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여러 종류의 민속자료(108)
-
대구 수창초등학교와 순종황제 조선을 걷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 22길 30 [순종황제 조선을 걷다 벽화 전경] 수창초 주변에 위치한 순종황제 어가길 등 역사적 명소와 유적들을 둘러보면서 역사적 명소를 다시 새겨보았다. 아래에 벽화를 순서대로 소개합니다. [순종황제의 순행시 궁정열차에 오르는 장면] [뒤돌아서 다시 담아 본 역사 벽화 전경] [바닥에 새겨놓은 순종황제 남순행로 표시] [수창초교 벽을 장식한 역사] 순서대로 소개합니다. 살펴보셔요. [남순행당시 시간표가 적힌 엽서] 위 엽서 : 남순행 당시 1월 7일 남대문에서 대구까지 궁정열차 출발, 도착 시간표가 적힌 엽서 아래쪽 엽서 : 남순행 당시 1월13일 대구에서 궁정열차 출발, 도착 시간표가 적힌 엽서 위쪽 : 서순행 당시 궁정열차의 순종을 알현하는 신하들 아래쪽 : 궁정열..
2017.03.04 -
대구 북성로 순종황제남순행로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 [북성로 순종황제남순행로 전경] 순종 황제의 어가길은 대구역에서 북성로를 거처 황제의 행재소인 감영과 대구역에서 북성로를 거쳐 달성공원에 이르는 길을 따라 이동 하였다 한다. [거리박물관] 대구읍성을 주제로 한 전시물을 자유롭게 보기위해 인도 아래를 1cm정도 파서 성벽의 기저부 모형을 설치하였으며, 그 위에 미끄럼 방지 투명강화유리를 덮어 전시물 위를 걸으며 관람 할 수 있도록 설치해 두었다. [조형물 안내 글 전경] [순종황제 남행로] [순종황제 어가길 복원 허한다는 벽화] 대한제국이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한 상황에서 이루워진 순행길이였지만 이길은 황제의 대구 방문 때 지나간 길이지만,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 아래는 어가길에서 담아 온 벽화를 소개합니다. [북성로 순종..
2017.03.03 -
순종황제 대구방문(어가길 대구역앞 모형과 안내글)
소재지 : 대구광역시 북구 태평로 161 대구민자역사 [대구역 전경] 롯데백화점 대구점이 대구역 광장에 '순종황제 어가길' 대구방문 전시물을 설치했다. [순종황제 대구방문 안내 글 내용] [순종황제 궁정열차와 어가행렬] [기둥 아랫쪽 어가행렬 모형 전시] 조선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황제는 지난 1909년 1월 7일 오후 3시 25분 기차를 타고 대구역에 도착해 대구 시내를 비롯해 청도, 부산, 마산 등을 차례로 방문했다. [순종황제 어가 행렬 모형 전시 2] 전시물은 진열대와 액자, 동판 등 관련 모형은 크게 대구역에 도착한 '순종황제 궁정열차', '순종황제 어차', '어가행렬', '초기 대구역'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순종황제 어차 모형] [순종황제 어차 모형 2] [순종황제 어차 안내 글 내용] [궁정..
2017.03.02 -
관덕정순교기념관내 교구전시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계단 아랫쪽에서 담은 교구전시실 출입구 전경] [순교의 꽃이 핀 교구 100년 현판] [교구전시실 현판] [입구쪽에서 담은 교구전시실 내부 전경] 드망즈 주교의 말씀이 걸려있는 전시실을 들어서면서 대구대교구 약사를 만날 수 있다. [대구대교구 약사] [입구에서 담은 교구전시실 좌측 전경] 전시실에서는 대구대교구 발전사와 이윤일 성인의 일대기를 표현한 스테인드글라스와 대구대교구 관련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좌측 대구대교구 역사 스테인드글라스 자료] [우측 이윤일 성인 과 교황 요한 바오로2세 스테인드글라스 자료] [교구전시실내 스테인드글라스 작품 애니메이션 편집] [출입구 옆 전시된 자료] [대 교구장 안세화 주교의 주교좌 및 장궤틀] [전시실 내부 전경] [교구전시..
2017.02.25 -
관덕정순교기념관 사료전시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입구에서 담은 사료전시실 전경] 중앙의 원형전시관 둘레에는 한국천주교 순교사 및 대구대교구 순교사가 정리되어 있다. 전시대 안에는 대구의 순교자들과 관련된 자료, 유물, 책자 등을 볼 수 있다. [성 바오로 사도의 유해] 향로, 성반 여러종류의 향동, 미사종, 한숟가락, 미사종, 성반, 주수병 등이 전시되어 있다. 2층 사료전시실에는 한티, 신나무골 등 교우촌과 초창기 교회, 순교자들이 쓰시던 유물, 각종 성물, 서적, 교리서, 기도서 등이 전시되어 있다. [첫 영성체 모습(김복연 M. 막달레나, 20C초)] [박해시대의 서책자료와 대구대교구 시복, 시성 운동 사진 자료 등] [洪儒漢(홍유한, 1726~1785)의 서한] [한국 천주교회사 및 대구 순교사 연표] 2층 ..
2017.02.24 -
전통인형으로 빚은 대구대교구 순교사 전시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전통인형으로 빚은 대구대교구 순교사 전시관] [전통인형으로 빚은 대구대교구 순교사 전시관 입구] [상주진영에서의 문초] 순조 27년 정해년(1827) 상주 고을 앵무동, 멍예목, 곰직이 등의 신자촌에서 붙잡혀 온 신자들이 상주진영에서 문초당하는 모습 [경상감영 옥중에서의 기도생활] 순조15 을해년(1815)의 박해로 청송 노래산 진보 머루산, 영양 우련전, 영양 곧은정 신자촌에서 잡혀온 신자들이 옥중에서 기도하는 모습 [청송 노래산의 부활첨례] 순조15년 을해년(1815) 신유대박해를 피해 노래산 신자촌에서 은거생활을 하던 경상도 지방의 초대 교유들이 부활축일을 지내고 있는 모습 [안내글 내용] [정면에서 담은 관덕당 형장] 고종3 병인년(1866) 문경의 여우목 신자..
2017.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