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11)
-
沖齋博物館(충재박물관)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1리 934 [沖齋博物館(충재박물관) 현판] [沖齋博物館(충재박물관)] 1980년대 중반에 국가보조금과 후선들의 성금을 모아 종가 경내에 작은 규모의 유물관을 지었으나 전시관리 및 주변경관과 관련된 여러문제로 인하여 2007년 현재의 위치에 재건립하였다. 얼마전 올린 봉화 靑巖亭(청암정) 바로 옆에 있는 충재박물관입니다. 靑巖亭(청암정) 게시물을 보시지 못하신 이웃님께서는 아래를 클릭하셔서 들려보셔요. 박물관에는 보물로 지정된 충재일기 근사록을 비롯한 각종 소장견적, 고문서, 유묵등 총5건 40종 482점의 국가지정문화재와 3,000여 책의 전적을 포함한 각종유물들이 보관되어 있다 합니다. [충재 권벌선생 불천위 제사상 전경] 자석으로 되어있으니, 만져보셔도 된다 합..
2015.12.26 -
봉화 靑巖亭(청암정)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명승 제 60 [충재 박물관쪽으로 난 청암정 일각문] [안내판 글 내용] [정자 내부에 걸린 靑巖亭(청암정) 현판] [靑巖水石(청암수석) 현판] 거북바위에 지어진 청암정은 날아갈듯 날렵한 모습으로 바위 위에 가볍게 올라 앉아 있으며, 정자 내에는 '靑巖亭(청암정)'이란 당호와 함께 조선의 명필 미수 許穆(허목 1595~1682)선생이 전서체로 쓴 '靑巖水石(청암수석)'이라 쓴 편액이 걸려 있다. [靑巖亭(청암정)] 닭실마을의 중앙부위에 위치한 거북이 모양의 바위위에 정자를 건축하고, 바위주변에는 거북이가 좋아하는 물을 담기위해 인공연못으로 조성한 靑巖亭(청암정)은 500여년 마을의 역사와 함께하고 있다. [石橋(석교)]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정자를 꼽으라고 하면 그..
2015.12.22 -
奉化鄕校(봉화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봉성리 267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53호 [奉化鄕校(봉화향교) 전경] 향교는 선현들에 대한 제사와 학문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세워진 공립학교이다. 고려 17대 인종 5년(1125)에 각 지방에 향학당을 세우라는 교시에 의해 처음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한다. 조선시대 태종 이후에는 유교를 진흥할 목적으로 府(부), 牧(목), 郡(군), 縣(현) 마다 하나씩 건설하여 나갔다. 정문인 由敎門(유교문)은 작고 아담하다. 키도 그렇게 높지 않으며,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이다. [由敎門(유교문)] 향교의 배치는 由敎門(유교문). 樓閣(누각). 明倫堂(명륜당). 內三門(내삼문). 大成展(대성전)의 순서로 되어 있는데, 앞에는 가르치는 곳을 두고 뒤에는 제를 지내는 廟堂(..
2015.12.22 -
奉化(봉화) 鳳棲樓(봉서루)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봉성리 387 문화재자료 제418호 [鳳棲樓(봉서루)와 안내판 전경] 鳳棲樓(봉서루)는 봉성면 소재지 중심부 시장 안쪽에 자리하고 있는데, 관아의 문루였던 봉서루가 이곳에 있는 까닭은 옛 봉화의 읍치가 바로 현 봉성면 중심지였던 때문이라 한다. [房鄕(방향) 현판] 보통의 한자로 쓰여진 현판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읽게 되어있는데, 이곳의 현판은 房鄕(방향)이라 읽지 않고 鄕房(향방)이라 읽는다 한다. 왜 그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房鄕(방향)?? 잠시 헷갈렸다. [鄕房(향방)과 안내판] 봉서루는 현재 봉성리 시장 내에 자리하고 있기에... 주변은 식당과 가계와 주차해둔 차들도 인해 사진을 담기가 힘들었다. 피해서 담느라 전체의 전경은 담지 못하였습니다. [안내판 글 내용] ..
2015.12.22 -
봉성 金輪峰(금륜봉) 과 돌 거북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봉성리 386-1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비지정문화재 [鳳棲樓(봉서루) 와 頌德碑(송덕비) 전경] 鳳棲樓(봉서루)는 새로운 게시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곳에서는 생략.. [頌德碑閣(송덕비각) 전경] 頌德碑閣(송덕비각) 안에는 '縣監趙公東益永世不忘碑(현감조공동익영세불망비)'라 새겨진 쇠로 부어 만든 頌德碑(송덕비)가 있다. [縣監趙公東益永世不忘碑(현감조공동익영세불망비)] [봉성 금륜봉 과 돌 거북. 송덕비각. 봉서루 전경] 돌 거북 뒤쪽으로 송덕비각과 봉서루가 함께 나란히 붙어 있다. 봉화군 봉성면은 유서 깊은 옛 봉화 고을(縣)의 소재지로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古斯馬縣(고사마현)에 속했으며, 신라의 경덕왕 때에는 玉馬縣(옥마현), 고려 현종 때에는 鳳城縣(봉성현), ..
2015.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