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11)
-
봉화 陶巖亭(도암정)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거촌2리 502 시도민속자료 제54호 [陶巖亭(도암정) 전경] 봉화읍 들어서기 직전의 한적한 거촌 황전마을에는 1650년 조선 효종 때 문신이였던 黃坡(황파) 金宗傑(김종걸, 1628~1708)이 세운 陶巖亭(도암정)이 있다. 당대의 유림들이 모여 時流(시류)를 논하고 풍류를 즐기며 交遊(교유)를 다진 곳이다. 김종걸 선생은 학식이 높았을 뿐 아니라 효성이 지극하기로도 팔도에 유명했다. 死後(사후)에 儒林(유림)의 추천으로 이조참판으로 추증된 인물이기도다. [陶巖亭(도암정) 현판] [陶巖亭(도암정)] 유림들이 세상사와 시를 읊던 곳으로 남향 건물이며 앞에는 인공섬을 갖춘 연못이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락식 건물로,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홑처마이다. [도암정..
2016.06.15 -
野翁亭(야옹정)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구천리 348 경북문화재자료 제153호 [마을 입구에서 담은 野翁亭(야옹정) 전경] 野翁(야옹) 全應房(전응방)이 선조 때 건립한 정자이며, 도덕과 학문을 강의하고 토론하던 곳이다. 野翁(야옹) 全應房(전응방)의 할아버지 전희철은 임진왜란시 의병장 趙憲(조헌)의 裨將(비장)으로 큰 공를 세웠으며 금산싸움에서 金節(김절), 邊繼溫(변계온) 등 16인의 비장과 함께 전사한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野翁亭(야옹정) 현판] 현판은 退溪(퇴계) 李滉(이황)의 親筆(친필)이며, 전응방의 호 野翁(야옹)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野翁亭(야옹정)]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팔)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야옹정 안내판과 옆 건물] [안내판 글..
2016.06.06 -
沖齋(충재) 權벌(권벌) 묘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神道碑閣(신도비각)] 추원재에서 바라본 신도비와 묘역 오르는 계단 [神道碑(신도비]] 신도비명은 특이하게도 두 기가 써 있다. 원래는 사후 20년이 되던 1568년(선조1)에 좌의정에 추증 되었을 때 사암 박순이 지었으나, 선조24년(1591)에 재차 광국원종공신 1등에 녹훈되어 영의정으로 증직되자 우복 정경세가 다시 지은 때문이라 한다. [神道碑文(신도비문)] [沖齋(충재) 權벌(권벌) 묘] 單墳(단분)으로 정경부인 화순 최씨와 합장이다. 묘갈에는 '忠定公沖齋權先生之墓(충정공충재권선생지묘)'라 쓰여 있다. 본관은 安東(안동). 자 仲虛(중허), 호 ?齋(충재). 萱亭(훤정). 松亭(송정). 할아버지는 副護軍(부호군) 琨(곤)이고, 아버지는 성균생원 증영의정 士..
2016.01.09 -
봉화 追遠齋(추원재)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870 시도유형문화재 제343호 [追遠齋(추원재)] 추원재는 단종조의 명신인 영의정 芝峯(지봉) 皇甫仁(황보인)이 수양대군에게 화를 입어 삼족을 멸하는 화를 당함에 지봉의 막내딸이 부군인 主簿(주부) 尹塘(윤당)과 함께 이곳에 은거하였다. [追遠齋(추원재) 현판글씨] [追遠齋(추원재)] 충재종택 우측편 계곡 내에 자리하고 있는 추원재는 종택과도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沖齋(충재) 權벌(권벌) 선생은 외조부인 주부공 내외분과 선생의 부모 묘소를 관리하기 위해 자그마한 재실을 두었으나, 선생이 을사사화로 배소인 朔州(삭주)에서 돌아가시자 이곳에 유해를 모시고 재실을 지었으며, 그후 1671 후손들이 중건하였다고 한다. 북부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많은 재실..
2016.01.09 -
후토스(잃어버린 숲) 촬영지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871 [후토스 잃어버린 숲 좔영장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황폐해진 지구 최후의 생존자 시로와 후토스 친구들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곳입니다. 자아 그럼 오늘은 동심으로 돌아가 후토스 촬영장을 둘러보실까요. [입구에서 본 촬영장 전경] Hutos(후토스)는 한국방송공사가 제작한 어린이 대상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주인공 아라, 모야, 조아, 나도, 시로의 모험과 우정을 담은 얘기이다. 촬영 이외 세트장은 개방하고 있어, 아이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해 주고 있다. Hutos(후토스)란 Hut on a slope(언덕 위의 집)의 줄임말로 'Hutos(후토스)'란 기원을 알 수 없는 종족을 뜻한다 합니다. 의자에 앉아 있는 케릭트는 조아와 시로 시로가 화를 ..
2015.12.28 -
奉化(봉화) 忠孝堂(충효당)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창평리 220 문화재자료 466호 [忠孝堂(충효당) 입구 골목길] 마을 안쪽으로 들어가다 좌측 골목길을 접어들면 산기슭 아래 예스러운 건물이 한 채 보인다. 뒤쪽으로 보이는 건물이 신도비각과 忠孝堂(충효당)이다. [우측 忠孝堂(충효당)] 1750년경 후손과 유림에서 조선 선조 때 사람인 李長發(이장발, 1574~1592)의 충효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좌측 관리사 주택] 후손이 거주하고 있는 관리인 주택. [忠孝堂(충효당)] 李長發(이장발)의 자는 榮伯(영백)으로, 어려서부터 재질과 의지가 굳어 배움에 부지런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였다 한다. [忠孝堂(충효당) 현판] [담 밖에서 담은 忠孝堂(충효당)] 선조 25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열아홉의 어린 나이로 편..
2015.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