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문학관(11)
-
향촌문화관. 대구문학관 둘러보기 종합편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향촌문화관. 대구문학관 전경] [대구 향촌문화관 1층 전시관 입구] 대구 향촌문화관 1층 전시관 둘러보기 [향촌동 사람이 모이는 동네] 대구 향촌문화관 2층 전시실 둘러보기 [3.4층 대구 문학관오르는 계단] 3층 대구문학관 둘러보기 대구문학관 작가와의 만남(그들이 남긴 어록) 다시보기 대구문학관(마음치유 살롱) 요기 클릭 [4층 행복한 문학 서재, 기획전시관] 대구문학관 4층(행복한 문학 서재) 둘러보기 [기획전시관 입구] 구상 展(전)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요기 클릭 [2층 계단에서 담은 1층 향촌문화관 계단] 취조실 같기도 하고 감옥 같기도 한 이곳은 무엇? [1층 기념품 판매점] [기억의 탑 ] 자세히 살펴보니, 붉은 벽돌에 이름이 새겨져 있..
2016.12.20 -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대구문학관이 우리 문학의 소중한 가치와 뿌리를 조명하는 문학 활성화의 일환으로 근대문학 특별전을 지속적으로 기획. 전시하고 있다 합니다. 이번 전시는 광복기를 조명했던 '죽순, 그 열두 마다의 외침'에 이어 한국전쟁기를 탐구해 볼 수 있는 전시로 시인 구상을 조명한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 꽃자리 구상 展(전)'을 개최하고 있다. 6일부터 내년 3월5일까지 대구문학관 기획전시실에서 만나 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한국전쟁 이후부터 60년대 초까지 대구에 거주하며 많은 문화적 교류를 남긴 시인 구상과 그 문학적 인연들을 단행본. 사진. 영상. 캘리그라피 작품 등으로 소개한다. 프랑스 문인협회가 선정한 '세계 200대 문인'인 시인 구상은 등단부터 남..
2016.12.17 -
대구문학관(마음치유 살롱)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마음치유 살롱 어떤 곳일까? 마음을 어떻게 치유해 주는 걸까? 들려보실래요. 마음도 치유하시고 평안도 찾기 위해서... 喜(희), 怒(노), 哀(애), 樂(락) 우리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지요. 사람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네 가지 감정. 기쁨과 노여움과 슬픔과 즐거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노여움과 슬픔이 마음을 짖누를 때 '詩(시)' 낭송을 들으며 마음을 치유하는 곳이였네요.^^ 희노애락 중 어느 곳을 선택하시든 들어가셔서 마음에 드시는 '詩(시)'를 선택하셔서 들어보시면 됩니다. 아랫쪽에 있는 버튼을 눌러 듣고 싶은 시 낭송을 들으시면 됩니다. 전 우선 살구꽃 핀 마을(이호우)님의 시를 선택 1번을 눌렸습니다. 살구꽃 핀 마을 / 이호우 살구꽃 핀 ..
2016.12.16 -
대구문학관 작가와의 만남(그들이 남긴 어록)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작가와의 동행 골목길] 문인들이 찾던 술집과 다방, 그들이 표류하던 좁은 골목길을 대구 문학이 걸어간 골목길이기도하고, 오늘 그 골목길을 걸으며 우리는 그들의 상징적 이미지와 그들의 어록들을 길 위에서 만날 수 있도록 만들어 둔 곳 [김동리 어록] 순수문학의 본질 언제나 휴머니즘이 기초가 되는 것이다. 순수문학의 진화 (서울신문 1946.9.15)에서 [감나무 집] 감나무 집에서 만나는 박목월, 조지훈 시인의 어록 [박목월(시인) 어록] [조지훈(시인) 어록] [이영도(시조시인) 어록] 이곳은 어느분의 어록인지 담아왔다고 생각했는데... 실패하였네요..ㅠ.ㅠ [이호우(시조시인) 어록] [작가들이 즐겨 찾던 아루스 다방] [이응창(아동문학가) 어록] [..
2016.12.15 -
대구문학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3.4층 대구문학관 오르는 계단] [대구, 명작의 본향(조형물) 죽순] 3층 대구문학관 입구에서 담은 전경 '죽순'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4층까지 이어져 있다. [작품 죽순과 대구 명작의 본향 설명 글] [작가와의 동행 설명 글] 문인들이 찾던 다방, 술집 등 골목길에는 그들의 어록들을 만날 수 있다. [김동리(소설가) 어록] 이곳은 문인들이 남긴 어록들을 다시 새겨 볼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두었다. [씨뿌린 사람들] 대구는 민족시인 이상화와 소설가 빙허 현진건, 고월 이장희 등 우리 문학사에 새겨진 별들을 배출한 도시이다. 한국전쟁 때는 오상순, 조지훈, 박두진, 구상, 최정희 등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대구에 모여들어 전쟁기 문화수도의 역할을 ..
2016.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