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480)
-
쌀을 주제로 한 농경문화 주제전시실
쌀 전시관 '농업과 쌀'을 주제로 하여 우리나라 쌀 산업과 쌀 문화의 가치를 한눈에 보여줍니다. ‘농업과 쌀’을 주제로 우리나라 쌀 산업과 쌀 문화의 가치를 한 눈에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전시를 통해 쌀이 가지고 있는 사회·문화·경제적 의미를 알리고, 우리 쌀에 대한 관심을 높여 밥 중심의 식습관에 흥미를 갖도록 했다. 도리깨(連枷) / Flail 곡식의 이삭을 두르려서 알갱이를 떠는데 사용하는 거두기용 농기구로 도루깨. 도깨. 연가 등으로도 불린다. 가래(鍬) / Rope-pulled Spade 흙을 파서 던지는데 쓰는 농기구로 삽을 변형 시켜 만든 것이다. 넓적한 삽날에 긴 나무자루를 박고 삽날 윗부분 좌우측에 각각 줄을 매어 사용한다. 삽보다 작업 능률이 높고 여러 사람이 공동 작업을 할 수 있다..
2021.02.25 -
교육박물관 복도에서 만나는(존경하는 나의 선생님)
존경 하는 나의 선생님 돌아가면 그 자리에 계실 것만 같습니다. 그 때, 그 시절이 그립습니다. 라는 글과 함께 적혀 있는 자료 글들이 발걸음을 멈추게 하였습니다. 스승의 날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1958년 청소년적십자 단원의 은퇴하신 스승 찾아뵙기 운동 전개 1964년 청소년적십자(JRC. Junior Red Cross)에서 5월 26일 제1회 스승의 날 제정 스승의 날 제정 취지문(1964) 인간의 정신적 인격을 가꾸고 키워주는 스승의 높고 거룩한 은혜를 기리어 받들며 청소년들이 평소에 소흘했던 선생님들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불러 일으켜 따뜻한 애정과 깊은 신뢰로 선생과 학생의 올바른 인간관계를 회복하여 사제간의 윤리를 바로잡고 참된 학풍을 일으키며 모든 국민들로 하여금 다음 세대의 주인공들을 ..
2021.02.24 -
대구교육박물관 2층 특수교육실
장애 공감! ‘장애’는 불편한 것일 뿐, 생각을 바꾸면 ‘장애’는 사라집니다. 모든 아이는 우리의 아이! ‘공감’과 ‘배려’로 함께 살아가야 합니다. 1946년 ‘대구맹아학원’에서 출발한 대구 특수교육은 가장 발전적인 특수교육 시스템으로 모든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를 갖추었으며, 장애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장애 공감형 사회를 꿈꾸고 있습니다. “죽는 것은 무섭지 않다. 그러나 누가 저 불쌍한 맹아들을, 누가 저 불쌍한 문둥병(한센병) 환자를 돌볼 것인지, 그것이 눈앞을 가린다.” 사랑, 빛, 자유 특수교육의 아버지 이영식 목사 성산 이영식 목사는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평생을 장애인 교육에 헌신한 대한민국 특수교육의 선구자이다. 억압받는 백성을 위해 목자가 되고자 떠난 일본 유학에서 ..
2021.02.23 -
伊洛書堂(이락서당)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파호동 [강창교에서 담은 금호강과 이락서당 전경] 강창교 건너 대나무숲 산책로에 들렸다가 돌아오는 길에 만난 유유히 흐르는 금호강 옆 궁산 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伊洛書堂(이락서당) [강창교에서 담은 이락서당 전경] 이곳을 지니치며 늘 궁금했던 곳이었기에.... 우선 전체의 전경을 담기 좋은 강창교위에서 담아보았다. [강창교에서 줌으로 당겨 담은 이락서당] 조선 중기의 학자인 寒岡(한강) 鄭逑(정구, 1543~1620)와 樂齋(낙재) 徐思遠(서사원, 1550~ 1615)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정조 22년(1798)에 건립한 講學所(강학소)라 합니다. [이락서당 옆쪽 궁산 등산로] 우선 이곳은 통과하고 이락서당으로 걸음을 옮겼다. [등산로 쪽에서 담은 이락서당 전경] 정조가 등극..
2020.10.08 -
洛濱書院(낙빈서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795 [낙빈서원 안내 팻말] 조선시대 대구에는 5개의 사액서원이 있었다 합니다. 사액서원은 조정으로부터 서원의 현판을 하사받은 서원으로 국가공인 서원이다. 동구 연경동의 '연경서원', 북구 산격동의 '구암서원', 달성군 구지면의 '도동서원', 하빈면의 '낙빈서원', 유가읍의 '예연서원'이 그것이다. 이중 '연경서원'만이 현재 미복원 상태이고 나머지 4곳은 모두 복원이 되었다. 위의 복원된 구암서원, 도동서원, 예연서원을 클릭하여 들려보셔요.^^ 그런데 이중 '洛濱書院(낙빈서원)'은 말이 복원이지 사실은 서당 수준의 미완의 복원에 멈춰있다. [낙빈서원 가는 길] 1694년(숙종 20)에 사액서원이 되었으나,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훼철되었다..
2020.03.13 -
達城郡廳(달성군청) 內(내) 頌德碑郡(송덕비군)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 1313 [達城郡廳(달성군청) 內(내) 頌德碑郡(송덕비군) 전경] 지난번 2020년 쥐띠해를 맞이하여 달성군청내 갤러리에서 '십이쥐 展'을 개최하였다기에 들렸다가 함께 담아 온 달성군청 정원 뜰의 여러종류의 24기의 송덕비군을 담아와서는 이때껏 소개가 미루어졌습니다. 오늘은 그때 못해드린 달성군쳥 내 송덕비군을 소개해드릴까합니다. 혹 '십이쥐 展'을 함께하시지 못하신 이웃님들이 계신다면 요기 클릭하셔서 둘러보셔요.^^ [碑身案內文碑(비신안내문비) 전경] [碑身案內文(비신안내문) 내용] [達城郡廳(달성군청) 內(내) 頌德碑郡(송덕비군) 전경] [達城郡廳(달성군청) 內(내) 頌德碑郡(송덕비군) 안내판] 이 비석들은 본래 현풍면 성하리에 소재한 달성군민체육관 옆에 있..
202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