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여러 종류의 민속자료(108)
-
대구읍성 조형물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성내1동 [도로 건너 북성로 공구골목쪽에서 담은 대구 읍성 조형물 전경] 대구 북성로에 '대구읍성'을 상징하는 조형물을 세웠다. 위 사진처럼 돌로 쌓은 읍성 모양의 조형물 중앙에는 대문 좌 우측에 동판에는 읍성과 관련된 설명문과 3개의 외부 스크린에는 중구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 등이 담긴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대구 읍성의 서문 달서문)] "길을 따라 만들어진 새로운 상권들" 대구읍성이 철거된 이후 일본인들이 주로 거주했던 읍성 밖 땅값이 폭등했고, 십자대로(지금의 중부경찰서 네거리)를 따라 행정관청이 들어섰으며, 주변으로는 일본인 상권이 크게 발달했다. "일제강점기 대구 최대의 번화가 북성로" 북성로에는 대구 최초의 백화점 미나카이 등 일본인들이 경영하던 상점이 많았다. 대..
2018.03.07 -
경상도 관찰사 및 대구 판관 선정비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21 [경상도 관찰사 및 대구 판관 선정비 전경] 경상감영공원에는 경상도 관찰사, 대구 도호부사, 대구 판관 등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 29기의 선정비가 있다. [경상도 관찰사 및 대구 판관 선정비 설명 글] [앞쪽에서 담은 경상도 관찰사 및 대구 판관 선정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관찰사 李敬與(이경여) 거사비 / 인조15년(1637)] [관찰사 具鳳瑞(구봉서) 청덕선정비 / 인조18년(1640)] [관찰사 閔蓍重(민시중) 영세불망비 / 현종 10년(1669)] [관찰사 李彦紀(이언기) 청덕선정비 / 숙종 22년(1969)] [관찰사 洪禹寧(홍우녕) 영세불망비 / 숙종 40년(1714)] [관찰사 金始烱(김시경) 영세불망비 / 영조 8년(1732)] [관찰사 閔應..
2018.02.09 -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 감상실 녹향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화전동 2-8 [지하 녹향 출입문] 1946년 문을 연 '대한민국 1호' 음악감상실이다. 해방 이듬해부터 60년 넘게 운영 중인 이곳은 대구의 명물로 꼽힌다. '녹향'은 1946년 이창수 선생이 SP 레코드 판 500여 장과 축음기 1대로 향촌동 자택 지하에 문을 열면서 시작되었다 한다. [녹향 이야기] 1950년 6월 25일 북으로부터 날아온 포성 하나로 시작된 한국전쟁은 수많은 피난민을 낳았고, 그중에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예술인들도 있었다. 그들이 피난민의 물결을 따라 흘러들어와 고인 곳이 바로 대구였다. 고단한 피난길에 잠시 모인 것이었지만 예술인들은 그들의 예술혼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예술혼들을 토한 마당 한 자락이 바로 녹향이었다. 전쟁 통에 마땅히 모일 ..
2018.01.29 -
마비정 벽화 마을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1365 [주차장에서 담은 백희와 비무 전경] 마비정 벽화 마을은 35가구 주민 60여 명이 옹기종기 모여 사는 산골 오지 마을이었는데, 최근에는 '오지'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다녀가기 시작한 것은 다름 아닌 벽화 때문이라 한다. 또 이 마을에는 전해져 내려오는 말에 대한 전설이 2개가 있다. [백희와 비무] 옛날 어느 장군이 마을 앞산에 올라가서 건너편 산에 있는 바위를 향해 활을 쏘고는 말에게 화살보다 늦게 가면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 했다. 말이 힘을 다해 재빨리 달려갔으나 화살을 따라잡을 수는 없어 죽임을 당하였다. 이를 본 마을 사람들이 말을 불쌍히 여겨 馬飛亭(마비정)이라는 정자를 세우고 말을 추모하면서 동네 이름을 馬飛亭(마비정)이라 ..
2017.12.20 -
달성 仁興寺址(인흥 사지) 石塔(석탑)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402-2 일원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3호 [仁興寺址(인흥 사지) 石塔(석탑) 전경] 원래는 이곳에 2기의 통일신라시대의 탑이 있었다 한다. 인흥 사지로 추정하고 있으며, 비교적 탑의 형태가 온전한 1기는 1959년 경북대학교 월파원정원으로 옮겨져서 복원되어 있다. [仁興寺址(인흥 사지) 石塔(석탑) 전경] [안내판 글 내용] [仁興寺址(인흥 사지) 石塔(석탑)] 비록 민속자료로 등록되지는 못하였드라도 온전하지 못한 채 남은 석탑도 보수를 하여 제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래도 같은 석탑이었기에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3호로 제가 지정해 보았습니다.^^ 온전하지 못하여 이곳에 남겨진 이 석탑은 고향에 남아 있어서 오히려 행복할 것도 같다. [仁興寺址(인흥 사지) 石..
2017.12.16 -
武屹九曲(무흘구곡)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 258 [회연서원 표석비와 무흘구국 안내도와 1곡 비 전경] 寒岡(한강) 鄭逑(정구)는 중국 송나라 朱熹(주희)의 사상을 유난히 흠모하여, 주희의 '武夷九曲(무이구곡)'을 본떠 자신만의 구곡을 설정하고 '武屹九曲(무흘구곡)'을 지었다. 무흘구곡은 성주에서 김천까지 걸쳐 있는 9곳의 절경을 읊은 7언 절구의 漢詩(한시)다. [무흘구곡 종합 안내도] 한강 정구는 1곡에서 9곡까지 이르는 과정을 단순히 아름다운 경관을 쫓아 온 것이 아니라, 도학의 근원을 찾기 위한 일종의 실천과정으로 삼았다. [무흘구곡 제1곡 봉비암 조형물] 한강 정구선생이 시를 지어 노래하고 즐겨하던 그 절경과 발자취를 1곡부터 9곡까지 碑(비)로 만들어 회연서원 앞쪽에 세워 두었다. 차례로 즐감해..
2017.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