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여러 종류의 민속자료(108)
-
대구 달성공원내 기념비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294 달성공원 [達城徐氏(달성서씨) 遺墟碑(유허비) 전경] 達城徐氏(달성서씨) 시조 서진은 고려 때 奉翊大夫(봉익대부), 判圖判書(판도판서)등을 역임하였고, 나라에 큰 공을 세워 達城君(달성군)에 봉해지고 달성(현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食邑(식읍)으로 하사받아 世居(세거)하게 되었다. 비돌은 정읍에서 가져온 돌로 만들었다고 하며, 비석의 글씨는 달성서씨인 竹農(죽농) 徐東均(서동균)이 썼다. [達城徐氏(달성서씨) 遺墟碑(유허비)] 고려 중엽 이후 達城徐氏(달성서씨)가 대대로 살던 사유지였으나, 조선 世宗(세종) 때 徐氏(서씨) 일문이 헌납하여 국유로 귀속되었다. 1905년 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1967년 5월 대구시에서 새로운 종합공원 조성계획을 세워 현재의 대공원으..
2017.03.16 -
소남 이일우와 友弦書樓(우현서루)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수창동 101-11 [대구은행 북성로 지점(우현서루 옛 터) 전경] 우리나라 최초의 항일운동 대구에서 일어난 국채보상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또 이후 각계에서 일어난 항일운동가 상당수 키워낸 곳이 바로 友弦書樓(우현서루)였으며, 현 대구은행 북성로 지점 자리가 友弦書樓(우현서루) 자리였다 한다. [은행 앞 소남 이 일우와 태극기]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로 일제에 저항했던 이상화 시인의 할아버지 이동진 선생이 을사늑약 한 해 전인 1904년에 友弦書樓(우현서루)를 지었고, 이상화 시인의 큰아버지인 小南(소남) 李一雨(이일우) 선생이 이일우 선생이 이곳을 운영하였다. [小南(소남) 李一雨(이일우)] 友弦書樓(우현서루) 는 1911년 강제폐쇄 때까지 新知識(신지식) 보급은 물..
2017.03.14 -
경찰역사체험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서문로1가 [좌측에서 담은 대구중부경찰서 전경] [대구중부경찰서 안내도와 안내글] [1925년의 대구중부경찰서 건물과 설명글] [경찰서 연혁과 경찰체험관 안내도] [우측에서 담은 대구중부경찰서 전경] 경찰서는 누구나 가기를 꺼리는 곳이다. 대부분은 잘못을 저질렀을 때나 좋지 않은 분쟁이 발생했을 때 가는 장소 정도로 인식하고 있다. 알고 보면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가장 먼저 찾는 것이 바로 경찰이고 경찰서인데도... 그런 경찰서 이번에 일부러 찾아 들렸다. 경찰체험관을 운영하고 있다는 말을 듣고... [경찰체험관 출입구] 대구 중부경찰서는 수년 동안 비어있던 중부서 내 유치장이었던 1, 2층의 12개 방을 주제별로 꾸며 유치원생이나 초, 중, 고 학생, 성인까지 견학할 수 있..
2017.03.10 -
동학의 창시자 崔濟愚(최제우) 나무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서문로 1가 [종로초등학교와 우측 崔濟愚(최제우) 나무 전경] 1900년 11월 11일 미국 선교사 아담스(Adams, J. E.)가 당시 제일교회 입구 대문채를 교사로 정하여, 남학교인 大南小學校(대남소학교)를 세웠다. 아담스와 같이 선교활동을 하던 브루엔(Bruen, H. M., 傅馬太)은 같은 교회 안에 여학교인 신명소학교를 설립하였다. 1926년 4월 두 학교가 합병되면서 희도보통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으며, 1938년 희도심상소학교로, 1941년 4월에 희도국민학교로 다시 변경되었다. 광복 후 1946년 3월에 사립에서 공립으로 바뀌었으며, 1954년 10월 교사를 현재의 위치로 신축 이전하였다. 1955년 3월 대구종로국민학교로 교명이 개칭되었다. 1987년 8월에 3..
2017.03.09 -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서문로 1가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전경] 지난 2015년 12월, 고 김순악 할머니의 유산과 시민 성금 등으로 6년 만에 문을 열었다. 개관 첫달 천 700여 명이 찾았고 이후에도 매달 700여 명의 시민들이 꾸준히 찾고 있다 합니다. [역사관 건물벽에 벽화로 그려진 옥주 할머니] [희움 현판] [안내 데스크 전경] 운영일 : 화요일 ~ 토요일(관람시간 오전 10시 - 오후 6 ) 관람요금 어린이 ( 초등학생 이하 ) 무료 청소년 1,000원, 일반 2,000원 관람료는 희움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운영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올바른 해결 운동을 위해 사용한다 합니다.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의 축소된 모형] 1층, 2층으로 나눠진 '희움'은 1층에는 맞이방, 전..
2017.03.08 -
대구 제일교회 기독교역사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30호 [제일교회 전경] 언제나 문이 닫혀 있어서 내부를 들리진 못하였다. 마침 그제 토요일 근처를 지나치는 길에 혹시나 하고 다시 들려보았더니, 문이 활짝 열려 있다. 얼마나 애타게 기다렸던 일인데... 반가워 서둘러 교회안으로 들어갔습니다. [제일교회] 대구제일교회는 대구 경북에서 가장 처음 생긴 교회이며, 대구 최초의 서양의술병원인 동산병원의 전신, '제중원'을 설립하였다. [안내판 글 내용] [대구제일교회 역사 박물관 입구] 관리하시는 분이 계시기에 여쭈어보았더니, 얼마전부터 매주 금요일, 토요일에 개관을 한다 하네요. [출입구 우측 역사관 내부 전경] 1933년 건축당시부터 80년간 변화한 벽면, 당시 쓰이던 성찬기 세트, 전자오르간, ..
2017.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