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362)
-
休休堂(휴휴당) 不祧廟(부조묘)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도개다곡길 378-18 문화재자료 제527호 [휴휴당 부조묘 전경] 본래 4대가 넘는 조상의 신주는 사당에서 꺼내 묻어야 하지만 나라에 공훈이 있는 사람의 신위는 왕의 허락으로 옮기지 않아도 되는 '不遷之位(불천지위)'가 된다. 불천지위가 된 대상은 사당에 계속 두면서 기제사를 지낼 수 있다. [부조묘비와 뒷쪽 사당 전경] '不祧廟(부조묘)'는 중국의 한나라 때부터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부조묘가 등장한 것은 고려 중엽 이후 사당을 짓게 되면서부터이다. 불천위가 된 신주는 처음에 묘 밑에 설치할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종가 근처에 사당을 지어둘 수 있게 됨으로써 부조묘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부조묘는 본래 국가의 공인절차를 받아야 하나 후대로 오면서 지방 유림의 공의..
2016.07.04 -
吳一島 生家(오일도 생가)와 詩碑公園(시비공원)
소재지 :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감천리 780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48호 [吳一島詩碑 公園(오일도시비 공원)] 본명은 熙秉(희병)이요 一島(일도)는 雅號(아호)이다. 吳時俊(오시준) 漆原 縣監(칠원현감)의 10세손이며 吳益休(오익휴)선생의 둘째 아들로서 光武(광무) 5년(1901) 영양면 甘川洞(감천동)에서 태어났다. 8세에 私淑(사숙)에서 6년간 한문을 배웠을때도 성적이 우수하였다. [좀더 가까이서 찍은 吳一島 詩碑] 1915년 3월 16세로서 뒤늦게 영양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한 학년을 건너뛰어 1918년에 4학년을 졸업하고 전국의 수재들이 모여드는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에 응시 합격하여 입학하였다. 1923년 일본 동경의 立敎(입교)대학 철학부에서 學究(학구)에 精進(정진)하는 한편 詩藝術(시예술..
2016.07.01 -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생가
소재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충청대로841번길 17 [생가 안내팻말] 주차장에 차를 주차해 놓고 골목길로 들어섰습니다. 골목길이 끝나는 곳에 반기문 평화랜드가 보였으며, 만국기가 바람에 펄럭이고 있었다. 평화랜드 앞쪽에 세워져 있는 생가 안내팻말을 보고 생가부터 들려보기로 하였다. [생가 앞쪽에 있는 광주반씨 장절공파 행치종중 사당] 이 곳은 선조영정 다섯분과 위패 삼십분을 모시고 있는 곳으로 광주반씨 장절공파 행치종중 사당으로 2000년도에 건립되었으며, 매년 음력 10월 3일 제사를 지낸다고 한다. [생가 전경]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생가마을인 행치마을은 보덕산이 좌우에서 감싸안고 있으며, 온화하고 정겨운 느낌을 주는 마을로 생가, 기념관, 평화랜드 및 선영과, 사당, 돌로 만든 세계도(족보), ..
2016.06.24 -
대구시민 안전테마파크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1155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현판]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전경]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는 실질적인 안전체험을 위하여 특화된 지하철안전전시관을 비롯하여 산악안전전시관, 지진안전전시관, 미래안전영상관 등을 운영하고 있다. 안전의식 고취와 함께 우리가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재난 상황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다. [안내팻말 과 자라 바위(돌거북) 전경] [자라 바위(돌거북) 안내판 글 내용] [대구시민안전파크] 상인동 가스폭발 사고, 2.18 지하철참사 등 각종 재난과 안전사고 유발요인을 분석하고이에 대한 실질적인 체험교육을 통해 시민의 안전의식과 재난대응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한다. [대구시민안전파크 2] 1코스(본관) 지하철안전체험 생활안..
2016.06.23 -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580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전경] 퇴계 이황선생의 형님이신 온계 이해선생께서 살림을 나신 집으로 삼백당 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溫溪先生舊宅(온계선생구택) 현판] [종택 삼문]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솟을삼문 전경] [협분] 정문인 솟을 삼문은 닫혀 있고, 다행이 협문은 열려있었다. 온계종택 주인이신듯 하신 분이 주변 정리를 하시고 계시기에 양해를 구하고 집안으로 들어갔다. [협문쪽에서 담은 전경] [안채 대문] 대문도 닫혀있었지만, 허락을 얻을때 안채에는 들리지 않기로 하였기에 그냥 통과~ [三柏堂(삼백당) 현판] [三柏堂(삼백당) 전경] 1520년경에 지어진 집으로 溫溪(온계) 李瀣(이해, 1496~..
2016.06.20 -
안동 南興齋舍(남흥재사)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중가구리 535 경상북도 민속자료 28호 [입구쪽에서 담은 南興齋舍(남흥재사) 전경] 고려말의 문신 南輝珠(남휘주,1326∼1372) 南敏生(남민생, 1348∼1407) 부자의 묘를 보호하고 제사를 준비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南興齋舍(남흥재사)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안내판 중국어 글 내용] [안내판 일본어 글 내용] [南興齋舍(남흥재사) 현판] [南興齋舍(남흥재사)] 1500년대 창건한 것으로 추정하며, 南興寺(남흥사)의 법당을 개조한 것으로 이곳 지명을 따라 南興齋舍(남흥재사)라 하였다. 남흥재사의 또 하나 볼거리는 2층으로 된 건물이라합니다. 1층은 뒤주와 광으로, 요즘으로 말하면 냉장고의 역할을 했기 때문에 여름에 음식이나 식량..
2016.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