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32)
-
반남박씨 안동 입향조 박숙 묘와 德洞齋舍(덕동재사)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리2리 640 [德洞齋舍(덕동재사) 전경] 안동입향조인 朴䃞(박숙)의 묘제를 위한 재실로 박숙 묘하에 있다. [우측에서 담은 德洞齋舍(덕동재사) 전경] 재사란 후손들이 조상의 묘를 수호하고 墓祭(묘제)를 받들기 위해 산소 아래나 가까운 곳에 지은 건물을 칭한다. [德洞齋(덕동재) 현판] [우측에서 담은 德洞齋舍(덕동재사)] 그 명칭에 있어서도 齋舍(재사), 齋室(재실), 齋宮(재궁), 齋閣(재각)등으로 다양하게 부르는데 대개 齋舍(재사)라 지칭한다. [德洞齋舍(덕동재사) 내부] 묘소와 묘제를 수호하기 위하여 조선 중기에 창건하였는데, 오랜 세월지나면서 건물이 낡아져 새롭게 중수하였다 한다. [좌측에서 담은 德洞齋舍(덕동재사)] 이곳의 옛 지명이 '德洞(덕동)'이기 때문..
2016.06.22 -
고려말의 문신 남휘주, 남민생 부자 묘
소재재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중가구리 [재사쪽에서 담은 設壇(설단) 전경] 보통 재사의 누마루는 산소를 바라보는 법인데, 南興齋舍(남흥재사)는 '設壇(설단)'쪽을 바라보고 있다. 남흥재사를 둘러보지 못하여 궁금하시다면 요기 클릭하셔서 들려보셔요. [유허비와 설단기념비 전경] '壇(단)'은 묘를 확인하기 어렵고 실전되어 찾을 수 없을 때 조상을 모시는 '設壇(설단)'이다. 여러 분의 조상을 合祀(합사)하여 제사를 모실 경우도 '壇(단)'을 차려 놓는다. 이럴 때는 神主(신주)를 모실 수가 없다 한다. [설단기념비 글 내용] [유허비 전경] [묘소로 가는 길] 설단옆 도로에서 조금 더 내려가면 우측으로 빠지는 길이 있다. 그곳을 조금 더 오르면 묘소로 가는 길이 있지만, 무성한 풀들이 우거져 자칫하면 ..
2016.06.21 -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580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전경] 퇴계 이황선생의 형님이신 온계 이해선생께서 살림을 나신 집으로 삼백당 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溫溪先生舊宅(온계선생구택) 현판] [종택 삼문]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솟을삼문 전경] [협분] 정문인 솟을 삼문은 닫혀 있고, 다행이 협문은 열려있었다. 온계종택 주인이신듯 하신 분이 주변 정리를 하시고 계시기에 양해를 구하고 집안으로 들어갔다. [협문쪽에서 담은 전경] [안채 대문] 대문도 닫혀있었지만, 허락을 얻을때 안채에는 들리지 않기로 하였기에 그냥 통과~ [三柏堂(삼백당) 현판] [三柏堂(삼백당) 전경] 1520년경에 지어진 집으로 溫溪(온계) 李瀣(이해, 1496~..
2016.06.20 -
안동 南興齋舍(남흥재사)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중가구리 535 경상북도 민속자료 28호 [입구쪽에서 담은 南興齋舍(남흥재사) 전경] 고려말의 문신 南輝珠(남휘주,1326∼1372) 南敏生(남민생, 1348∼1407) 부자의 묘를 보호하고 제사를 준비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南興齋舍(남흥재사)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안내판 중국어 글 내용] [안내판 일본어 글 내용] [南興齋舍(남흥재사) 현판] [南興齋舍(남흥재사)] 1500년대 창건한 것으로 추정하며, 南興寺(남흥사)의 법당을 개조한 것으로 이곳 지명을 따라 南興齋舍(남흥재사)라 하였다. 남흥재사의 또 하나 볼거리는 2층으로 된 건물이라합니다. 1층은 뒤주와 광으로, 요즘으로 말하면 냉장고의 역할을 했기 때문에 여름에 음식이나 식량..
2016.06.18 -
안동 천전리 霽山宗宅(제산종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29호 [霽山宗宅(제산종택) 표지석과 안내판] [안내판 글 내용] [닫힌 제산종택 현대식대문] 안동 천전마을 동쪽 끝편에 있는 齊山宗宅(제산종택)이다. 이 집은 조선후기 영조대 학자이자 관리였던 김성탁이 살았던 집이다. 이 집은 살림집와 김성탁이 후학을 양성하던 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霽山宗宅(제산종택) 전경] 霽山(제산) 金聖鐸(김성탁, 1684~1747) 자 振伯(진백), 호 霽山(제산), 본관 義城(의성) 남인의 명문인 천전김씨(김진의 후손)의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부터 촉망받는 학자였으나, 또한 그로 인해 노론의 집중적인 攻斥(공척)을 받아 유배지에서 생을 마쳤다. 저서로는 '제산문집' 16권이 있다. [霽山宗宅(제산종택)] 종택은 ..
2016.06.17 -
안동 천전리 恥軒(치헌)고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225-1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3호 [입구쪽에서 담은 恥軒(치헌)고택 전경] [안내판 글 내용] [恥軒(치헌)고택] 菊灘(국탄) 金始精(김시정)의 셋째아들 金永運(김영운)이 1785년 分家(분가)할 때 건립한 집이다. 집을 짓는 데 쓴 재목은 인근의 맏집인 菊灘宅(국탄댁)을 짓고 남은 것으로 충당하였다 한다. [대문에서 담은 우측 전경] 堂號(당호)는 金永運(김영운)공의 號(호)를 따라 恥軒(치헌)이라 불렀다. [대문 좌측 고택 전경] 원래는 臨東面(임동면) 知禮里(지례리) 897번지에 위치하였으나 임하댐 건설로 1988년 현 위치로 이건했다. [恥軒(치헌)고택 2]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편에 안채 부속 건물이 있다. 'ㅁ..
2016.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