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신라왕릉 둘러보기 法興王陵(법흥왕릉)

2016. 1. 29. 06:39뿌리를 찾아서/왕릉 답사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효현동 산 63
사적 제 176호

 

 

[法興王陵(법흥왕릉)과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좌측에서 담은 法興王陵(법흥왕릉) 전경]

 

지금의 법흥왕릉은 1966년과 1968년 도굴되었던

봉분을 복원한 것이며, 다른 왕릉에 비해 작은 규모이지만,

봉분주위에 호석을 두른 흔적이 남아 있어신라왕릉에 관한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한다.

신라 최초의 독자적인 年號(연호)를 사용하였으며,
법흥왕 15년(528)에는 불교를 공인하고 국교로 정하였다.

주변에는 소나무숲이 울창하나, 신라에 많은

업적을 남긴 왕의 능으로서는 매우 빈약한 편이다.

 

 

[정면에서 담은 法興王陵(법흥왕릉) 전경]

 

'三國史記(삼국사기)'에는
'왕이 돌아가시니 諡號(시호)를 법흥이라 하고,
哀公寺(애공사) 북쪽 봉우리에 장사 지냈다.'고 했다.

'三國遺事(삼국유사)'에도 '능은 애공사 북쪽에 있다'고 하여
무덤의 주인공을 밝히는 근거가 된다.

 

 

[법흥왕릉 표석비]

 

法興王(법흥왕)은 신라의 제23대 임금이며,
성은 金(김)이고 이름은 原宗(원종)이다.
그의 아버지 지증왕과 延帝夫人(연제부인)의 아들이다.

 

 

[法興王陵(법흥왕릉)]

 

법흥왕이 불교를 도입하고자 하였으나
기존의 보수 세력인 귀족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그 때 충격적인 계기를 마련하여 임금의 심오한 뜻을
펴게 하기 위해 자기 몸을 희생하려고 나선 한 신하가 있었으니
이가 바로 異次頓(이차돈)이었다.

 

 

[우측 옆에서 담은 전경]

 

이차돈의 목을 베자 흰 젖과 같은 피가 한 길이나 솟아올랐고,
머리는 멀리 날아 서라벌 북쪽 소금강산에 떨어졌다 한다.

이 때 하늘이 캄캄해지면서 꽃비가 내리고 땅이 진동하였으니,
모두가 이 신비스럽고 장엄한 현상에 깊은 감동을 받아,
감히 불교 공인에 반대하는 신하가 없었다 한다. 

여러 가지 기록에서 공통되는 것은

이차돈이 불교의 공인을 위해 목숨을 바쳤다는 사실이다.

 

[法興王陵(법흥왕릉) 뒤에서 담은 안산 전경]

 

법흥왕은 대외적으로는 가야 왕실과 혼인을 맺고,
급기야 금관가야의 仇亥王(구해왕)이 妃(비)와 세 아들을

데리고 자기 나라 재물과 보물을 가지고 항복하여 왔다. 

전쟁없이 이웃 나라를 합병하였으니, 이것만 보아도
법흥왕의 덕망이 얼마나 뛰어났던가를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