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묘역 답사(75)
-
高峯(고봉) 奇大升(기대승) 墓(묘)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 [월봉서원 옆 고봉 기대승 묘소 가는 길 전경] 월봉서원을 둘러 본 후 서원 뒤편 백우산 자락에 모셔져 있는 고봉 기대승 선생의 묘소를 찾아 나섰다. [고봉 기대승 묘소 안내팻말] 안내팻말에는 고봉 기대승 묘소와 철학자의 길이란 글이 적혀 있다. [묘소 가는 길 애니메이션 편집] 길은 완만하고 좁은 산길이지만, 잘 정리되어 있어서 오르기가 쉽다. [고봉 기대승 선생의 시비 전경] 오솔길의 풍광에 젖어 오르다 보니 어느새 앞쪽에 커다란 바위에 고봉 기대승 선생님의 시가 새겨진 詩碑(시비)가 보였다. [고봉 기대승 선생의 시비] 호와(豪華)코 부귀(富貴)키야 신릉군(信陵君)만 할가마난, 백년(百年)이 못되어 무덤 우희 밧츨가니, 하물며 여나믄 장부(丈夫)야 닐러 무삼하리요..
2018.06.12 -
碧梧(벽오) 李時發(이시발) 墓(묘)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신도비 쪽 도로에서 담은 경주이씨 묘역 전경] 이시발의 묘소는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지전마을의 경주이씨 묘역에 있다. 1610년 3월 이시발은 돌아가신 부친의 묘소를 청원군 오창면 오근리 벌영산에서 청원군 옥산면 환희리 천내로 직접 이장하고, 그해 4월에 진천 초평으로 살 집을 마련하여 가족들을 이주시켰다. 며칠전 소개한 이시발 신도비를 보시지 못한 이웃님이 계신다면, 요기 클릭 하셔서 들려보셔요.^^ [아래쪽에서 담은 묘역 전경] 이곳 묘지는 明(명) 나라의 杜師忠(두사충)이 자리 잡아준 터라 한다. 이곳으로 산소를 정한 까닭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왜군이 방방곡곡에 전승하며 한양으로 밀려오자, 선조는 義州(의주)로 파천하고 끝내..
2018.05.09 -
하늘도 감동 시킨 효자 모암 김덕숭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평산리 [신도비와 뒤쪽 묘소 가는 길 전경] 모암 김덕숭 묘소 가는 길 앞쪽에 세워진 신도비 전경 [신도비와 앞쪽 塊石(괴석) 전경] 신도비 앞쪽 범상찮아 보이는 거북처럼 생긴 塊石(괴석) 일부러 다듬고 깎은 것이 아니라 저절로 생긴 신비로운 바위인듯 하다. [묘소 오르는 길] 묘소로 오르는 길은 이렇게 좀 가팔랐지만, 들려봐야겠다는 마음이 걸음을 빨리하게 하네요. [중턱을 올라서자 보이는 첫번째 묘] 이젠 다 왔다는 안도의 숨을 내쉬며 살펴보았다. 그랬더니 누구의 묘인지는 몰라도 문인석과 오래된 묘비가 이곳의 주인도 범상찮아 보였지만... 답사지로 정한 뒤쪽 慕庵(모암) 金德崇(김덕숭) 묘소로 향했다. [모암 김덕숭 묘소 오르는 돌계단과 묘소 전경] 공민왕 22년(13..
2018.04.24 -
豹菴(표암) 姜世晃(강세황) 선생 묘소
소재지 :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도하리 510-10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3호 [표암 강세황 선생 묘소 안내판] [안내판과 묘소로 가는 길 입구] 근처 공터에 주차를 해 놓고 여기서부터 걸어 한 구비 돌면 곧장 표암 강세황 선생의 묘소가 보입니다. [豹菴(표암) 姜世晃(강세황) 묘소 전경] 본관은 晋州(진주). 자는 光之(광지), 호는 添齋(첨재). 豹翁(표옹). 路竹(노죽). 山響齋(산향재). 豹菴(표암), 시호는 憲靖(헌정). 숙종 39년(1713) 한양에서 태어나 정조 15년(1791) 세상을 떠났다. [신도비와 안내판 묘소 전경] 조선 후기의 대표적 문인 화가이다. 진주 강 씨 5대 가운데 강세황은 조선 후기 유명 화가인 김홍도와 신위의 스승이자 그는 詩(시). 書(서). 畵(화)에 고루 뛰어..
2018.04.20 -
이상화 묘와 李庄家(이장가) 가족묘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산9 [李庄家(이장가) 가족 묘역 재실] 묘역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재실 李庄家(이장가) [李庄家(이장가) 현판] [李庄家(이장가) 솟을 삼문 전경] 답사를 다니다보면 문이 닫혀 있는 곳이 많아서 활짝 열린 李庄家(이장가) 솟을 삼문이 반갑다. [南齋(남재) 현판] [南齋(남재) 전경] 이장가 솟을 삼문을 들어서면 곧장 보이는 재실 南齋(남재) [좌측옆에서 담은 南齋(남재) 전경] [남재와 정자 그리고 솟을 삼문] [우측옆에서 담은 南齋(남재) 전경] 관리가 잘 된 이장가 재실 건물이 자꾸만 사진을 찍게 만든다. [월성이씨 문중 묘역] [묘역 앞 재각으로 오르는 돌계단] 이상화는 시인으로 호는 尙火(상화)이며, 대구에서 출생하였다. 1917년 고향에서 현진건, ..
2018.01.10 -
한국 천주교 첫 순교자 토마스 김범우(金範禹) 성지
소재지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동 산129 [순교자 김범우 묘로 올라가는 입구]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에서 북쪽 만어산 방면 도로를 따라 3km쯤 가면 광천 마을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좌회전하여 야트막한 고개를 넘어 다시 삼거리나오면, 우회전하여 1km정도 들어가면 사기점 마을인데 김범우 묘소는 10분 정도 산길을 올라야 된다. [묘소 안내판 글 내용] [참배자가 지켜야 할 예의] 주차장에 차를 세워두고 좁고 가파른 오솔길 오르면서 우측으로 드문드문 세워져 있던 '십자가의 길(14처 기도의 길)' 차례대로는 아니지만, 거의 다 담아와서 포토스케이프에서 페이지로 편집하여 소개합니다. [라파엘 쉼터] [라파엘 쉼터 광장에서 바라본 오른쪽 전경] [라파엘 광장 성물 조각 작품] [라파엘 쉼터 광장에..
2017.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