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탐방(16)
-
공주 공산성 내 靈隱寺(영은사)
소재지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11-3 [靈隱寺(영은사)]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麻谷寺(마곡사)의 말사이며, 公山城(공산성)내 북쪽 끝에 위치한 靈隱寺(영은사)는 錦江(금강)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곳에 있다. [靈隱寺(영은사)] 백제 때 창건하였다고 하지만, 탑재와 일부 초석은 통일신라시대의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한다. [靈隱寺(영은사)] 이후 조선 초기 세조 때인 세조 4년(1458)에 나라에서 시주하여 지은 사액 사찰이라 하지만, 보다 확실한 기록으로는 광해군 8년(1616) 이 곳에 僧長(승장)을 두어 전국 8도의 사찰을 관장케 했다는 기록도 있다 한다. [靈隱寺(영은사) 현판] [靈隱寺(영은사)] 임진왜란 최초의 僧將(승장) 靈圭(영규)대사 임진왜란 때 왜군과 맞서 싸운 3분의 ..
2015.11.04 -
北地藏寺(북지장사)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620 보물 제805호 [지장사 오르는 숲길] 북지장사로 오르는 길은 대구의 올레길 중에서도 울창한 숲이 우거져 왕복 2시간 정도의 걷기에 딱 좋은 곳이기도 하다. 북지장사를 답사하기 위해 나선 길 마음도 바쁘고 시간도 촉박하여, 입구쪽에 주차해 놓고 걸어서 오르지 못하고, 차로 이동하였다. [북지장사 입구] 지금은 규모가 작아졌지만, 한때 사찰밭이 200결이나 될만큼 규모가 컸으며 지금의 桐華寺(동화사)를 말사로 거느렸다 합니다.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桐華寺(동화사)의 말사이다. [등산로 인봉 올레길 입구] [해우소] 명종 22년(1192) 普照國師(보조국사)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보조국사의 중창 이후 이 절의 역사는 전혀 전래되지 않고 있다. ..
2015.09.30 -
남지장사 靑蓮庵(청련암)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남지장사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4호 [靑蓮庵(청련암) 가는 길] 청련암은 남지장사의 부속암자로 신라 신문왕 4년(684) 良介祖師(양개조사)가 왕명으로 남지장사를 창건하면서 함께 창건 임진왜란 때 惟政(유정) 휘하의 승병들이 훈련장으로 사용하였으나 병화로 소실되었다. [극락] 남지장사와 청령암을 이어주는 사진으로 보면 다리같지도 않은 작은 다리 옆 팻말이 붙어 있기에 보았더니, 극락이라 새겨져 있다. 極樂(극락)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청련암 가는 길 2] 그 뒤 효종 4년(1653)부터 숙종 40(1714)까지 印惠(인혜). 勝敏(승민). 池月(지월) 등이 중건. 중창하였으며, 순조 6년(18..
2015.09.14 -
충남 花巖寺(화암사)
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202 도지정문화재 기념물 제151호 [花巖寺(화암사)보호수] [花巖寺(화암사) 보호수 2] [보호수 안내팻말] [花巖寺(화암사) 입구 전경] 화암사의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삼국시대의 古刹(고찰)이라 한다. 화암사는 오서산 중턱에 위치하고 백제때 창건하였고 건물은 화순옹주의 부군이자 영의정 김홍경의 아들로 월성위인 김한신이 재건하고 중수한 것으로 추사선생 댁과는 인연이 깊은 절이다. 추사 김정희 선생의 증조부인 월성위 김한신이 조선영조의 부마가 되었을 때 別賜田(별사전)으로 분급된 일대의 田土(전토)에 포함되어 그 一門(일문)에 세습되었다 영조 28년(1752) 월성위가 중건하였으나 그후 대웅전은 燒失(소실)되고 요사채만 남아있다. 추사선생은 이곳 烏石山(오석산) ..
2015.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