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역 답사(33)
-
禮賓卿(예빈경) 韓光胤(한광윤) 墓(묘)
소재지 :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신장리 744 [마을 입구의 청주한씨 세장산 표지석] [追遠齊(추원재) 전경] [담너머로 담은 追遠齊(추원재) 전경] [예빈경 한광윤 묘역 전경] 이 묘소는 失傳(실전)되어 오랫동안 韓(한) 政丞(정승) 墓(묘)라 구전되어 오다가 이 묘역에서 '예빈경 한광윤지묘'라는 비석이 발견된 뒤 문중의 헌성으로 제실을 마련하고 묘역을 정비하여 신도비를 세웠다. [新(신) 舊(구) 두 基(기) 神道碑(신도비) 전경] [舊(구) 神道碑(신도비)와 묘역 전경] 조선 世祖(세조)때 영의정을 지낸 풍운아 韓明澮(한명회)의 6대조 할아버지인 고려시대 禮賓卿(예빈경) 韓光胤(한광윤)의 墓(묘)다. 이 墓(묘)는 신라시대 道詵(도선)이 所占(소점)한 우리나라 8대 明堂(명당)의 하나로 알려져 있..
2016.11.23 -
忠烈公(충렬공) 金方慶(김방경) 장군 묘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죽송리 335 [재실] 재실의 문이 닫혀 있어서 안으로 들어가보지 못하였다. [담너머로 담은 재실] 아쉬워 담 너머로 깨끔발을 하고 담아 보았습니다. [김방경 영정 웹에서 모셔옴] 그림은 김송배 화백이 그린 영정이라 합니다. [묘역으로 오르는 돌계단] [참판공 묘소 표석비] [묘역으로 오르는 돌계단 2] [묘역 전경] 金方慶(김방경, 1212-1300) 본관 安東(안동). 자 本然(본연). 신라 敬順王(경순왕)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敏成(민성) 아버지는 兵部尙書(병부상서). 翰林學士(한림학사)를 지낸 孝印(효인)이다. 어려서부터 할아버지 민성이 양육했는데 성품이 강직하고 도량이 넓었다. [김방경 묘와 묘비] 고려 원종 11년(1270) 三別抄亂(삼별초난)을 토벌하고, ..
2016.03.03 -
崔瑩 將軍 墓(최영 장군 묘)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산70-2 경기도 기념물 제23호 [崔瑩將軍 墓(최영장군 묘)로 가는 길] 高麗(고려) 末期(말기)의 名將(명장)이며 충신인 崔瑩(최영, 1316∼1388) 本貫(본관) 昌原(창원) 諡號(시호) 武愍(무민). 장군은 忠肅王(충숙왕 3년, 1316) 사헌규정 元直(원직)의 아들로 동주(鐵原, 철원)에서 태어나 護軍(호군), 大護軍(대호군)을 거쳐 찬성사, 팔도도통사, 門下侍中(문하시중)등을 역임하였다. 鴻山大捷(홍산대첩)에서 왜구를 섬멸한 것을 비롯하여 수십차에 걸쳐 왜구를 무찌르고 국내의 대소 반란 토벌 등 80여 회나 출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 恭愍王(공민왕 4년, 1355)에는 元(원)나라에 속했던 압록강 서쪽의 八站(8참)을 수복하기도 하였다. 원나라의 횡포와..
2016.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