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188)
-
恭讓王淩(공양왕릉)답사
소재지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강원도 기념물 제71호 [왕릉 표지판] 울진에서 강원도 삼척시로 가는 도중 황영조 기념공원을 지나 2km 정도가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좌측으로 영은사 표지판을 보면서 그대로 직진하면 오르막길에 '공양왕릉' 표지판 오른쪽 너머로 王陵(왕릉)이 보인다. [공양왕릉 전경] 이곳의 지명유래에 따르면 궁촌은 임금이 유배된 곳이라 하고, 마을 뒷길 고돌산에서 공양왕이 살해되었다는 살해재가 있다. 또한 공양왕의 맏아들 왕석이 살았다는 궁터, 말을 매던 마리방이라는 지명도 전한다. 삼척 宮村(궁촌)에서는 3년마다 漁龍祭(어룡제)를 지내는데, 그에 앞서 반드시 공양왕릉 앞에서 먼저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남아 있다. [안내판 글 내용] [왕릉으로 가는 돌계단] 돌계단을 오르며, 불우..
2015.10.12 -
화성 龍珠寺(용주사)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송산리 188번지 [思悼世子(사도세자)의 원찰 龍珠寺(용주사)] 경기도 화성시 태안읍의 화산 기슭에 龍珠寺(용주사)가 자리하고 있다. 효심이 지극한 정조가 당파싸움에 희생양이 된 아버지 사도세자를 위하여 지은 용주사는 4년간의 공사 끝에 완공했는데, 낙성식 전날 밤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을 꾸었기에 용주사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 내려온다. 절을 지을 때 정조가 보경스님을 시켜 만든 佛說父母恩重經板(불설부모은중경판)도 보관되어 있다. 부모가 자식을 잉태하여 낳고 기르기까지의 은혜와 그 은혜를 갚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불교경전으로 자식에게 효를 강조하는 것만 아니라, 부모의 구실까지 생각해 보게 하는 효에 관한 경전이다. 계비 김씨의 아버지 김한구와 그 일파인 홍계희, ..
2015.10.11 -
監司公(감사공) 李世貞(이세정) 묘역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3-1 성남시향토문화유적 제 7호 [광주이씨 묘역 안내팻말] 안내팻말에는 둔촌선생의 아들 炭川(탄천) 李之直(이지직), 증손 廣原君(광원군) 李克墩(이극돈) 그의 아들 監司公(감사공) 李世貞(이세정)의 묘가 300m 떨어진 곳에 있다고 적혀 있다. [묘역으로 가는 길] 아랫쪽에는 대원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대원공원은 청소년을 위한 아주 특별한 휴게공간으로 조성되었다 한다. 별자리를 생생하게 구경할 수 있는 '별자리광장', 춤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빛과 소리무대', 인라인스케이트로 스릴을 즐길 수 있는 'X-게임장', 체력단련시설 등으로 꾸며놓았다 합니다. 물론 산책길따라 거닐다 보면 우리의 조상 묘역도 함께 들려볼 수 있지요. [아래쪽에서 담은 李..
2015.10.09 -
순천 龍岡書院(용강서원)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금곡동 285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 121호 [입구 쪽에서 담은 서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서원 솟을 삼문] 학포 양팽손과 장춘 양신용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梁彭孫(양팽손, 1488~1545). 자 大春(대춘). 호 學圃(학포). 본관 濟州(제주). 중종 11년(1516)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己卯士禍(기묘사화) 때 사직되어 고향인 능주로 돌아왔다. 이 때 능주로 유배된 조광조와 많은 교류를 하였다. 글과 그림에 능한 그는 당시 신진사류의 한사람으로 활약하였다. 文章(문장)과 書畵(서화)로 명성을 얻은 문신이다. 그는 조선 후기의 尹斗緖(윤두서, 1668~1715), 말기의 許鍊(허련, 1809~1892)과 함께 호남의 대표적인 문인화가로 손꼽히..
2015.10.07 -
울진 평해 越松亭(월송정)
소재지 : 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 362-2 [월송정으로 가는 울창한 솔숲] [울진군 관광 안내판] 關東八景(관동팔경) 중 제일 남쪽에 있는 越松亭(월송정)은 조선 중기 관찰사 박원종(朴元宗)이 중건하였으나 세월이 흘러 퇴락되었던 것을 1933년 鄕人(향인) 黃萬英(황만영)등이 다시 중건하였다. [월송정 가는 솔숲길] [안내판 전경] 그 후 일제 말기 제2차 세계대전 중 적기(연합군)내습의 목표가 된다 하여 월송주둔 일본군이 철거하여 폐허가 되었던 것을 1969년 4월 평해, 기성, 온정면 출신의 재일교포로 구성된 金剛會(금강회)의 후원을 받아 철근 2층 콘크리트의 현대식 건물로 정자를 신축하였다가 옛모습이 아니다 하여, 1979년 해체하고 1980년 7월에 옛모습으로 복원하였다. [월송정 중건비] ..
2015.10.06 -
義牛塚(의우총)
소재지 : 경북 구미시 산동면 인덕리 104-1 경북 구미시 시도민속자료 제106호 [안내판과 義牛塚(의우총) 전경] 구미시 산동면 인덕리에 마련되어 있는 충직한 소의 무덤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옛날에 문수점(지금의 인덕리)이라는 마을이 있었는데 그곳은 3면이 산이었다. 이 마을에는 김기년이라는 사람이 암소 한 마리를 키우고 있었는데, 어느해 여름 밭을 갈고 있을 때 갑자기 호랑이가 소에게 덤벼들었다. 이 때 김기년이 괭이로 호랑이를 치려 하자 이번엔 호랑이가 김기년에게 덤벼들어 소가 뿔로 호랑이를 여러 번 찔러 도망가게 만들었다. [안내판 글 내용] [義牛塚(의우총)과 義牛圖(의우도) 전경] 그러나 20일 후에 상처가 깊어 김기년은 죽었는데, 죽기 전에 가족에게 말하기를 내가 호..
2015.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