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362)
-
黃喜先生影堂址(황희 선생 영당지)내 경모재, 월헌사등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산 127 경기도 기념물 제 29호 [淸政門(청정문)과 뒤쪽에 보이는 건물이 방촌선생 기념관] 朝鮮初期(조선초기)의 名相(명상)이며, 淸白吏(청백리)의 대표격인 尨村 黃喜(방촌 황희, 1363∼1452)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후손들이 영정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영당이 있는 곳이다. 황희는 고려 말기부터 조선 전기의 여러 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문물과 제도의 정비에 노력했고 世宗年間(세종연간)에는 영의정이 되어 왕을 도와 훌륭한 업적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청백리의 삶을 통한 많은 일화를 남기기도 했다. 文宗(문종2년, 1452) 황희가 89세로 세상을 떠나자 세종의 廟庭(묘정)에 배향하고, 世祖(세조원년, 1455)에 유림들이 그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伴鷗..
2016.01.22 -
黃喜先生影堂址(황희 선생 영당지)내 방촌기념관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산 127 경기도 기념물 제 29호 [방촌기념관] 황희선생 영당지에 들어서면 오른쪽에 커다란 기와 건물이 눈에 띈다. 황희정승의 일대기를 볼 수 있는 방촌기념관이다. 황희정승 유적지 성역화 사업의 일환으로 1999년 7월 착공하여 2000년 6월에 완공되었다. 내부에 방촌선생의 일대기를 영상으로 방영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방촌선생의 삶과 사상을 알기 쉽게 전하는 전시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그림으로 그려 자세히 표기하여 걸어두었다. [황희정승 영정] 기념관 안에 걸린 영정 아래로 사진과 함께 사진속 내용을 그대로 올려봅니다. [影堂址(영당지) 안에서 본 靑政門(청정문)과 방촌기념관] 오늘은 황희정승 기념관 안에 걸린 사진속 이야기만 대충 담아 올렸습니다. 내일은 ..
2016.01.21 -
栗谷(율곡)과 花石亭(화석정)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 산 100-1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1호 [고 박정희 대통령이 쓴 花石亭(화석정) 현판글씨] [花石亭(화석정)] 임진강가에 세워져 있는 정자로, 조선 중기의 대학자 栗谷 李珥(율곡 이이, 1536~1584)가 제자들과 함께 시를 짓고 학문을 논하던 곳이다. 원래는 고려 말 대학자인 冶隱 吉再(야은 길재)의 遺址(유지)가 있던 자리라고 전해지지만, 자세한 문헌 기록은 없다. 그 후 세종 25년(1443년) 율곡 李珥(이이)의 5대 조부인 강평공 이명신이 세운 것을 성종 9년(1478) 율곡의 증조부 이의석이 보수하고 夢庵(몽암) 이숙함이 '화석정'이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栗谷 李珥(율곡 이이, 1536~1584) 조선 중기의 대학자이며, 아명은 見龍(현룡), 자는 淑..
2016.01.21 -
盈德鄕校(영덕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화개리 160 [盈德鄕校(영덕향교) 현판] [영덕향교 삼문] 향교의 창건연대는 조선 태종(1403)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선말까지 현 초등학교뒷 편에 있던 것을 1914년 북쪽 화개동 토성리의 민가를 구입, 봉향하다가 1924년 다시 이전 종전의 향교를 보수, 위패를 환안하였다. [영덕향교 연혁 안내글 내용] [옆에서 본 전경] 1950년 6.25 한국전쟁때 대성전 및 기타 건물이 전소되기도 했으나, 600년의 전통을 이어왔으며 1965년 뜻있는 유림들의 성금으로 화개리 현 위치의 고가를 구입, 이후 증, 개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성전, 명륜당, 동, 서재를 건립해 공자를 중심으로 맹자 등의 5성인, 송나라 주자, 정호 2현(二賢)과 설총, 최치원, 정몽주, ..
2016.01.19 -
海南(해남) 尹鐸家屋(윤탁가옥)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초호리 276 중요민속자료 제 153호 [尹鐸家屋(윤탁가옥) 솟을 대문 전경] 나지막한 야산을 뒤로하고 앞으로 넓은 들이 펼쳐진 남향 땅에 자리하고 있는 기와집으로 조선 말기의 호남지방 상류주택의 모습이 잘 간직되어 있다. [안내판 글 내용] [안채 전경] 안채에서 발견된 上樑文(상량문)에 光武十年 丙午十一月 庚申 竪柱 同 十二月 初三日 乙丑 辛巳時 上樑 丑坐 (광무10년 병오11월 경신 수주 동 12월 초3일 을축 신사시 상량 축좌)'라 기록이 있어 광무10년(1906)에 지었음을 알 수 있고, 사랑채와 별당채도 이 시기에 지었다고 한다. 건물의 전체배치는 완만한 경사지형을 3단으로 정지한 후에 직선축을 이용하여 각 건물을 배치하였다. [좌측에서 담은 문간채 전경] 건..
2016.01.18 -
海南(해남) 恭齋 尹斗緖古宅(공재 윤두서고택)
소재지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372 중요민속자료 제 232호 [고택으로 가는 골목길] 尹斗緖(윤두서, 1668-1715) 본관은 海南(해남) 자는 孝諺(효언) 호는 恭齋(공재)이며, 조선 중기와 후기 변환기에 활약한 대표적인 선비 화가로 孤山(고산) 윤선도의 증손자이자 다산 정약용의 외증조부이다. [고택으로 가는 골목길 2] 그는 장남인 덕희와 손자인 용도 畵業(화업)을 계승하여 3대가 화가 가정을 이루었는데, 시서화 음악 공예 등 다방면에 능통했고 지리 천문 수학 등 폭넓은 학식을 지닌 실학자였으며, 謙齎 鄭敾(겸재 정선) 玄齎 沈師正(현재 심사정)과 함께 조선후기 '三齋(삼재)'로 꼽히는 화가이다. [사랑채와 곳간채] 학문에 정진하던 윤두서는 15세에 전주 李氏(이씨)와 결혼 남인계열이었..
2016.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