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121)
-
대구대교구청내 성직자 묘역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213-1 [성직자 묘소 입구 전경] 1911년 부터 현재까지 사목을 하시다가 선종하신 성직자가 모셔져있는 곳 입니다. [성신강림(성직자 묘역 입구쪽 조각)] [ALLELUIA(성직자 묘역 입구쪽 조각)] [성직자 묘소 입구] 성직자 묘지 입구 좌우에는 'HODIE MIHI' '오늘은 나' 'CRIS TIB" 내일은 너' 라는 라틴어는 지금 이곳에 잠든 성직자들에게 찾아온 죽음이 내일은 바로 우리에게 찾아올 것이라는 의미라 합니다. [입구쪽에서 담은 전경] 매일마다 새롭게 부여받는 '오늘 하루'가 그야말로 신비한 은총의 하루임을 깨닫게 된다. [좌측 성직자 묘역 전경] 대구대교구에 부임해서 사목활동을 하시다가 국내외에서 선종한 성직자 66명이 영원한 안식을 누리는 성지이..
2017.03.30 -
대구 국채보상운동 발상지 광문사터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 22길 [국채보상운동 발상지 수창초등학교 후문 전경]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 국채를 국민들의 모금으로 갚기 위하여 전개된 국권회복운동. [경제국권수호의 문을 열다] 일본은 1894년 청일전쟁 당시부터 우리나라에 대해 적극적으로 借款供與(차관공여)를 제기하여 두 차례에 걸쳐 각 30만 원과 3백만 원의 차관을 성립시켰다. 일본의 차관 공세는 1904년 제1차 한일협약 이후 더욱 노골화되었다. 담아온 자료들을 올립니다. 찬찬히 둘러보셔요. 각지에서 취지를 같이하는 28개 여성단체와 17개 준여성단체가 속출하여 의연금을 모집하였다. 특히 기생 앵무의 1백원 의연은 당시 전국적인 화제가 되었는데, '여자로서 감히 남자보다 한 푼이라도 더 낼 수 없으니 누구든지 몇 천 ..
2017.03.07 -
관덕정순교기념관내 순교전시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순교전시실 출입구] [정면에서 담은 순교전시실 내부 전경] [순교전시실 내부 전경] [김화춘(?~1816) 야고보, 박경화(1757~1827) 바오로] 김화춘(?~1816) 야고보(화목과 평화) 박경화(1757~1827) 바오로(뺨을 맞고 수염이 뽑히고)라는 제목의 설명글이 적혀 있다. [안내 설명 글 내용] [안내 설명 글 내용 아랫쪽 자료 그림] [안내 설명 글 내용 2] [안내 설명 글 내용 2 아랫쪽 자료 그림] [박해시절의 전통인형 전시 모형] [병인박해 무렵의 장터 와 신자생활 전통인형 모형] 좌측 고종5 무진년(1868) 울산 장대순교자들이 진목정에서 목기(그릇)를 만들며 생활하는 모습. 우측 병인박해 무렵의 울산 장대 순교자들이 만든 목기(그릇)과 짚신을..
2017.02.27 -
대구 觀德亭殉敎紀念館(관덕정순교기념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관덕정순교기념관 전경] 순교기념관이 세워진 이곳은 아미산이라고 불리던 언덕바지 땅으로서 조선시대 사상범을 처형하던 형장이었으며,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가 처형된 곳도 바로 이 곳이라 한다. [관덕정순교기념관] 을해박해(1815년), 정해박해(1827년), 기해박해(1839년), 병인박해(1866년) 때 천주교인 25명이 이곳에서 처형되었으며, 대구의 경상감영 옥사에서 순교한 이들도 31명에 이른다고 한다. [천주교 성지 관덕정순교기념관 오르는 계단] [성 이윤일 요한 동상] 계단을 오르면 실내로 들어가기 전 입구 왼쪽에 자리하고 있는 동상은 성 이윤일 요한으로 1866년 12월26일 이곳 관덕정에서 순교하신 분으로 이유일 요한이 시성되면서 관덕정 순교성지의 모습이 갖추어..
2017.02.22 -
신명 3.1 운동기념탑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06(신명여자고등학교 내) [신명 3.1 운동 기념탑 전경] 1919년 3월 8일 대구에서 일어났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큰 역할을 했던 신명학교의 교사 이재인과 졸업생, 재학생들을 기리고자 설립된 기념탑이다. [신명 3.1 운동 기념탑 전경 2] 만세운동의 시발지인 큰 장터에서(현 서문시장), 이영현을 비롯한 통학생 및 저학년 10여명은 동신교를 조금 지나서, 그리고 30여명의 기숙사생들은 대부분 남성파출소 앞에서 각각 계성학교. 성격학교. 남선정(제일)교회. 남산교회. 달남(서문)교회 등이 주축이 된 수천명의 만세부대와 합류하였다. [신명 3.1 운동 설명 글 내용] 그 날의 함성이 들려오는듯 하다. [신명의 딸은 앞면] [신명의 딸은 뒷면] [기념탑 건립을 도운..
2017.02.17 -
선교사의 넋이 잠든 은혜정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청라언덕쪽에서 담은 은혜 정원 전경] 대구의 가장 상징적인 개신교 성지는 '은혜 정원'에 잠들어있는 선교사의 넋을 만날 수 있다. 경상도 지역에 첫 복음의 발길을 전한 베어드(배위량) 선교사와 억눌린 한국 사람들의 대변인 베델, 한국인보다 한국인을 더 사랑한 헐버트, YMCA 운동의 개척자 브로크만, 한국 근대여성 교육과 여성전도의 선구자, 교육자로서 대대로 헌신한 가족 선교사 아펜젤러 가(家), 토론토 의대를 졸업하고 한국의 폐결핵 퇴치를 위해 힘쓴 셔우드, 우리나라 첫 서구식 민간병원 광혜원(나중에 제중원으로 바뀜)의 2대 원장 헤론이 잠들어있는 곳이다. [은혜정원 출입구] [은혜정원 안내 글 내용] 동산을 들렸다면, 반드시 들려야 할 장소가 바로 이곳 선교사 묘역..
2017.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