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188)
-
대능원 천마총과 新羅味鄒王陵(신라미추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大陵苑(대릉원) 삼문 전경] [경주시 관광 안내도] [경주 황남리 고분군 안내판 글 내용] 2000년에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경주역사유적지구 5곳 가운데 하나이다. 별도로 대릉원지구로 부른다. 대릉원이란 이름은 '味鄒王(미추왕)을 大陵(대릉 :竹長陵)에 장사지냈다'는 '三國史記(삼국사기)'의 기록에서 딴 것이라한다. [미추왕릉과 천마총 가는 길] 대릉원은 경북 경주시 황남동에 자리한 신라의 고분군으로 경주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고분군이다. 20여 기의 능이 밀집되어 있는 곳으로 미추왕릉, 황남대총 등이 있으며, 내부를 공개해 유명해진 천마총도 이곳에 있다. 천마총은 아직도 누구의 무덤인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5세기 말에서..
2015.11.18 -
단양팔경 上仙岩(상선암)
소재지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상선남길 36-5 [주차장 안쪽 쉼터] 선암계곡의 삼선암중 마지막으로 들린 상선암. 상선암을 잘못 찾아왔나?? 의심이 들만큼 입구쪽에 주차비를 내는 건물이 있다. 아닌가? 하고 돌아가려다 혹시나 하고 잠시 차를 세우고 여쭈었더니... 에궁 이곳이 맞다 하네요. 유일하게 큰 주차장이 있어 좋긴하였지만, 주차비가 있네요. [상선암 안내 팻말] 쉼터 옆으로 난 아랫쪽 길로 접어드니, 좌측으로 상선암 안내 팻말이 길을 잘못 접어들지 않았다 확인시켜주었다.^^ [쉼터 쪽에서 담은 상선암 전경] 上仙岩(상선암)은 중선암에서 약 2km 올라가면 수만 장의 靑丹大石(청단대석)으로 된 벽과 반석 사이로 흐르는 溪水(계수)가 폭포를 이루고 있어 절경이며, 선조 때 遂庵(수암) 權尙夏(권상..
2015.11.13 -
신경림님시인의 목계장터 詩碑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목계리 [목계나루터] 목계가 나루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이 언제부터인지 정확히 확인할 길이 없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충주목의 7진도 중 하나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나루의 역사가 아주 오래되었음을 알수 있다. 충주 출신의 시인인 신경림이 옛날 목계장터를 노래한 시비가 있어 당시의 모습을 그려 볼 수 있다. 신경림은 1936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나 동국대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흔히 신경림을 농민의 아들, 이렇게 알려져 있지만 순수하게 그런 것은 아니다. 개울 하나 건너광산이 있는 집성촌에 딸린 마을에 살았다. 이것은 일반 농촌에서 자란 사람의 경험과는 다른 경험을 그에게 가지게 해주었다. 가령 주위의 문학하는 사람들은 어릴 때 대개가 등잔불에서 자랐는데 그는 전깃불 밑..
2015.11.13 -
단양팔경 中仙岩(중선암)
소재지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가산리 704-2 [중선암 내려가는 표시 팻말] 이곳으로 조금 더 내려가면 비록 사유지지만, 무료로 주차할 수 있는 넓은 주차장이 있습니다.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계곡을 이어주는 출렁 다리] [출렁다리] 건너가 보았습니다. 중선암으로 가는 길인가 하고... [출렁다리 끝] 그랬는데, 다리끝에는 더 이상 가지 못하게 줄을 쳐 놓았다. 중선암으로 가는 길은 아닌가 보다. [다리위에서 담은 아랫쪽 전경] 아랫쪽을 보니, 계곡쪽으로 내려가는 돌계단도 희미하게 보이지만, 더 이상은 가지 못하게 하니 되돌아올 수 밖에 없었다. [출렁다리 위에서 담은 아래쪽 계곡] [출렁다리 위에서 담은 윗쪽 계곡] [출렁다리에서 인증샷] 다리를 건너오는 제게 짝꿍은 또 그기서라 하..
2015.11.12 -
臨津閣 國民觀光地(임진각 국민관광지)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1253-3 [平和(평화)의 種閣(종각) 전경]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한 관광지며, 우리 민족사에서 가장 가슴아픈 사건으로 기록되어 있는 6.25전쟁. 그 전쟁의 아픔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곳이 판문점이며, 판문점으로들어가지 못하는 일반인들이 들어갈 수 있는 최북단 장소가 임진각이다. 임진강에서 임진각이란 이름을 따 왔다 한다. 1972년 임진각이 세워지면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이 곳에는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에 관한 각종 자료와 한국전쟁에 관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통일의 횃불, 철도중단점, 경기도북한관, 망향의 노래비, 망배단등이 있으며, 임진강역에서 걸어서 5분 이내 거리에 경의선과 근처엔 돌아올 수 없는 다리가 있다. [망향의 노래 비] 자유로에 접어..
2015.11.12 -
단양팔경 下仙岩(하선암)
소재지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선암계곡로 1337 [하선암 계곡 윗 도로 옆 넓은 공간] 안내판과 안내도가 즐비하게 세워져 있는 이곳에 주차를 해 두고 앞쪽 도로 건너 돌계단을 내려가면 하선암이다. [안내판 글 내용] [하선암 안내표석] [하선암 안내도] [도로에서 내려가는 돌계단] 단양천 하류에서 올라오면 삼선구곡에서 첫 번째로 만나는 기암으로 退溪(퇴계) 李滉(이황)이 '속세를 떠난 듯한 신선이 노닐던 곳'이라고 극찬했던 명승지다. 한강 지류 우화천을 따라 단양 남쪽 12㎞ 지점에 下仙巖(하선암). 中仙巖(중선암). 上仙巖(상선암)이 차례로 있다. 오늘은 우선 하선암부터 소개 해 드리겠습니다. 하선암은 삼선구곡을 이루는 심산유곡의 첫 경승지로 3층으로 된 흰 바위는 넓이가 백여척이나 되어 마당을 ..
2015.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