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문학관(11)
-
고월의 봄 특별전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향촌동 9-1 1층 향촌 문화원에서 승강기를 타고 4층으로 곧장 올랐다. 오늘은 고월의 봄을 만나려 가야 하니까... 4층 승강기 문을 열고 나서는 순간 옆벽에는 '당신의 봄은 어떤가요?'란 글이 적혀 있었다. 나의 봄... 글쎄 나의 봄은 질문의 답을 생각해 보느라 머리를 굴려보았지만, 나의 봄은 그냥 봄일 뿐이지 뭐... 야 봄이다. [대구문학관 4층 기획 전시실 입구 전경] [고월의 봄, 뽑기맨 작가와의 만남 안내 포스트] [입구에서 담은 고월의 봄 기획 전시실 내부 전경] 李章熙(이장희, 1900년~1929년)는 일제 강점기의 시인, 번역문학가이다. 본관은 仁川(인천). 본명은 李樑熙(이양희), 아호는 古月(고월). 대구 출신. 1920년에 李樟熙(이장희)로 개명하였으나..
2018.03.26 -
참 좋은 인연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향촌동 9-1 [4층 기획 전시실 안내 데스크] 여러 곳을 다니다 보면 우연찮게 참 좋은 인연을 만나기도 한다. 먼 거리였다면 만날 수 없었던 인연이 다가왔습니다. 한 건물 안에 자리하고 있는 향촌 문화관과 대구문학관 포스팅을 하며, 4층 기획 전시실에서 하고 있는 '문학 살롱' 전체의 사진만 담고 총총히 돌아왔는데, 막상 포스팅을 하려니 욕심이 난다. 시간을 내어 다시 들렸다. 승강기를 타고 곧장 4층으로~ 먼젓번 들렸을 땐 비어있었던 안내데스크에 문학 해설사님이 앉아있었다. 가벼운 눈인사를 하고는 여쭈었지요. "사진을 찍어도 됩니까?" 그랬더니 흔쾌히 허락을 해 주었다. 요즘은 어딜 가나 플래시만 사용하지 않으면 괜찮다고 하지만, 간혹 한두 장의 사진만 허락하는 곳도 단 한..
2018.02.06 -
향촌 문화관, 대구문학관(총괄편)
소재지 : 대구 중구 향촌동 9-1 [도로 건너에서 담은 향촌 문화관, 대구문학관 전경] [도로 건너에서 담은 향촌 문화관, 대구문학관] [향촌 문화관 1층 출입구] 향촌문화원 1층 상설전시실을 둘러보시려면 요기클릭하셔요. [향촌 문화관 2층 사람이 모이는 동네 향촌동] 향촌 문화관 2층 상설전시관을 둘려보시려면 요기클릭하셔요. [대구문학관 출입구] 향촌 문화원 3층 대구문학관을 둘려보시려면 요기클릭하셔요. [작가 그들이 남긴 어록] 시인과 작가 그들이 남긴 어록 들을 보시려면 요기클릭하셔요. [마음치유 살롱(희, 노, 애, 락)] 마음치유 살롱에도 들러보시려면 요기클릭하셔요. [대구문학관(향촌 문화관 4층)] 대구문학관(향촌 문화관 4층)을 둘러보시려면 요기클릭하셔요. [대구문학관 기획 전시실(문학 살..
2018.02.05 -
대구문학관(문학 살롱)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향촌동 9-1 [문학 살롱 안내판] 오늘은 문학 살롱으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명사님과의 만남의 시간도 가지시구요. 함께 하며 즐거운 시간 되시기를 바랍니다. [입구에서 담은 문학 살롱 전경] 이곳을 소개하기 위해 다시 한 번 더 들렸습니다. 먼저 담아온 사진이 미흡한 것 같기도 하고 사진도 마음에 들지 않아서... 두 번의 발걸음이 제겐 소중한 인연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참 좋으신 분을 만나 행복했답니다. 고왔던 그 인연은 다음에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문학 살롱 소개합니다.^^ [문학 살롱 안내 글 내용] [문학 살롱] 문학 살롱에 자리하고 계시는 문인님을 소개합니다. 앞쪽부터 차례로.... [趙芝薰(조지훈, 1920~1968) 시인] 본관은 漢陽(한양). 본명은 趙東卓(..
2018.02.03 -
대구문학관(향촌 문화관 4층)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향촌동 9-1 [대구문학관 3,4층을 잇는 죽순 조형물] 대구문학관은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향촌동) 옛 상업은행 건물 3층과 4층에 자리 잡고 있으며, 1층과 2층은 향촌 문화관이 자리하고 있다. 향촌동은 옛 예술가들의 활동 무대가 되었던 장소성을 지니고 있는 곳이다. [도서 검색대] 정보검색 코너에서는 대구 문인들과 주요 작품을 찾아 볼 수 있다 합니다. [행복한 문학 서재] [작은 서재] 앞쪽 서가에 꽂혀 있는 대구 문인들의 서적과 다양한 문학서적들을 열람할 수 있으나, 대여는 할 수 없으며 읽고 싶은 책을 이곳에서 읽을 수는 있다. "책은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으나, 다음 사람을 위해 제자리에 꽂아 주시기를 바랍니다." 라 적혀 있다. [작은 서재 창문으로 담은 전경]..
2018.02.02 -
대구문학관(향촌 문화관 3층)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향촌동 9-1 [대구 문학관 출입구] [대구, 명작의 본향(조형물) '竹筍(죽순)'] 대구 문학관의 상징조형물은 '竹筍(죽순)'이다. 竹筍(죽순)은 대지를 뚫고 수직으로 솟아오르는 힘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대나무의 새순'이며 해방 직후 대구에서 발행된 동인지 이름이기도 하다. [명작의 본향] 죽순은 하늘을 향해 한 줄기로 곧게 자라며, 한 마디씩 매듭을 만들면서 크므로 '늘 새로 시작한다'는 의미도 지니고 있다. 대구가 한국 근대문학의 태동과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으므로 '대구, 명작의 본향'은 '竹筍(죽순)'을 하두로 삼았다 한다. [작가와의 동행] 대구는 고금을 막론하고, 문학적 유산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는 도시이다. [김동리소설가) 어록] [작가와의 동행] 당시의 모습을..
2018.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