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계 기증유물실(대구교육박물관)

2021. 3. 16. 06:00문화산책/여러 종류의 민속자료

[금계기증 유물실]
[금계기증유물실 출입구 전경]
[다음 세대를 위한 가장 따뜻한 선물, 기증]
[기증인 및 기증유물 소개 금계 변우용]
[역사의 타임캡슐]
[전시실 내부 전시자료 전경]
[먹감이층농 / 고창앞닫이 / 앞닫이]

 

1. 앞닫이 / 조선

앞닫이는 통상적으로 반닫이라 불린다.

옷가지를 보관하는데 주로 쓰이지만 패물, 문서, 책 등을 보관하기도 한다.

2. 고창앞닫이 / 조선

전라북도 고창에서 만들어진 앞닫이다.

제비초리형 경첩, 칠보문이 투조된 배꼽장식이 달려 있다.

3. 먹감이층농[二層籠(이층농)]

 

[앞닫이 명문]
[앞닫이 / 고창앞닫이 / 먹감이층농]

 

정면에서는 제 그림자가 비쳐서 담지 못하고

우측과 좌측에서 전체의 전경만 담아 올렸습니다.

 

[鏡臺(경대) / 비녀 / 동곳. 빗치개 / 빗. 가위 / 號牌(호패)]
[위 자료 위치도와 안내글]
[위 자료 앞, 옆, 뒤 사방 담아서 애니메이션 편집]
[전시실 내부 자료전시 전경]
[에디슨축음기(蓄音機) / Edison Phonograph]

 

에디슨축음기(蓄音機)

에디슨이 발명한 축음기이다.

1877년 11월 미국 특허국에 특허권을 제출할 당시 축음기 이름은

'토킹 머신(Talking machine)'이었다.

 

[에디슨축음기(蓄音機) / Edison Phonograph]
[전시실 내부 전시자료(종이에 써내려간 삶의 이야기) 전경]
[貫道之器(관도지기) / 賢鳳雙儀錄(현봉쌍의록) / 景賢錄(경현록) / 조선]

 

貫道之器(관도지기)

과거시험에 출제되었던 기출 문제와 급제자들의 글을 주제별로 모아 놓은 책이다.

賢鳳雙儀錄(현봉쌍의록)

조선후기 장편 가문소설로 세대에 이어지는 가족 간 갈등을 다루고 있다.

景賢錄(경현록)

金宏弼(김굉필, 1454~1504)의 시와 사적을 수집하여 1719년(숙종 45)

金夏錫(김하석)이 편찬한 책이다. 6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동서원에서 간행하였다.

 

[懷齋集(회재집) / 조선]

 

懷齋集(회재집)

조선 성리학의 주리론을 확립한 李彦迪(이언적, 1491~1553)의 시문집이다.

 

[資治通鑑綱目(자치통감강목) / 조선]

 

資治通鑑綱目(자치통감강목)

중국 송나라 司馬光(사마광)이 지은 '資治通鑑(자치통감)'을 朱熹(주희)가

'春秋(춘추)'의 형식에 따라 큰 제목으로 綱(강)을 세우고 사실의 가사는 目(목)으로

구별하여 편찬한 사서이다.

 

[전시실 내부 전시자료 전경]
[妙法蓮華經(묘법연화경) / 佛說阿彌陀經(불설아미타경) / 조선]

 

妙法蓮華經(묘법연화경)

천태종이 근본 경전으로 '천태종'과 함께 한국 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이다.

佛說阿彌陀經(불설아미타경)

아미타불과 극락정토의 장엄함을 찬양하고 아미타불을 외워 극락에서 왕생할 것을 권하는 책이다.

 

[西浦漫筆(서포만필) / 조선]

 

西浦漫筆(서포만필)

조선 후기 문인 金萬重(김만중, 1637~1692)이 지은 수필. 평론집으로

김만중의 진솔한 문학관과 종교관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妙法蓮華經弘傳(묘법연화경홍전) / 1574 / 조선]

 

妙法蓮華經弘傳(묘법연화경홍전)

조선시대에 간행된 천태종(불교의 한 종파)의 근본 경전으로 석가모니의

40년 설법을 모아 요약한 것이다.

 

[圃隱先生文集(포은선생문집) / 1631, 1659 / 조선]

 

圃隱先生文集(포은선생문집)

고려 말 충신 鄭夢周(정몽주, 1337~1392)의 시문집이다.

 

[전시실 내부 자료전시]
[정구선생 간찰 중 한 구절]
[鄭逑先生簡札(정구선생 간찰) / 1598 / 조선]

정구 선생이 친척에게 보낸 편지로 학문의 자세에 대해 적혀 있다.

 

[아송(雅誦) / 1730 / 조선]

정조가 朱子(주자)의 시문을 뽑아 1799년(정조 23) 활자본으로 간행한 책이다.

 

[전시실 내부 전시자료 전경]
[붉은 간 토기(청동기) / 뚜껑 있는 굽다리 접시(삼국)]

 

붉은 간 토기

청동기시대 지석묘, 집터 등에서 발견되는 토기로 표면에 산화철을 바르고 문질러 구웠다.

뚜껑 있는 굽다리 접시

의례용으로 사용되는 토기이다.

 

[굽다리 긴 목 항아리 / 화로모양 그릇 받침 / 그릇 받침]

 

굽다리 긴 목 항아리

긴 목 항아리에서 발전된 기종으로 바닥면에 굽다리가 부착되어 있다.

굽다리에는 장방형의 투창이 뚫려 있다.

화로모양 그릇받침

화로 모양의 그릇받침으로 주로 신라와 가야의 영역에서 많이 출토된다.

그릇받침

단경호나 장경호 등 항아리를 올려 두는 용도이다.

 

[전시실 내부 전시자료]
[청자 정병 / 청자 상감 국화무늬 마상배 / 분청사기 병 / 청자 철화 넝쿨무늬 병 / 청자 양각 연꽃무늬 병 / 고려]

 

청자 정병

깨끗한 물을 담는 물병으로 부처님 앞에 정수를 바치거나 의례를 행할 때 사용하였다.

청자 상감 국화무늬 마상배

마상배란 말 위에서 마시는 술잔을 뜻하며, 주로 전쟁터나 주둔지에서 기마생활을

하던 군인들이 널리 사용하였다.

청자철화 넝쿨무늬 병

산화철 안료를 이용하여 넝쿨무늬를 표현한 청자 벙이다.

청자 양각 연꽃무늬 병

 

[청자 상감 파초무늬 매병 / 조선]
[전시실 내부 전시자료]
[(위) 석전제에 쓰인 술 항아리(조선) / (아래) 백자 철화 무늬 항아리 / 청자 주전자(고려)]

 

석전제에 쓰인 술 항아리

성균관과 향교에서 공자와 그 제자들의 제사 의식에 사용한 술 항아리이다.

소 모양을 한 것을 犧尊(희준)이라 하며, 코끼리 모양을 한 것을 象尊(상준)이라 한다.

백자 철화 무늬 항아리

백자에 산화철 안료를 이용하여 무늬를 표현한 항아리이다.

청자 주전자

차나 술을 따르기 위한 청자 용기이다.

둥근 몸체, 손잡이, 주둥이로 이루어져 있다.

 

[(위)백자 뚜껑 있는 항아리 / (아래)청자완 / 청자 상감 봉황무늬 대접]
[백자 뚜껑 있는 항아리 / 조선]
[전시실 내부 전시자료 전경]

 

더 없이 좋은 일

30여 년간 애지중지하며 손때 묻은 애장품이어서 처음에는 섭섭했으나 지금은 오히려 홀가분하다.

소중한 문화재를 혼자만 두고 감상하는 것 보다는 많은 학생들이 보고, 느끼고, 공감한다면 더 없이

좋은 일이 아니겠는가! (기증자 금계 변우용)

 

[흙으로 빚어낸 세월]

 

둥근 창 안쪽으로 유물이 보존 전시되어 있기에 창 안쪽의 유물을

하나 하나 담아 소개합니다. 우리의 고유의 유물을 즐감해보셔요.

 

[영상 / 변우용 선생을 만난다]
[다음 세대를 위한 가장 따뜻한 선물, 기증]

 

다음 세대를 위한 가장 따뜻한 선물, 기증

변우용 선생님이 평생을 모아 기증하신 유물들을 한자리에서 만납니다.

가구며 책, 도자기에다 멋진 축음기까지, 세월의 흔적들이 고스란히 모인

공간에서 기증의 의미를 되새기면 좋겠습니다.(위 따뜻한 선물 글 내용 옮겨 적음)

소개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