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12)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崇信殿(숭신전)과 昔脫解王陵(석탈해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350-7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 255호 [崇信殿(숭신전) 전경] 광무 2년(1898)에 군수 권상문이 신라 제4대 임금인 탈해왕의 제사를 모시기 위해 세웠다. 1906년부터는 신라의 3성 시조 임금(박, 석, 김)을 같이 모셨고 이때부터 '崇信殿(숭신전)'이라 불렀다. 처음 지을 때 월성 안에 있던 것을 1980년 월성 안의 민가 철거와 함께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으며 봄, 가을과 춘분, 추분에 걸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안내판 글 내용] [新羅昔脫解王碑閣(신라탈해왕릉비각)] 1921년에 세운 '新羅昔脫解王碑銘(신라석탈해왕비명)' 이라는 비와 비각이 있다. [新羅昔脫解王碑(신라탈해왕릉비)] 비의 내용은 金允植(김윤식)이 짓고 글씨는 尹用求(윤용구)가, 전서는 崔鉉弼..
2016.01.30 -
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法興王陵(법흥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효현동 산 63 사적 제 176호 [法興王陵(법흥왕릉)과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좌측에서 담은 法興王陵(법흥왕릉) 전경] 지금의 법흥왕릉은 1966년과 1968년 도굴되었던 봉분을 복원한 것이며, 다른 왕릉에 비해 작은 규모이지만, 봉분주위에 호석을 두른 흔적이 남아 있어신라왕릉에 관한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한다. 신라 최초의 독자적인 年號(연호)를 사용하였으며, 법흥왕 15년(528)에는 불교를 공인하고 국교로 정하였다. 주변에는 소나무숲이 울창하나, 신라에 많은 업적을 남긴 왕의 능으로서는 매우 빈약한 편이다. [정면에서 담은 法興王陵(법흥왕릉) 전경] '三國史記(삼국사기)'에는 '왕이 돌아가시니 諡號(시호)를 법흥이라 하고, 哀公寺(애공사) 북쪽 봉우리에 ..
2016.01.29 -
무궁화를 닮은 꽃
무슨 꽃일까요? 내이름은? 무궁화 하셨다면 땡! 틀렸습니다. 전 무궁화를 닮았지만, 무궁화가 아닌 부용화랍니다. 붉은 부용은 무궁화와 확실하게 구분이 되지만, 흰 부용은 어쩜 그리도 우리나라 꽃 무궁화꽃을 닮았는지... 분홍 부용도 무궁화꽃과는 확연하게 구분을 할 수 있는데... 유독 흰 부용만은 멀리서보면 꼭 무궁화 같지요. 아욱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무궁화와 비슷하나 꽃이 더 크다. 원래 芙蓉(부용) 은 연꽃을 말하는데, 연꽃은 水芙蓉(수부용), 부용은 목부용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꽃은 8~10월경에 핀다. 부용의 꽃을 목부용화라고 하는데, 열을 떨어뜨리고, 혈액을 맑게 하며 염증을 제거하고 독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으며, 심한 종기, 화상과 폐렴에 의한 기침, 피를 토하는 증상 및..
2016.01.16 -
경주 司馬所(사마소)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89-1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호 [司馬所(사마소) 전경] [안내판 내용] [담밖 司馬所(사마소) 표석] 조선시대 과거시험에 합격한 지방의 선비들에게 儒學(유학)을 가르치거나 정치를 토론하던 곳이다. 또한 자기수양을 위해 선비들이 찾던 곳으로, 연산군 때에는 백성들에게 곡식을 빌려주었다고 한다. 수양을 위해 선비들이 찾던 곳이기도하여 수양이 부족한 사람을 가리켜 '사마소에 입소하여야 한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고도 한다. [司馬所(사마소) 전경] 사마소는 2개 동의 건물이 있다. 본체에 해당하는 風詠亭(풍영정)은 갓 사마시에 합격한 젊은 신진 사류가 주로 사용하였고, 그 서쪽의 炳燭軒(병촉헌)에는 원로 선비들이 애용하였다고 한다. 이들 노소의 선비들은 엄격한 자리 구별이..
2015.12.19 -
대능원 천마총과 新羅味鄒王陵(신라미추왕릉)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大陵苑(대릉원) 삼문 전경] [경주시 관광 안내도] [경주 황남리 고분군 안내판 글 내용] 2000년에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경주역사유적지구 5곳 가운데 하나이다. 별도로 대릉원지구로 부른다. 대릉원이란 이름은 '味鄒王(미추왕)을 大陵(대릉 :竹長陵)에 장사지냈다'는 '三國史記(삼국사기)'의 기록에서 딴 것이라한다. [미추왕릉과 천마총 가는 길] 대릉원은 경북 경주시 황남동에 자리한 신라의 고분군으로 경주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고분군이다. 20여 기의 능이 밀집되어 있는 곳으로 미추왕릉, 황남대총 등이 있으며, 내부를 공개해 유명해진 천마총도 이곳에 있다. 천마총은 아직도 누구의 무덤인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5세기 말에서..
2015.11.18 -
慶州(경주) 金虎將軍 古宅(김호장군 고택)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633 중요민속자료 제 34호 [金虎將軍 古宅(김호장군 고택) 삼문] 조선 선조 25년(1592) 부산첨사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김호가 살았던 집이다. 17세기전후에 세운 것으로 추정하며 집터는 신라시대 절터였다는 설이 있는데, 주변에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여러 석조물이 있고 마당의 우물돌은 지금까지도 사용하고 있다. [안내판과 고택표석] [안내판 글 내용] [金虎將軍 古宅(김호장군 고택)] 대문을 들어선 정면에 안채, 왼쪽에 아래채, 안채 오른쪽 뒤편으로 家廟(가묘)가 배치되어 있다. 원래 사랑채가 동쪽에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자리만 남아있다. 안채는 앞면 5칸, 옆면 1칸 규모에 왼쪽부터 부엌, 방, 대청, 방으로 단순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金虎將軍 古宅(김..
2015.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