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 30일(5)
-
軍威(군위) 鶴巢臺(학소대)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인각사쪽에서 담은 학소대와 안내판 전경] 인각사와 도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는 鶴巢臺(학소대) 그 아래로는 위천이 흐르고 있다. [안내판 안내도] 일연 테마로드 효행의 길 효성이 지극했던 일연스님은 78세때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개경에서 인각사로 내려왔다. 일연스님이 살아 있을 당시 고려 불교의 중심이었던 것으로 알려진 인각사 일원에 병풍처럼 펼쳐진 자연암벽인 학소대를 비롯한 일연공원, 군위댐 등이 아름다운 풍광을 빚어내고 있다. 일연테마로드는 자연과 문화가 함께하는 관광자원화 실현을 목적으로 하며 일연선사 관련자원을 바탕으로 상상이 가미된 연출과 재현으로 일연선사의 일상을 입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일연스님 입적 후 그를 기리는 부도탑과 비가 인각사에..
2017.12.12 -
軍威鄕校(군위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동부리 629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185호 [군위향교 와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涵德堂(함덕당) 현판] [涵德堂(함덕당) 전경] 군위향교 앞에 자리하고 있는 유림회관 함덕당은 유림들의 학문연구와 여가선용을 위한 휴식처제공 뿐 아니라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忠孝(충효) 및 전통예절교육의 장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합니다. [軍威鄕校(군위향교)] 태종 7년(1407)에 賢儒(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선조 40년(1607) 당시 영의정이었던 柳成龍(류성룡)과 이 고을 출신 학자 李五峯(이오봉)이 풍수지리를 잘 아는 승려 聖智(성지)를 보내어 새로 터를 잡아 船放山(선방산) 남쪽 기슭인 쇠똥..
2017.12.11 -
인각사(일연선사와 삼국유사 특별전)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일연선사생애관 전경] [일연찬가 / 고은 시비] [일연선사와 삼국유사 특별전] [생애관 내부 전경] 문을 열고 들어섰지만, 아무도 안계셨다. 사진을 담기에는 좀 어두워서 어쩔까? 망서리는데... 문옆 벽면에는 관람을 하실때는 불을 켜셨다가 나가실땐 끄고 나가시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얼른 불을 환하게 밝히고 스맛폰으로 담기 시작 관람은 조용히... 설명은 생략...소개합니다. [일연선사] [좌측에서 담은 일연선사생애관 전경] 관람 잘 하셨나요. 제가 이렇게 상세히 담아오는데는 이유가 있답니다. 오래전 블로그 이웃으로 몸이 불편하여 바깥나들이를 전혀 못하는 이웃이 있었어요. 그 이웃이 사진으로나마 들려볼 수 있어서 너무 좋은데... 간단하게 말고, 좀 ..
2017.12.08 -
삼국유사의 산실 麟角寺(인각사)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 [인각사 표석비 전경] [인각사지 안내판 글 내용] [인각사지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인각사 극락전 전경]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銀海寺(은해사)의 말사이다. 선덕여왕 12년(643)에 元曉(원효)가 창건하였다. [일연선사 생애관 전경] [인각사지 발굴한 유물 전경] 절의 입구에 깎아지른 듯한 바위가 있는데, 俗傳(속전)에 기린이 뿔을 이 바위에 얹었다고 하여 절 이름을 麟角寺(인각사)라 하였다 한다. [인각사지 발굴한 유물] 이 유물들이 고증에 의해 다시 세워져서 완전한 옛 모습을 갖춘 인각사로 재 조명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인각사 극락전 전경] 그 뒤 충렬왕 33년(1307)에 一然(일연)이 중창하고 이곳에서 '三國遺事(삼국유사)'를 저술하였..
2017.12.07 -
張士珍義兵將遺蹟(장사진의병장유적)
소재지 :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병수리, 오천리 경상북도 기념물 제122호 [증수군절도사 의병장장사진유허비 전경] 遺(비)에는 '贈水軍節度使 義兵將張士珍遺墟碑'라 새겨져 있다. 뒤쪽에 보이는 건물이 의병장 장사진을 모시는 忠烈祠(충렬사)이다. [贈水軍節度使 義兵將張士珍遺墟碑(증수군절도사의병장장사진유허비)] [忠烈祠(충렬사) 오르는 돌계단] 張士珍(장사진) 의병장은 어려서부터 호협심이 대단하여 불의를 보고 참지 못하여 남이 당하는 것을 보고는 앞뒤를 가리지 않고 뛰어들어 손해를 보는 일이 가끔 있었으나 개의하지 않았다. 이웃사람들은 義俠人(의협인)이라고 불렀다 합니다. [忠烈祠(충렬사) 오르는 돌계단 2] 재주도 있어 군위향교의 校生(교생)의 신분으로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승승장구하는 왜세를 당하..
201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