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와서원(32)
-
丹邱書院(단구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단구리1068 [단구서원(丹邱書院) 전경] 문희공 이세기선생을 주벽으로 하고 문효공 이천선생 송와공 이종윤을 배향하는 곳이며, 원래는 송와공을 제향하는 모현서당이 철종13년(1862)에 건립되었는데 고종5년(1868)에 훼철되어 1983년 본원을 창건하였다. 경내에는 경현사, 숭광당, 경모재, 양진재, 열호문, 묘정비가 있으나 동재가 일찌기 퇴락 되어 문화재기준으로 13평의 목재건물을 신축하고 '경모재'를 준공하였다. 매년 3월초경일에 향제를 올리고 있다. [묘정비] 이세기는 본관은 경주이고 호는 송암 고려 충렬왕때 명신으로 문장에 능하였으며 밀직부사 예문관 대제학 동지 춘추관사 검교정승 등을 역임하였다. 이천은 이세기의 장자이며 호는 국당 자는 군실이다. 고려 충렬왕2..
2016.03.12 -
예안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04ㅡ1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8호 [禮安鄕校(예안향교) 앞의 보호수] 예안향교는 도산서원을 찾아가는 길에 함께 들러보면 좋다. 사시사철 방문객이 끊이지 않는 도산서원과 달리 예안향교는 안동에서 도산서원 가는 길에 쉽게 들를 수 있는 곳이지만, 이곳에서 발길을 멈추는 이가 드물다. 예안향교는 안동 시내에서 도산서원 방면으로 약 20㎞ 떨어진 서부단지에 있으며, 이 길은 도산서원으로 가는 길이어서 대부분의 안내판은 도산서원을 가리키고 있다. 때문에 예안향교를 알리는 팻말을 놓치기 쉽다. 향교 앞까지 자동차가 접근할 수는 있지만, 급한 경사를 곤두박질치듯 내려가야 하니 조심해야 한다. 도로 가장자리에 자동차를 주차할 공간이 넉넉하다. 주위를 잘 살피고 자동차를 세..
2016.02.26 -
慶州鄕校(경주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91호 [경주향교 안내도와 안내 글 내용] [동쪽 협문에서 담은 명륜당으로 통하는 협문] 鄕校(향교)의 外三門(외삼문)이 닫혀 있었지만, 동쪽 협문을 통해 안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명륜당과 서재]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고려시대 때 賢儒(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신라 신문왕 2년(682) 國學(국학)이 설치되었던 곳이라 한다. [명륜당] 그 뒤 성종 23년(1492) 경주부윤 崔應賢(최응현)이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성전이 소실되어 위패를 道德山(도덕산) 斗德庵(두덕암)으로 옮겼다가 선조 33년(1600) 경주 부윤 李時發(이시발)이 대성전과 전사청을 중건하고 위패를 還安(환..
2016.01.27 -
紫雲書院(자운서원)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 산 5-1번지 경기기념물 제 45호 [자운서원 정문인 紫雲門(자운문)] 紫雲書院(자운서원)은 이이의 위패와 영정이 봉안돼 있는 서원이다. 효종의 친필 사액으로 세워졌으며,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 최고의 석학이요 천재라 할 수 있는 이이 율곡과 모친 되시는 신사임당의 영정이 있고 묘지가 있는 곳이다. 이이 율곡선생과 모친 신사임당에 대하여 잘 알 수 있도록 '자운서원 기념관'이 세워져 있고, 서원, 이이 율곡 가문의 묘소가 있어 두세 시간은 족히 돌아보아야 하기 때문에 교육적으로도 답사하기에 매우 좋은 곳이라 할 수 있다. [李珥先生(이이선생) 神道碑閣(신도비각) 전경] 파주시 향토유적 제 6호 이 신도비는 조선중기의 대학자이며 경세가..
2016.01.23 -
盈德鄕校(영덕향교)
소재지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화개리 160 [盈德鄕校(영덕향교) 현판] [영덕향교 삼문] 향교의 창건연대는 조선 태종(1403)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선말까지 현 초등학교뒷 편에 있던 것을 1914년 북쪽 화개동 토성리의 민가를 구입, 봉향하다가 1924년 다시 이전 종전의 향교를 보수, 위패를 환안하였다. [영덕향교 연혁 안내글 내용] [옆에서 본 전경] 1950년 6.25 한국전쟁때 대성전 및 기타 건물이 전소되기도 했으나, 600년의 전통을 이어왔으며 1965년 뜻있는 유림들의 성금으로 화개리 현 위치의 고가를 구입, 이후 증, 개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성전, 명륜당, 동, 서재를 건립해 공자를 중심으로 맹자 등의 5성인, 송나라 주자, 정호 2현(二賢)과 설총, 최치원, 정몽주, ..
2016.01.19 -
경주 司馬所(사마소)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89-1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호 [司馬所(사마소) 전경] [안내판 내용] [담밖 司馬所(사마소) 표석] 조선시대 과거시험에 합격한 지방의 선비들에게 儒學(유학)을 가르치거나 정치를 토론하던 곳이다. 또한 자기수양을 위해 선비들이 찾던 곳으로, 연산군 때에는 백성들에게 곡식을 빌려주었다고 한다. 수양을 위해 선비들이 찾던 곳이기도하여 수양이 부족한 사람을 가리켜 '사마소에 입소하여야 한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고도 한다. [司馬所(사마소) 전경] 사마소는 2개 동의 건물이 있다. 본체에 해당하는 風詠亭(풍영정)은 갓 사마시에 합격한 젊은 신진 사류가 주로 사용하였고, 그 서쪽의 炳燭軒(병촉헌)에는 원로 선비들이 애용하였다고 한다. 이들 노소의 선비들은 엄격한 자리 구별이..
2015.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