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역 답사(33)
-
旅軒(여헌) 張顯光(장현광) 선생 묘역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오태동 산 23-1 [여헌 장현광 선생 묘소 안내 팻말] 영남 출신으로 조선의 성리학자 가운데 가장 독보적인 영역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旅軒(여헌) 張顯光(장현광) 선생 16세기 조선 성리 학계에 퇴계와 남명, 율곡이 있다면 17세기에는 여헌을 꼽는다. [여헌 장현광 선생 유허비 와 뒤쪽 묘소로 가는 산길 전경] 張顯光(장현광, 1554~1637)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정치인, 철학자, 작가, 시인이다. 본관 仁同(인동), 자 德晦(덕회), 호 旅軒(여헌)이다. 아버지는 증 이조판서에 추증된 張烈(장열)이며, 어머니는 京山李氏(경산 이씨)로 齊陵參奉(제릉 참봉) 李彭錫(이팽석)의 딸이다. 위 사진 속 뒤쪽으로 난 산길을 좀 더 오르면 선생의 묘역으로 갈 수 ..
2018.10.26 -
冶隱(야은) 吉再(길재) 선생 묘역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오태동 [아래쪽에서 담은 야은 길재 선생 묘역 전경] 冶隱(야은) 吉再(길재) 공민왕 2년(1353)~세종 1년(1419). 고려 말 조선 초 학자. 본관 해평. 호 冶隱(야은), 金烏山人(금오산인). 아버지는 知錦州事(지금주사) 元進(원진). 어머니는 金希迪(김희적)의 딸이다. 고아읍 봉계리(현,봉한리)에서 태어났다. [야은 길재 선생 묘 전경] 8세 때에 아버지가 寶城大判(보성대판)이 되어 어머니도 함께 임지로 가게 되었는데, 녹이 박하여 밥 먹기 어려우므로 외가에 맡기고 떠나게 되었다. 냇가에서 놀다가 우연히 자라 새끼를 잡았다가, 자라야 자라야 너도 엄마 잃었니 나도 엄마 잃었단다 삶아 먹을 줄 알지마는 엄마 잃은 게 날 같길래 이렇게 놓아주노라 하며 물에 던지고 엉엉 ..
2018.10.23 -
霞川(하천) 高雲(고운) 墓(묘)
소재지 :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 산 23-1 [재실 松山齋(송산재) 전경] 의병장 고경명의 조부 霞川(하천) 高雲(고운) 묘소로 가기 전 자리하고 있는 재실 松山齋(송산재)의 문은 닫혀 있어서 솟을 삼문만 담았다. [담너머로 담은 재실 전경] 그래도 아쉬워 낮은 담너머로 깨금발을 하고 재실 내부 전경도 담았습니다. [뒤쪽에서 담은 재실 전경] 재실뒤 전경도 담고 골목길 한쪽에 주차를 하고는 묘소로 향했다. [담배밭 뒤쪽 묘역 전경] 高雲(고운, 1479∼1530) 본관 長興(장흥). 자 從龍(종룡). 호 霞川(하천). 아들은 대사간 高孟英(고맹영), 손자는 의병장 高敬命(고경명)이다. 그의 행적은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총명하고 높은 재주를 지녀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안고 성장하였다고 한다. [霞川(하천..
2018.07.13 -
추원각과 高孟英(고맹영) 묘소
소재지 : 광주광역시 대촌동 [고씨 삼강문 옆 문중 제각 追遠閣(추원각) 전경] [承訓門(승훈문) 현판] [承訓門(승훈문)] 제봉의 뜻을 후손들이 길이 이어가라는 뜻인듯.... [좌측 옆쪽에서 담은 追遠閣(추원각) 전경] 추원각의 정문인 승훈문은 닫혀 있었지만, 다행히 옆으로 돌아 오니, 담과 담 사이를 넗게 뚫어놓아 들어갈 수 있도록 해 두었기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담아왔습니다. [입구쪽에서 담은 追遠閣(추원각)과 承訓門(승훈문) 전경] [追遠閣(추원각) 현판] [追遠閣(추원각)] [世篤忠貞(세독충정) 편액] 世篤忠貞(세독충정)이란 '인간이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 항상 나라에 충성하고 올바른 마음을 굳게 지녀야 한다.' 는 뜻으로 제봉의 좌우명이었다 한다. [추원제 협문] 추원제 협문을 지나면 곧장 고씨 ..
2018.06.20 -
高峯(고봉) 奇大升(기대승) 墓(묘)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 [월봉서원 옆 고봉 기대승 묘소 가는 길 전경] 월봉서원을 둘러 본 후 서원 뒤편 백우산 자락에 모셔져 있는 고봉 기대승 선생의 묘소를 찾아 나섰다. [고봉 기대승 묘소 안내팻말] 안내팻말에는 고봉 기대승 묘소와 철학자의 길이란 글이 적혀 있다. [묘소 가는 길 애니메이션 편집] 길은 완만하고 좁은 산길이지만, 잘 정리되어 있어서 오르기가 쉽다. [고봉 기대승 선생의 시비 전경] 오솔길의 풍광에 젖어 오르다 보니 어느새 앞쪽에 커다란 바위에 고봉 기대승 선생님의 시가 새겨진 詩碑(시비)가 보였다. [고봉 기대승 선생의 시비] 호와(豪華)코 부귀(富貴)키야 신릉군(信陵君)만 할가마난, 백년(百年)이 못되어 무덤 우희 밧츨가니, 하물며 여나믄 장부(丈夫)야 닐러 무삼하리요..
2018.06.12 -
碧梧(벽오) 李時發(이시발) 墓(묘)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신도비 쪽 도로에서 담은 경주이씨 묘역 전경] 이시발의 묘소는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지전마을의 경주이씨 묘역에 있다. 1610년 3월 이시발은 돌아가신 부친의 묘소를 청원군 오창면 오근리 벌영산에서 청원군 옥산면 환희리 천내로 직접 이장하고, 그해 4월에 진천 초평으로 살 집을 마련하여 가족들을 이주시켰다. 며칠전 소개한 이시발 신도비를 보시지 못한 이웃님이 계신다면, 요기 클릭 하셔서 들려보셔요.^^ [아래쪽에서 담은 묘역 전경] 이곳 묘지는 明(명) 나라의 杜師忠(두사충)이 자리 잡아준 터라 한다. 이곳으로 산소를 정한 까닭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왜군이 방방곡곡에 전승하며 한양으로 밀려오자, 선조는 義州(의주)로 파천하고 끝내..
2018.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