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묘역 답사(75)
-
둔촌 이집선생 사당과 묘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7-1 일대 경기도 기념물 제219호 [묘역 입구쪽에 서 있는 선생의 신도비] [사당과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遁和門(둔화문) 현판] [사당 삼문 遁和門(둔화문) 전경] 사당 삼문인 遁和門(둔화문)은 닫혀 있기에 우선 안내판의 안내글을 담고는 옆쪽 묘역으로 오르는 길이 보여 묘역으로 올랐다. [사당 우측 옆쪽 묘역 오르는 길] 사당 삼문인 遁和門(둔화문)은 닫혀 있기에 우선 안내판의 안내글을 담고는 옆쪽 묘역으로 오르는 길이 보여 그곳으로 갔더니, 참배객 외에는 출입금지란 팻말이 붙어 있네요. 답사도 참배하려 들리는 거나 마찬가지니 묘역으로 향했다. [묘역으로 오르는 길에 담은 사당 옆 전경] 李集(이집, 1327~1387)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
2015.11.23 -
順天金氏 始祖(순천김씨 시조) 金摠(김총) 영당과 墓(묘)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주암리 산 32 전남민속자료 제27호 [순천김씨 시조 사적지 표시석과 안내표시석 전경] 당일치기로 다녀오기 위해 새벽 일찍 집에서 출발 고속도로를 경유하며, 시골길을 달려 도착한 시간이 너무 일렀을까? 짙게 낀 안개가 아직도 걷히지 않고 신비스럽게 사적지를 덮고 있었다. [성황신 김총 영정 안내석 글 내용] [성황신 김총 영정 안내석 영문 글 내용] [사당과 재실 전경] 사적지 표시석을 지나 우선 적당한 곳에 주차를 하고, 디카를 꺼내들었다. 담은 사진은 이렇게 뿌옇게 안개가 낀 새벽 기온이 촉촉하게 온 몸을 감싸는듯 하다. [순천김씨사적지연혁비와 공덕비] 사당 옆 터에 세워놓은 순천김씨사적지연혁비와 공덕비이다. [동원재 외삼문 전경] [崇尙門(숭상문) 현판] [재실 삼..
2015.10.28 -
廣原君(광원군) 李克墩(이극돈) 墓(묘)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3-1 성남시향토문화유적 제7호 [도로변 광주이씨 묘역 안내팻말 전경] [李克墩(이극돈) 神道碑(신도비)] [神道碑(신도비) 정면 사진] [광원군 이극돈 행적비와 묘로 오르는 계단 전경] 긴 계단을 오르면 곧장 광원군 이극돈의 묘가 보인다. [광원군 이극돈 행적비] 廣原君(광원군) 諱(휘) 克墩(극돈) 行蹟碑(행적비) 성남시향토문화유적 제7호 라 새겨져 있다. [광원군 이극돈 묘 전경] 조선 전기의 문신 李克墩(이극돈, 1435년 ~ 1503) 본관 廣州(광주), 자 士高(사고), 호 四峯(사봉)이다. 우의정 李仁孫(이인손)의 넷째 아들로 세조 3년(1457) 署令(서령)으로서 親試文科(친시문과)에 丁科(정과) 급제하였다. [좌측에서 담은 李克墩(이극돈) 묘] ..
2015.10.10 -
監司公(감사공) 李世貞(이세정) 묘역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3-1 성남시향토문화유적 제 7호 [광주이씨 묘역 안내팻말] 안내팻말에는 둔촌선생의 아들 炭川(탄천) 李之直(이지직), 증손 廣原君(광원군) 李克墩(이극돈) 그의 아들 監司公(감사공) 李世貞(이세정)의 묘가 300m 떨어진 곳에 있다고 적혀 있다. [묘역으로 가는 길] 아랫쪽에는 대원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대원공원은 청소년을 위한 아주 특별한 휴게공간으로 조성되었다 한다. 별자리를 생생하게 구경할 수 있는 '별자리광장', 춤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빛과 소리무대', 인라인스케이트로 스릴을 즐길 수 있는 'X-게임장', 체력단련시설 등으로 꾸며놓았다 합니다. 물론 산책길따라 거닐다 보면 우리의 조상 묘역도 함께 들려볼 수 있지요. [아래쪽에서 담은 李..
2015.10.09 -
觀察使(관찰사) 李禮孫(이예손) 묘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169 성남시 향토유적 제7호 [안내팻말] [묘 오르는 길]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廣州(광주), 자는 季胤(계윤)이다. 參議(참의) 李之直(이지직)의 아들로 세종 16년(1434) 謁聖文科(알성문과)에 급제하여 司諫院 右正言(사간원 우정언)에 제수되었고, 이어 여러 관직을 거쳤다. [묘 오르는 길 2] 외조부는 李元普(이원보), 처부는 朴曙(박서), 형은 李長孫(이장손), 李仁孫(이인손)이며, 아들은 참판 李克基(이극기), 좌통례 李克堅(이극견)이다. [안내석과 묘역 전경] 내금위사인으로 출발하여 사간원우정언, 사간원좌정에 임명되었다. 司憲府持平(사헌부지평)으로서 金何(김하)가 간음한 사실을 탄핵하였다. 세종 26년(1444)에 병조정랑이 되었다가 외직으로..
2015.09.18 -
許蘭雪軒(허난설헌) 墓域(묘역)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산 29-5 경기도 기념물 제 90호 [허난설헌 안내표석] 이곳도 찾기가 힘이 들었다. 네비양이 가르켜 주는 주소의 목적지는 고속도로위 역시 말 물음으로 물어 물어 이곳까지 오게 되었다. 허난설헌 지묘라 새겨진 안내석이 반갑다. [안내석 글 내용] [재실과 안내판과 허난설헌 묘 전경] 안내석이 인도해 주는 대로 아늑한 길을 따라 오르니, 우측으로 주차장이 보여 우선 주차를 하고 돌아보니, 허난설헌의 묘가 재실과 함께 높다른 둔덕위에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안내판 글 내용] [묘역 옆 재실 전경] [정면에서 담은 묘역 전경] 난설헌 무덤은 안동 김씨 묘역에 있다. 3단으로 되어 있는데 남편과는 죽어서도 따로 떨어져 있다. 김성립은 후처로 들어온 남양 홍씨와 합장되어 ..
201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