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480)
-
금계 기증유물실(대구교육박물관)
1. 앞닫이 / 조선 앞닫이는 통상적으로 반닫이라 불린다. 옷가지를 보관하는데 주로 쓰이지만 패물, 문서, 책 등을 보관하기도 한다. 2. 고창앞닫이 / 조선 전라북도 고창에서 만들어진 앞닫이다. 제비초리형 경첩, 칠보문이 투조된 배꼽장식이 달려 있다. 3. 먹감이층농[二層籠(이층농)] 정면에서는 제 그림자가 비쳐서 담지 못하고 우측과 좌측에서 전체의 전경만 담아 올렸습니다. 에디슨축음기(蓄音機) 에디슨이 발명한 축음기이다. 1877년 11월 미국 특허국에 특허권을 제출할 당시 축음기 이름은 '토킹 머신(Talking machine)'이었다. 貫道之器(관도지기) 과거시험에 출제되었던 기출 문제와 급제자들의 글을 주제별로 모아 놓은 책이다. 賢鳳雙儀錄(현봉쌍의록) 조선후기 장편 가문소설로 세대에 이어지는 ..
2021.03.16 -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교육(대구교육박물관)
예전에, 임금이 신하에게 주는 공식적인 임명장을 이르던 말. 조선 시대에 임금이 사품 이상이 관리에게 주던, 임명이나 해임에 관한 문서이다. 조시원이 문과에 응시하여 제출한 과거 답안지이다. 오른쪽에는 응시자인 조시원의 내력을 알 수 있도록 그의 부, 조부, 증조부 및 외조부의 이름이 차례로 적혀 있고, 왼쪽에는 시제에 대한 답변을 적었다. 공정한 채점을 위해 답안지 작성자의 인적 내용을 자른 후에 제출하였기 때문에 두 장으로 분리되어 있다. 論語(논어). 孟子(맹자). 大學諺解(대학언해). 中庸諺解(중용언해). 書傳大全(서전대전). 詩經諺解(시경언해). 周易諺解(주역언해) 司馬榜目(사마방목) 司馬試(사마시)는 생원과 진사를 설발하는 과거시험인 소과의 다른 이름이다. 사마방목은 사마시의 합격자 명단을 수..
2021.03.11 -
교육역사관 1(전통교육)
"인간은 교육을 통하지 않고서는 인간이 될 수 없는 유일한 존재이다." -임마누엘칸트(독일 철학자, 1724~1804)- 壬申誓記石(임신서기석) 두 명의 화랑이 유교경전을 익히고 나라에 충성을 다할 것을 맹세하며 새긴 비석 (보물 제1411호) 蔚州川前里刻石(울주 천전리 각석) 화랑이 인물과 기마행렬, 화랑의 명칭, 관직명 등을 돌에 새겨 당시의 생활상 반영 (국보 제147호) 신라 화랑, 삼국통일의 주역 화랑도는 신라시대 청소년 수련단체로 나라를 이끌어 갈 인재를 길러내는 역할을 하였다. 세속오계를 바탕으로 심신을 단련하였으며, 삼국을 통일한는데 이바지하였다. 대표적인 화랑 : 김유신, 관창, 사다함 서당은 천자문 등 한문의 기초를 배우고 유교적 예절을 익히는 곳으로 개인이나 주민이 공동으로 세운 교육..
2021.03.09 -
대한민국 교육과정의 변천
우리나라 교육 목표인 '홍익인간'의 정신을 바탕으로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교육을 강조하였다. 교과가 사회생활과 공민. 지리. 역사. (일반과학 물리. 화학. 생물), 실과와 수공(가사. 재봉. 수예 실업 등) 미술(습자. 도화)로 통합되어 이후의 교과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 손으로 만든 최초의 체계적인 교육과정이라는 점에서 제1차 교육과정으로 불린다. 교과 중심, 생활 중심을 지향하였으며 광복 후의 사회적 혼란과 6.25 전쟁으로 인해 반공. 도의. 실업 교육을 강조하였다. 생활 중심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격을 표방하며 교육과정 내용 면에서 자주성, 생산성, 유용성을 강조하였다. 부분 개정을 통해 반공, 도덕 생활을 강화하고, 완전한 한글 사용을 위해 한자 교육을 하지 않도록 하였다. 학문 중심 ..
2021.03.03 -
화폐에 관련된 역사와 문화
우리나라 및 세계 여러 나라의 화폐와 유가증권류를 포함한 역사적 사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전시합니다. 지역기업 DGB대구은행이 참여한 전시공간. 우리나라 및 세계 여러 나라의 화폐와 유가 증권류 등 역사적 사료를 전시한 공간이다. 위 자료를 자세히 보시려면 클릭해서 원본보기를 클릭하시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50000원 / 2009. 6. 23 발행 신사임당 조선중의 예술가이다 대학자이자 정치가인 율곡 이이를 길러낸 훌륭한 어머니로서 높은 평가를 받아 현모양처의 상징으로서 추앙 받았고, 모든 여성의 귀감으로서 많은 학교에 동상이 보급되기도 하였다. 산수도, 초충도 등의 그림과 글씨, 그리고 몇 편의 시가 전해지고 있다. 10000원 / 2007. 1. 22 세종 우리 역사상 가장 뛰어난 민족 문화를 ..
2021.02.27 -
기증(역사를 전하는 보람있는 나눔입니다)
기증유물실 시민, 학교, 기관의 참여로 수집된 자료를 전시하는 공간입니다. 시민, 학교, 기관에서 수집된 자료를 전시합니다. 오랫동안 보관해 오신 소중한 유물 기증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학급문집 사랑의 교실 / 박정희 기증 옥저(대구공업고등학교 교우지) / 한원경 기증 달구(대구고등학교 교유지) / 안인욱 기증 신수중등한자 / 모법중등한자 중등한문독본 / 고등학교 국어(하) / 이상배 기증 경북 고등학교 교모 / 대구동중학교 교모 / 남후섭 / 배호기 기증 경북중학교 졸업기념 버클 대구고등학교 졸업기념 넥타이핀 / 장두석 기증 항상 대구교육박물관에 진심어린 관심을 부탁드리며, 후세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기증해 주신 여러 시민, 기관, 학교에 한 번 더 감사한 마음으로 전시하겠습니다.(옮..
2021.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