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여러 종류의 민속자료(108)
-
高峯(고봉) 奇大升(기대승) 神道碑(신도비)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 [신도비 가는 길(철학자의 길)] 신도비 가는 길은 철학자의 길이기도 하고, 또 황룡강 누리길 가는 길과 도 이어져 있다. [탐방로 안내도] [황룡강 누리길 가는 길 안내도] [백우정 전경] 백우정으로 올라가는 길은 황룡강 누리길이지만 철학자의 길이기도 하다. 현재 수리 중에 있다는 백우정에는 들리지 않고, 신도비로 향했다. [기대승 선생 신도비 옆 전경] 고봉 기대승은 광주 출신으로 16세기 대표적인 성리학자이다. 그는 퇴계와 사단칠정을 비롯한 성리 논변을 통해 자신의 학문적 지평을 넓혔으며, 율곡의 성리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합니다. [가까이서 담은 신도비] 조선 최고의 사상 로맨스 퇴계와 고봉의 편지를 통한 사상 논쟁 처음 만나 편지왕래를 시작했을 때 그들의 나..
2018.06.13 -
복구 중인 진천 농다리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601-32 [주차장 쪽에서 담은 진천 농다리 전경] [안내판의 진천 농다리 안내도] [진천 농다리 안내판 글 내용] [농다리 수변 탐방로 안내도] [복구 중인 농다리와 임시 신설된 다리] 鎭川(진천) 籠橋(농교)는 진천읍을 관통하는 백사천과 이월면을 적시는 덕산 한천천이 합류해 흐르는 백곡천에 놓인 돌다리이다. 농다리. 수월교라고도 하며, 지네를 닮았다고 하여 지네 다리라고도 불린다.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되었다. 농다리는 조성 당시의 상황을 엿볼 수 있는 사료가 없다. 삼국시대 김유신 장군의 부친 김서현 장군이 군사적 목적으로 놓았다는 설과 구곡리 출신 임연 장군이 고려 후기에 고향인 세금천에 놓았다는 설이 전한다. '常山..
2018.04.30 -
李時發神道碑(이시발 신도비)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196-11 충북 유형문화재 제142호 [李時發神道碑(이시발 신도비)와 雙梧碑閣(쌍오비각) 전경] 신도비란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시발(1569∼1626)선생의 행적을 기리고 있다. [안내판 글 내용] [雙梧碑閣(쌍오비각) 현판] [李時發神道碑(이시발 신도비)와 雙梧碑閣(쌍오비각)] 본관 慶州(경주). 자 養久(양구), 호 碧梧(벽오)이다. 선조 2년(1569) 충청북도 오창면 오근리(지금의 장대리)에서 梧村(오촌) 李大建(이대건)의 아들로 태어났다. 부자의 호에 똑같이 梧(오) 자가 들어 있는 것은 그들이 살던 梧根里(와 근리)와의 연고 때문이라 한다. [神道碑(신도비)와 雙梧碑閣(..
2018.04.28 -
新都案(신도안) 도성
소재지 :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6호 [1지역 안내판과 신도안 도성 전경]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 및 석재 안내 글 내용] [신도안 도성 추측도] [신도안 도성 추측도 안내판 글 내용] [1지역 신도안 도성 안내판 전경] [천도 논의] [신도 후보지 계룡산 순회] [고유제 모습] [신도안 도성 건축] [신도안 도성 앞쪽 쉼터] 계룡산은 '鄭鑑錄(정감록)'에도 나와 있는 吉地(길지)로서 제일 먼저 천도 후보지에 올라 도성 축성을 일정 부분 진행하였다. 그러나 위치가 나라 전체에 비추어 볼 때 너무 남서쪽에 치우쳐 있고 圖讖思想(도참사상)에 의하면 계룡산 일대는 鄭氏(정씨)가 도읍을 세우는 곳이라는 주장 때문에 10개월 만에 공사가 중단되었다 한다. [1지역 신도안 도성 주춧돌 전..
2018.04.16 -
대구 달성공원 앞(순종황제남순행로)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성내 3동 [달성공원 입구쪽 순종황제남순행로 전경] 대한제국 2대 황제 純宗(순종)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1874년 3월 25일 誕生(탄생) 1926년 4월 25일 崩御(붕어) 고종황제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1897년 대한제국의 건국과 함께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1907년 헤이그 특사사건으로 고종의 양위를 받아 제2대 황제로 즉위하였으며, 연호는 隆熙(융희)라 했다. [皇帝之寶(황제지보)] [皇帝之寶(황제지보) 안내 글] [달성공원 입구쪽 순종황제남순행로 바닥에 새겨진 무궁화] 순종은 어머니 명성황후가 일본자객에게 시해당하고 시신마저 불태워져 찢어지는 아픔과 고통을 감내해야 했다. 또한 헤이그특사 사건으로 일본제국에 의한 고종의 강제 퇴위와 거짓 황위 계승식을 통한 허수아비 ..
2018.04.12 -
수창공원 내 흔적 기둥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수창동 [대구예술발전소에서 담은 앞쪽 수창공원 흔적 기둥 전경] [흔적기둥 전경] 중구 수창동에 소재한 수창공원은 1999년도 폐쇄된 KT&G대구공장부지에 일부공간을 활용한 근린공원으로 조성된 곳으로 과거 연초 제조창의 남겨진 기둥을 활용하여 대구의 역사흔적을 담은 역사적 공간과 인근 문화예술발전소와 연계하여 예술인들의 창작 및 전시, 공연 활동의 거점으로 활용한 공간이라 합니다. [달구벌의 시간] [달구벌의 기둥 아랫쪽 안내도] [달구벌의 시간] [흔적 기둥 설명 글] [계산성당] [계산성당 설명 글] [대구읍성 설명 글] [약전골목] [약전골목 설명 글] [흔적 기둥] 순종황제 남순행] [달성공원] [달성공원 설명 글] [국채보상운동 기념공원] [국채보상운동 기념공원 설명 ..
2018.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