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여러 종류의 민속자료(108)
-
大邱第一敎會(대구제일교회)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34번지 [계산성당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계산오거리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조선 말기의 설립된 오래된 교회이며 미국 베위량이 1893년 대구를 방문하여 개척 전도를 하면서 예배를 시작한 것이 시초이고 1897년 선교사 아니와가 정착하면서 본격적으로 교회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건널목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대구제일교회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선교 박물관(선교사 스윗즈 주택)과 제일교회 전경] [영남신학대학교 옛터 기념비 전경] [영남신학대학교 옛터 기념비 글 내용] [선교 박물관 옆쪽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경북 및 대구 지역 최초의 개신교회이며 대구제일교회에서 분리된 교회만 20여개가 넘으며 대한예수교장로회가 분열 됭..
2017.02.21 -
대구 3.1운동 길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3.1운동 길 90계단위에서 담은 앞쪽 전경] 3.1운동 90계단길을 오르면 서문시장으로 연결되는 3.1운동길로 이어진다. [바닥에 새겨진 근대로의 여행 안내도] [3.1운동 길] 대구 만세운동 거사의 첫 집결지는 동산언덕 3.1운동길 솔밭이었고, 최종 거사 출발장소는 섬유회관 앞 당시 큰장 입구 소금집 달구지 위였다. [3.1운동 길 굴다리] 남산교회 김태련 조사의 독립선언문 낭독과 제일교회 이만집 목사의 독립만세 삼창으로 시작된 대구3.1만세운동은 요원의 불길같이 번져 교회와 교회를 통하여 경북 각 지역에 전파되었으며, 4월말까지 산발적으로 일어났다. [굴다리 아래 삼일운동 벽화] 대구의 3.1독립운동은 다른 도시와 달리 기독교 기관이 주축이 된 거사였으며, 당시 ..
2017.02.20 -
대구 3.1만세길(90계단)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성내2동 [쌈지공원에서 담은 90계단 3.1 만세길 전경] [안내팻말] [90계단 3.1 만세길] 계단의 수가 모두 아흔 개라 해서 '90계단'으로 불리는 이곳은 1919년 1000여 명의 학생들이 이 길을 통해 서문시장으로 나가 독립만세를 외쳤다고해서 '3.1만세길'로 불리기도 한다. [좌측 90계단 3.1 운동길 전경] [우측 90계단 3.1 운동길 전경] 대구의 생활상과 일본에 항거하는 대구 시민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이 90계단 3.1 운동길 벽면에 전시되어 있다. 담아온 사진들을 아래에 소개합니다. [계산성당과 대구전경] [교남기독청년회] [대구고보] [현 계성학교에서 본 서문시장] [백립을 쓴 상인(서문시장)] [천황당 못자리에 서문시장 형성] [신명여고] [계성학교..
2017.02.18 -
100주년 기념 종탑과 한국 최초의 서양 사과나무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선교박물관 바로 옆에 종탑이 세워져 있다. 어떤 곳일까? 궁금하여 들려보았지요. 종탑으로 이어진 길은 다듬이 돌로 놓여져 있다. 어릴적 다듬이를 하다 힘을 너무 주어 옷을 상하게 하였던 기억과 함께 어머님과 숙모님이 마주 않아 다듬이질 하던 모습이 떠오른다. 장단을 맞춰 다듬이하는 소리를 자장가삼아 들었던 기억도 함께... 종탑으로 가는 길 옆으로 100년된 사과나무. 잎이 다 떨어져 앙상한 모습의 사과나무 [대구서양 사과나무 전경] 사과나무는 대구 최초로 심어진 사과나무로 수령은 약 100년. 당시 72그루의 나무가 심어졌으나 지금 남은 건 딱 이 사과나무뿐이라 한다. [안내 글 내용] 여기에 뿌리 내린 이 사과나무는 1899년 동신의료원 개원 당시 미국에서 들어온 한..
2017.02.11 -
계산성당내 작은 공원(초대 주임신부 로베르(김보록) 흉상)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10 [계산성당 내 작은 공원] 계산동본당은 본당 설립 100주년을 맞은 지난 1986년 성당 마당 한 켠에 자그마한 공원을 조성하면서 계산동성당을 지은 초대 주임 로베르(김보록) 신부의 흉상을 세웠다. [초대 주임신부 로베르(김보록) 흉상 전경] [초대 주임신부 로베르(김보록) 흉상] [약력] 흉상 주변에는 옛 자료 사진들을 안내판에 새겨 놓았기에 올려봅니다. [로베르(김보록) 흉상 옆 향나무] 계산성당 한 곳에서도 이렇게 둘러볼 곳이 많다. 아직도 들려보지 못한곳이 있다. 날이 풀리는 가까운 날 다녀올까합니다. 그때 다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2017.01.20 -
대구 중구 남일동 진골목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일동 [진골목] 진골목은 '긴 골목'이라는 뜻으로, 경상도에서는 '길다'를 '질다'로 발음하는데 이 때문에 '긴 골목'이 '진 골목'으로 불리게 되었다 한다. [진골목 식당과 미도다방 전경] 진골목에서 유명한 곳 바로 진골목식당과 미도 다방이다. 혹 대구에 들리실 일이 있으시다면 진골목 식당에서 얼큰한 육계장 드시고 나오셔서 맞은편에 있는 미도다방에서 차 한잔 하시면 좋으실것도 같다. [미도다방 바같벽의 전상렬 詩] [진골목 2] [진골목 안내석] 여성 국채 보상 운동을 시작한 '진(긴) 골목' 1967년 2월21일 대구 금연대회에서 남자들이 나라 빛을 갚기 위해 금연을 결의하자 진골목에 살던 일곱분의 부인이 패물을 바쳤고 패물 헌납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됐다. (안내글 내용) ..
2017.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