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12)
-
신채호선생 사당및 묘소
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신채호선생님을 모신 사당] 20세에 성균관박사가 되었으며, 황성신문의 기자로 논설을 쓰며 을사조약 체결을 단호히 배격하였고, 대한매일신보에 초빙되어 주필로서 국권회복, 민족의식 고취에 공헌하였다. 28세 무렵에 이동녕·안창호 선생 등과 함께 항일비밀결사인 신민회를 조직하였으며, 1910년 해외에 망명한 후 본격적으로 국사 연구에 힘써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등의 저서를 집필하였다. [안내판 글 내용] [사당앞에 있는 간단한 선생님의 약력을 적은 비문] 1919년 상해임시정부수립 후에는 의정원 전원위원장으로 독립운동에 힘을 기울였고, 1929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旅順(여순)감옥에서 복역하던 중 순국하였다. 뒤늦게 정부에서는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
2015.10.23 -
監司公(감사공) 李世貞(이세정) 묘역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3-1 성남시향토문화유적 제 7호 [광주이씨 묘역 안내팻말] 안내팻말에는 둔촌선생의 아들 炭川(탄천) 李之直(이지직), 증손 廣原君(광원군) 李克墩(이극돈) 그의 아들 監司公(감사공) 李世貞(이세정)의 묘가 300m 떨어진 곳에 있다고 적혀 있다. [묘역으로 가는 길] 아랫쪽에는 대원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대원공원은 청소년을 위한 아주 특별한 휴게공간으로 조성되었다 한다. 별자리를 생생하게 구경할 수 있는 '별자리광장', 춤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빛과 소리무대', 인라인스케이트로 스릴을 즐길 수 있는 'X-게임장', 체력단련시설 등으로 꾸며놓았다 합니다. 물론 산책길따라 거닐다 보면 우리의 조상 묘역도 함께 들려볼 수 있지요. [아래쪽에서 담은 李..
2015.10.09 -
觀察使(관찰사) 李禮孫(이예손) 묘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169 성남시 향토유적 제7호 [안내팻말] [묘 오르는 길]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廣州(광주), 자는 季胤(계윤)이다. 參議(참의) 李之直(이지직)의 아들로 세종 16년(1434) 謁聖文科(알성문과)에 급제하여 司諫院 右正言(사간원 우정언)에 제수되었고, 이어 여러 관직을 거쳤다. [묘 오르는 길 2] 외조부는 李元普(이원보), 처부는 朴曙(박서), 형은 李長孫(이장손), 李仁孫(이인손)이며, 아들은 참판 李克基(이극기), 좌통례 李克堅(이극견)이다. [안내석과 묘역 전경] 내금위사인으로 출발하여 사간원우정언, 사간원좌정에 임명되었다. 司憲府持平(사헌부지평)으로서 金何(김하)가 간음한 사실을 탄핵하였다. 세종 26년(1444)에 병조정랑이 되었다가 외직으로..
2015.09.18 -
남이섬 南怡將軍(남이장군) 墓(묘)
소재지 :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 [안내팻말] [홍살문과 남이장군 묘역] 경기도 가평군에서 남쪽으로 약 3.8km 지점에 있으며, 행정구역상 춘천시에 속하나 가평군 달전리와 접하므로 대부분의 관광객들이 이곳을 거쳐 간다. 조선 세조 때 이름난 무관인 남이장군의 묘가 있다고 하여 남이섬이라 했으며, 총면적은 약 0.453㎢이며, 둘레는 약 4km이다. 넓은 잔디밭과 잘 정비된 오락 시설이 있어서 관광지로 유명하다.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남이장군은 세종 23년 계유, 서기 1441년에 출생하여 17세의 나이로 무과에 장원하여 세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예종은 그를 꺼려했다. 李施愛(이시애)의 난을 평정하여 1등 공신이 되었고, 또 서북변의建州衛(건주위)를 정벌하여 26세에 공조판서와 병조판서..
2015.09.09 -
申砬(신립)장군 묘역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대리 산1-1번지 경기도 기념물 제95호 [안내판과 묘소 오르는 길 전경] [묘역으로 가는 길] 주소가 있기에 쉽게 찾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 못하였다. 네비에 찍어놓은 주소로 가자는대로 움직였지만, 엉뚱한 곳에 대려다 놓고는 안내를 종료한다나 뭐라나...ㅠ.ㅠ [묘역 오르는 계단] 이럴땐 역시 그곳에 거주하고 계시는 분께 여쭈어보는게 상책이다. 물어 물어 어찌어찌 도착하였다. 안내팻말을 갈림길쪽에라도 세워두었드라면 참 좋았을텐데... 묘가 있는 둔덕에 오르니, 나란히 3기의 묘가 자리하고 있었다. 차례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申昉(신방)의 묘 전경] 申昉(신방, 1686-1736)은 신립의 6대손으로, 조선 후기의 문신. 자 明遠(명원) 호 鈍庵(둔암) 相臣(..
2015.09.08 -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의 아버지 許曄(허엽) 묘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맹2리 [許曄(허엽) 묘역 전경] 許曄(허엽, 1517~1580) 조선중기의 문신, 성리학자로, 자 太輝(태휘), 호 草堂(초당), 본관 陽川(양천)이며, 강릉초당의 맑은 물로 두부를 만들어 초당두부의 기원이 되기도 하였다. 시호 文簡(문간). 그의 슬하에 許筬(허성), 許篈(허봉), 許筠(허균), 許蘭雪軒(허난설헌) 4남매가 있었는데 모두 시문에 뛰어났으며, 특히 許蘭雪軒(허난설헌)은 규수시인으로 이름이 나서 황진이, 신사임당과 함께 삼대여류로 꼽혀왔다. [묘 앞 좌측 문인석] 일찍부터 영리하고 조숙하였으며 노수신에 의하면 7, 8세에 孝友(효우)가 남달랐고 스승에게 나아가서는 번거로이 勸督(권독)하지 않아도 월등히 진취하였다 한다. 어려서 羅湜(나식)에게 소학, 근사록..
2015.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