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역 답사(33)
-
하늘도 감동 시킨 효자 모암 김덕숭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신도비와 뒤쪽 묘소 가는 길 전경] 모암 김덕숭 묘소 가는 길 앞쪽에 세워진 신도비 전경 [신도비와 앞쪽 塊石(괴석) 전경] 신도비 앞쪽 범상찮아 보이는 거북처럼 생긴 塊石(괴석) 일부러 다듬고 깎은 것이 아니라 저절로 생긴 신비로운 바위인듯 하다. [묘소 오르는 길] 묘소로 오르는 길은 이렇게 좀 가팔랐지만, 들려봐야겠다는 마음이 걸음을 빨리하게 하네요. [중턱을 올라서자 보이는 첫번째 묘] 이젠 다 왔다는 안도의 숨을 내쉬며 살펴보았다. 그랬더니 누구의 묘인지는 몰라도 문인석과 오래된 묘비가 이곳의 주인도 범상찮아 보였지만... 답사지로 정한 뒤쪽 慕庵(모암) 金德崇(김덕숭) 묘소로 향했다. [모암 김덕숭 묘소 오르는 돌계단과 묘소 전경] 공민왕 22년(13..
2018.04.24 -
豹菴(표암) 姜世晃(강세황) 선생 묘소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 510-10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3호 [표암 강세황 선생 묘소 안내판] [안내판과 묘소로 가는 길 입구] 근처 공터에 주차를 해 놓고 여기서부터 걸어 한 구비 돌면 곧장 표암 강세황 선생의 묘소가 보입니다. [豹菴(표암) 姜世晃(강세황) 묘소 전경] 본관은 晋州(진주). 자는 光之(광지), 호는 添齋(첨재). 豹翁(표옹). 路竹(노죽). 山響齋(산향재). 豹菴(표암), 시호는 憲靖(헌정). 숙종 39년(1713) 한양에서 태어나 정조 15년(1791) 세상을 떠났다. [신도비와 안내판 묘소 전경] 조선 후기의 대표적 문인 화가이다. 진주 강 씨 5대 가운데 강세황은 조선 후기 유명 화가인 김홍도와 신위의 스승이자 그는 詩(시). 書(서). 畵(화)에 고루 뛰어..
2018.04.20 -
이상화 묘와 李庄家(이장가) 가족묘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산9 [李庄家(이장가) 가족 묘역 재실] 묘역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재실 李庄家(이장가) [李庄家(이장가) 현판] [李庄家(이장가) 솟을 삼문 전경] 답사를 다니다보면 문이 닫혀 있는 곳이 많아서 활짝 열린 李庄家(이장가) 솟을 삼문이 반갑다. [南齋(남재) 현판] [南齋(남재) 전경] 이장가 솟을 삼문을 들어서면 곧장 보이는 재실 南齋(남재) [좌측옆에서 담은 南齋(남재) 전경] [남재와 정자 그리고 솟을 삼문] [우측옆에서 담은 南齋(남재) 전경] 관리가 잘 된 이장가 재실 건물이 자꾸만 사진을 찍게 만든다. [월성이씨 문중 묘역] [묘역 앞 재각으로 오르는 돌계단] 이상화는 시인으로 호는 尙火(상화)이며, 대구에서 출생하였다. 1917년 고향에서 현진건, ..
2018.01.10 -
한국 천주교 첫 순교자 토마스 김범우(金範禹) 성지
소재지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동 산129 [순교자 김범우 묘로 올라가는 입구]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에서 북쪽 만어산 방면 도로를 따라 3km쯤 가면 광천 마을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좌회전하여 야트막한 고개를 넘어 다시 삼거리나오면, 우회전하여 1km정도 들어가면 사기점 마을인데 김범우 묘소는 10분 정도 산길을 올라야 된다. [묘소 안내판 글 내용] [참배자가 지켜야 할 예의] 주차장에 차를 세워두고 좁고 가파른 오솔길 오르면서 우측으로 드문드문 세워져 있던 '십자가의 길(14처 기도의 길)' 차례대로는 아니지만, 거의 다 담아와서 포토스케이프에서 페이지로 편집하여 소개합니다. [라파엘 쉼터] [라파엘 쉼터 광장에서 바라본 오른쪽 전경] [라파엘 광장 성물 조각 작품] [라파엘 쉼터 광장에..
2017.12.13 -
東岡(동강) 金宇顒(김우옹) 신도비와 묘역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화리 산 32-1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60호 [金宇顒(김우옹) 神道碑(신도비) 전경] 신도비와 묘소는 성주 대가면 옥화리에 자리하고 있다 [神道碑(신도비)와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神道碑(신도비)] 거북이 형상을 한 비좌와 비신, 그리고 두 마리 용을 조각한 비두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질은 비좌와 비두가 화강석이고, 비신은 烏石(오석)이다. [우측 옆에서 담은 神道碑(신도비) 전경] 비문은 갈암 이현일에 의해 숙종 15년(1689∼1704) 사이에 지어졌고, 글씨는 미수 허목의 사후 그 글씨를 집자하여 사용하였다. 이 신도비는 경종 3년(1723)에 세워졌다. [神道碑(신도비) 뒤 전경] 이 신도비는 그 주인공의 역사적 비중과 더불어, 비문 찬자..
2017.11.22 -
선교사의 넋이 잠든 은혜정원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청라언덕쪽에서 담은 은혜 정원 전경] 대구의 가장 상징적인 개신교 성지는 '은혜 정원'에 잠들어있는 선교사의 넋을 만날 수 있다. 경상도 지역에 첫 복음의 발길을 전한 베어드(배위량) 선교사와 억눌린 한국 사람들의 대변인 베델, 한국인보다 한국인을 더 사랑한 헐버트, YMCA 운동의 개척자 브로크만, 한국 근대여성 교육과 여성전도의 선구자, 교육자로서 대대로 헌신한 가족 선교사 아펜젤러 가(家), 토론토 의대를 졸업하고 한국의 폐결핵 퇴치를 위해 힘쓴 셔우드, 우리나라 첫 서구식 민간병원 광혜원(나중에 제중원으로 바뀜)의 2대 원장 헤론이 잠들어있는 곳이다. [은혜정원 출입구] [은혜정원 안내 글 내용] 동산을 들렸다면, 반드시 들려야 할 장소가 바로 이곳 선교사 묘역..
2017.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