관련된 문건이나 이후의 역사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
2015.07.22 -
산청 덕천서원
소재지 :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원리 222-3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9호 [안내팻말] [德川書院(덕천서원) 전경] [안내판과 외삼문(시정문)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덕천서원 안내문] [덕천서원 外三門(외삼문) 時靜門(시정문) 현판] [時靜門(시정문)] [德川書院(덕천서원) 敬義堂(경의당) 전경] 書院(서원) 삼문인 時靜門(시정문)을 들어서면 곧장 보이는 정면에는 강당인 敬義堂(경의당)이 있고 그 앞쪽으로 東齋(동재)와 西齋(서재)가 좌우에 자리하고 있다. [修業齋(수업재) 현판] [修業齋(수업재) 東齋(동재)] [修業齋(수업재) 내부] [進德齋(진덕재) 현판] [進德齋(진덕재) 西齋(서재)] 명륜당 앞쪽 좌우에 있는 건물로 학생들의 기숙사. 동재에는 생원, 서재에는 진..
2015.07.20 -
陽智鄕校(양지향교)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향교로13번길 20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3호 [입구쪽에서 담은 양지향교 전경] 중종 18년(1523) 賢儒(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양지향교 부속건물(교육관)] [홍살문]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과 명륜당, 內三門(내삼문) 등이 있다. [외삼문] [양지향교 표석] [양지향교 안내판 글 내용] [양지향교 안내도] [담너머로 담은 양지향교] 양지향교는 전체적으로 前學後廟(전학후묘)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대성전과 명륜당이 종축선상에 자리하지 않고 동재터가 명륜당 오른쪽에 남아 있다. 이러한 배치는 일반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형식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양지향교의 특징이라..
2015.07.13 -
龍仁(용인) 李柱國將軍(이주국장군) 古宅(고택)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문촌리 414-4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96호 [용인 이주국 장군 고택 솟을대문] [대문앞 안내판 글 내용] [솟을 대문] 활짝 열린 대문 안으로 들어가 보실래요.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곧장 보이는 사랑채 전경] 사랑채 앞쪽에서 바라보면 우측으로 한 칸의 청방을 두고, 가운데 두 칸은 방과 마루방으로 구성되었으며, 좌측의 맨 끝은 다락방과 부엌이다. [사랑채에서 담은 문간채] 대문 안으로 들어서면 사랑마당과 안마당이 연속되어 있으나 원래는 사랑마당과 안마당을 구획하는 담장과 중문채가 있어서 각각의 공간이 분리되어 있었던 것이 아닐까 짐작한다 합니다. [안채 마당과 안채 전경] 고택은 안채와 사랑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왼쪽부터 광, 부엌, 안방..
2015.07.11 -
淳昌(순창) 歸來亭(귀래정)
소재지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산2-1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67호 [歸來亭(귀래정) 전경] 歸來亭(귀래정)은 전라북도 순창군에 있는, 조선 세조 2년(1456) 신숙주의 아우인 신말주가 지은 정자이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의 문화재자료 제67호로 지정되었다. [좀더 가까이에서 담은 歸來亭(귀래정) 전경] 정자의 이름은 중국 진나라의 陶淵明(도연명)이 관직을 사임하면서 쓴 詩(시) '歸去來辭(귀거래사)'에서 따온 것이라 하며, 자연을 벗 삼고자 자신의 호로도 삼았다. 歸來亭(귀래정)은 앞면 3칸, 옆면 2칸, 중앙에 한칸의 방이 있는 지붕은 여덟八(팔) 모양인 팔직자붕이다. [안내판 글 내용] [안내도 내용] [귀래정]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자, 이에 불만을 품고 벼슬..
2015.07.11 -
유네스코에 등재된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佛國寺(불국사)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진현동 15-1) [佛國寺(불국사) 현판] [佛國寺(불국사) 一柱門(일주문) 전경] 절에 들어가는 어귀에 우뚝 서 있는 문으로, 기둥을 양쪽에 하나씩만 세워서 지어진 것이 다른 건물과 다르다. 이 문을 경계로 하여 문 밖을 俗界(속계). 문 안은 眞界(진계) 이 문을 들어 설 때 오직 一心(일심)에 귀의한다는 결심을 갖도록 마음을 촉진시키는 데 그 뜻이 있다 한다. [일주문에서 담은 전경] 불국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사찰이며, 또한 유네스코가 지정한 우리의 자랑스런 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하다. [조경수] [연못] [天王門(천왕문) 앞 쪽 다리] [天王門(천왕문) 현판] [天王門(천왕문) 전경] 절의 입구에 있는, 문으로 불법을 수호하고 사악한 마귀가 들어오지 못하게..
201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