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엽서로 떠나는 대구 근대 여행

2019. 1. 18. 06:01문화산책/여러 종류의 민속자료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33

 

[대구 근대역사관 전경]

[대구 근대역사관 출입구 전경]

 

근대 관광의 시작
조선에서 '觀光(관광)'이라는 새로운 문화현상이 생겨난 것은 1915년으로,
조선물산공진회 개최를 계기로 모집된 명승지유람단에서 비롯됐다.


총독부는 관람객 동원을 위해 각 도마다 협찬회를 조직토록 했다.
각 도의 협찬회가 관람단을 조직하기도 했고, 공진회에 오는 관람객의
숙소를 마련하거나 선박 기차 등을 알선하고 출품과 관람을 장려하였다.


일제의 본격적인 관광 부흥 정책과 관광지 개발, 철도 등
교통수단의 발전으로 관광은 확산되어 갔다.

 

[2층 체험학습실]

 

1층에서 에리베이트 2층을 올라 내리면 곧장 만날 수 있는 체험학습실

 

[체험학습실]

[대구 근대역사관 주변 관광지 안내도]

[휴게실겸 중간 자료실]

[기획전시실 출입구 전경]

 

근대기 '관광'이라는 새로운 현상이 등장하면서
관광지를 소개하는 다양한 이미지들이 제작되었다.
사진술과 인쇄술의 결합으로 사진엽서가 등장했다.


사진엽서는 신문, 잡지, 서적 등과 더불어 사라진 우리의
근대 풍속과 건축,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시각 유물이다.

 

[출입구쪽에서 담은 기획전시실 우측 내부 전경]

 

대구 관련 사진엽서들은 대부분 대구에 있던 사진관이나
당시 토산품을 취급하던 토산부등에서 발행한 것으로, 개항 이후
일제강점기 대구의 명소나 번화가 모습들을 담고 있다.


하지만 대구의 번화가나 근대 건축물을 보여주는 엽서 이면에는
일제강점기 식민지통치를 통해 근대화된 모습이라고 선전하기 위한
조선총독부의 지배논리를 엿볼 수 있다.

 

[사진엽서로 떠나는 대구 근대여행]

[여는 글]

[사진엽서 안내 글]

[전시실 내부 전시된 자료사진 전경]

[철도의 발달로 탄생한 근대 관광, 근대관광의 시작 자료 전시]

[근대 관광의 시작]

 

1. 카메라 / 일제강점기
2. 자이즈이콘 폴딩카메라 / 1930년대
3. 여행용 가방 / 1930년대 / 시간여행 소장
4. 도시락 덮개 / 1930년대 / 시간여행 소장
(대구역 구내 매점)
5. 도시락 덮개 / 1940년대 / 시간여행 소장
(안변역 구내, 경원선 철원역앞, 천안역 앞)

 

[철도의 발달 자료 전시]

 

위 사진 우측
1. 기차포 / 1930년 외 / 시간여행 소장
2. 대구부산 기차표 / 1941년 / 전하현 기증
그외 남조선 철도 영업안내, 조선의 이야기, 조선의 여행,
조선여행안내(1939, 1926, 1938, 1921) 시립박물관 소장
조선의 풍습 / 1925 / 시간여행 소장

 

[철도의 발달]

 

1. 경부철도안내 2. 신흥의 조선 3. 반도의 근영 4. 조선의 풍광
5. 조선의 풍광 6. 취미의 조선여행 7. 사계의 조선 8. 조선의 온천 등..

 

[전시실 내부 전경]

[명승지 관광 자료(일제강점기)]

 

1. 경성시가 전경 2. 혼마치 1정목(충무로) 3. 황금정(을지로)
4. 경성역에서 본 남대문 5. 남대문거리 1정목 6. 조선총독부
7. 종로 2정목 화신백화점 8. 미쓰코시백화점과 경성우편국 9. 경성부청
10. 경성동양척식주식회사 11. 경성조선호텔

 

[명승지 관광 자료(일제강점기)]

[경성 관광 지도 자료 등]

 

경성은 식민지 조선의 수도로서 사진엽서 속에 등장한다.
'경성', '경성명소', 경성백경', 경성대관' 등의 독립된 시리즈물로
제작되어 한국 근대 도시의 풍경을 담았다.


1910년 초기 사대문과 성벽 궁궐과 성문 등 전통을 상징하는 요소에서
1910년 중반 이후부터 넓어진 도로와 전차, 근대식 건물이 즐비한
근대와된 도시의 경관을 담은 것으로 변화되었다.


엽서에서는 주로 근대적인 가로와 고층건물들이 등장한다.
또한 전차, 자동차와 근대식건물이 즐비한 종로, 황금정(현 을지로),
본정(현 충무로) 등이 경성을 대표하는 장소로 자리잡아갔다.

 

[명승지 관광 / 평양 / 일제강점기]

[명승지 관광 / 평양 / 일제강점기]

[명승지 관광 / 유람의 평양 / 1930년대 / 평양 유명지 안내]

[명승지 관광 / 경주 / 조선대도회 / 온양온천 / 남선지방 /개성 / 서선지방]

[명승지 관광 / 경주 / 조선대도회 / 온양온천 / 남선지방 /개성 / 서선지방]

[명승지 관광 / 부산안내 / 조선동래온천안내 / 기념품 / 부산사진첩 등]

[명승지 관광 / 부산호텔 / 부산관광안내도 / 동래온천안내]

 

명승지관광 - 금강산, 평양, 부산, 경주


일제는 1930년 이후 본격적인 관광 부흥정책을 실시하고,
다양한 관광지를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이 무렵 조선의 명산 금강산과 평양. 부여. 경주 등
고적지는 조선을 대표하는 관광지로 부각되었다.
당시 철도의 개통은 이들 명승지가 관광지화 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 무렵 명승지는 누구나 원할 때 찾아가 즐길 수 있는 관광지가 되었다.
그러나 당시 식민지 현실 속에서 비싼 여행비용을 지불하며 명승지를 찾아
나설 수 있었던 조선인은 그리 많지 않았다.

 

[부산 명승지]

 

1. 부산 통도사 2. 부산 범어사 3. 부산역
4. 부산세관 5. 부산대교 6. 용두산 부산신사
7. 부산 동부시가 8. 동래읍내 9. 부산송도해수욕장
10. 동래온천

 

[명승지 관광 자료]

 

1. 금강산 장안사호텔 2. 금강산 신계사 3. 금강산
4. 금강산 구룡폭포 5. 금강산 만폭동, 유점사, 조양폭포
6. 금강산 옥류동 무봉폭포

 

[관광 상품 / 기생과 조선 관광]

 

일제 강점기 관광 기념 사진엽서와 팜플릿 외에도 조선을 담은
다양한 관광 상품이 생산되었다. 대표적인 관광 기념품으로는 여행지의
풍경이담긴 사진엽서, 조신인의 모습을 재현한 조선인 인형, 각 지역의
명소를 도안하여 만든 觀光印(관광인), 조선의 대표적인 특산물인 인삼,
비단 등이었다.

 

[觀光印(관광인)]

 

관광인은 관광 문화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것으로 각 지방의 우편국이
만들어 사용했으며, '명소 스탬프'라 불렀다. 명소 외에도 지역적인 특색이
드러나는 다양한 모습을 단순화 시켜 도안으로 만들었다.

 

[관광 상품]

 

조선인 인형은 나무로 만든 목각인형, 도기인형, 헝겊인형 등
다양한 종류의 인형이 만들어졌으며, 이들 인형의 모습은 사진엽서와
마찬가지로 조선인의 모습을 재현했다.

 

[관광 상품]

[기생 관광 사진 자료]

 

1. 악사와 기생의 검무 2. 기생연무자 3. 장구치기
4. 악기연주 5. 기생 6. 관기
7. 평양 기생학교 8. 기생과 대동강 9. 모란대와 기생

 

[기생 관광 사진 자료]

 

1. 기생과 사고무 2. 기생의 검무 3. 기생의 춤
4. 기생의 춤 5. 관기의 춤

 

[기생 관광 자료 전시]

[기생 관광]

 

위 사진 중 우측 '대구 토산품 엽서첩'
좌측 西鮮(서선) 경성정서 조선총독부철도국

 

[서구인들의 여행기 속에 나타난 조선]

[개화기 서구인의 조선여행]

 

1. 고요한 아침의 나라 2. 구한국 3. 세계여행
4. 1900년에 5. 버튼 홈즈 여행기 6. 성 파울렌의 한국소녀

 

[근대기 대구학생들이 수학여행]

 

대구상업고등학교 졸업앨범, 경북중학교 졸업앨범, 대구공립상업학교 졸업앨범
대구고등보통학교 졸업앨범, 대구사범학교 졸업앨범, 희도보통학교 졸업앨범

 

[전시실 안쪽 우측 입구쪽 벽의 사진자료 전경]

[대구 근대의 풍경]

 

윗쪽 자료 : 대구토산품 엽서첩 아래쪽 자료 : 발전하는 대구

 

[사진엽서에 담긴 근대 대구 풍경]

[옛 사진 자료]

[사진엽서에 담긴 식민지 근대 풍경]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엽서를 생산하게 된 것은 1900년
대한제국 농상공부 인쇄국에서 발행한 1전짜리 엽서였다.
그러나 이미 1899년 프랑스 우체 고문인 클레망세(E.Clemenoent)가
"국내 유명한 경치며 비각, 성읍, 관각의 경색을 사진으로 하는 그림엽서를
판매하면 고가로 판매할 수 있다"
라는 내용을 건의한 예가 있었으며,
이를 계기로 프랑스어 교사로 한국에 와 있던 알레베크(Chanles Aleveque)가
자신이 촬영한 궁궐과 풍속사진을 엽서로 제작해 줄 것을 프랑스에 의뢰해
사진엽서를 제작, 판매한 것으로 한국의 사진엽서가 시작됐다.(중략)

 

[우측에서 담은 기획전시실 출입구 전경]

 

첨성대와 빨간 우체통이 정겹네요.
요즘 같으면 어림도 없었을테지만, 그때 괜찮았나봅니다.
첨성대위에 다닥다닥 올라가 기념 촬영을 한 학생들 모습이 이채롭다.


빨간 우체통에는 즉석에서 '나에게 엽서쓰기'를 할 수 있게
준비되어 있으니 나에게도 보내보면 좋겠지요.
전 시간에 쫓겨 후다닥 다녀오느라 담아온 사진을 정리하며 보았기에...
기회를 놓쳤습니다.


전시기간이 2019년 3월 31일까지이니 혹 가시게 된다면 한번 해보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