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4. 19. 06:08ㆍ문화산책/정자와 누각
소재지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984-3
지정번호 : 제 26호
[子規樓(자규루) 협문]
세조 2년(1456) 6월 28일, 단종이 청령포에 유배되었다가
홍수 때문에 이곳으로 옮겨와 머물던 중에 2차 단종복위사건으로 인해
세조의 명으로 금부도사 王邦衍(왕방연)이 가지고 온 사약과 공생 화득의
교살에 의해 1457년 10월24일 사사된 곳이라고 한다.
[정면에서 담은 子規樓(자규루)]
또한 김삿갓이 20세 되던 해 조부의 행적을 모르고
조부를 신랄하게 탄핵하는 글을 지어 장원한 곳이기도 하다.
[좌측에서 담은 子規樓(자규루)]
협문이 닫혀있어서 들어갈 수 없기에 밖에서
사진으로 담고 돌아서려는데, 지나가던 아저씨 한분이
저쪽으로 좀더 올라가면, 정문이 있으니 그곳을 통해
들어가면 된다고 알려주셨다.
觀風軒(관풍헌)은 영월 객사의 東軒(동헌) 건물로서
영월읍 중앙로에서 동강1교 방향으로 약 700m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태조 1년(1392)에 객사와 함께 건립되었다.
[觀風軒(관풍헌) 정문]
이곳을 통하여 관풍헌으로 들어갈 수가 있다.
그러나 어디에도 관풍헌과 관계된 팻말을 볼 수가 없었다.
기둥엔 ‘보덕사청년회’, ‘보덕사포고당’ 이라고만 적혀있어서
지나칠뻔 한 것을 지나가는 사람에게 또 다시 물어보고야 알게 되었다.
현재는 조계종 보덕사에서 포교당으로 이용하고 있다 합니다.
관풍헌이 있는 객사의 정문을 白雲樓(백운루)
江原道誌(강원도지)에는 觀風樓(관풍루)라고 표기되어 있다한다.
[관풍헌 안내판 글 내용]
관풍헌은 조선시대 지방의 업무를 처리하던 관청건물로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의 건물과 부속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객사의 가운데 집은 높게 지어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와 '궐'패를 모셔놓고 사또가 한 달에 두 번씩
임금께 고하듯이 고을을 잘 다스리고 보고하는 곳이라한다.
양쪽 날개집은 중앙정부 관리가 이곳에 내려올 때 머물렀다 합니다.
[觀風軒(관풍헌)]
관풍헌은 본래 고을의 객사로 쓰던 건물로
영월읍의 중심에 있으며, 동헌 동쪽에 있는 누각을
梅竹樓(매죽루)또는 子規樓(자규루)라 하기도한다.
이 누각은 세종 10년(1428) 영월군수 申潚根(신숙근)이
창건하여 梅竹樓(매죽루)라 하였다.
후에 단종이 이곳 객사에서 거처하였고
이 누각에 올라 자신의 고뇌를 子規詞(자규사) 및
子規詩(자규시)로 읊은것이 계기가 되어 누각의 이름이
子規樓(자규루)로 바뀌었다고 전해진다.
자규시
一自寃禽出帝宮(원통한 새가 되어 궁궐을 나온 후로)
孤身隻影碧山中(외로운 그림자 산중에 홀로 섰네)
假眠夜夜眠無假(밤이 가고 밤이 와도 잠 못 이루고)
窮恨年年恨不窮(해가 가고 해가 와도 한은 끝이 없어라)
斷聲曉岑殘月白(두견새 소리 그치고 조각달은 밝은데)
血流春谷落花紅(피눈물 흘러서 지는 꽃이 붉구나)
天聾尙未聞哀訴(하늘도 저 하소연 듣지 못하는데)
何奈愁人耳獨聽(어찌 시름 젖은 내게만 들리는고)
제왕의 자리에서 쫓겨난 어린 임금의 애처로움과
비통함이 절절히 묘사돼 있어 읽는 이의 가슴을 숙연케 한다.
자규사
月白夜蜀魂추(달 밝은 밤 두견새 울 제)
含愁情依樓頭(시름 못 잊어 누 머리에 기대어라)
爾啼悲我聞苦(네 울음 슬프니 내 듣기 괴롭구나 )
無爾聲無我愁(네 소리 없었던들 내 시름 없을 것을)
寄語世苦榮人(세상에 근심 많은 이들에게 일으노니)
愼莫登子規樓(부디 자규루에는 오르지 마오)
그 후 선조 38년(1605) 큰 홍수로 인하여 이 누각이
허물어지고 그 자리에 민가가 들어설 정도로 폐허가 되었으나
정조15년(1791) 강원도 관찰사 윤사국이 그 터를 찾아 복원하였다.
[梅竹樓(매죽루)]
원래 이 누각은 객사에 딸린 정자로 세종 10년(1428)
영월군수였던 신근권이 세워서 ‘梅竹樓(매죽루)’라 불리웠으나
단종이 樓(루)에 올라 ‘피를 토하듯 운다’ 는 두견새(杜鵑, 子規)의
한을 자신과 비교하여 시를 읊었다고 하여 그 시를 자규사라 하고
이 樓(루)를 子規樓(자규루)라고도 불렀다.
[자규루 안내판 글 내용]
[梅竹樓(매죽루) 2]
17세의 어린 나이, 요즘으로 치면 고등학교 1학년 쯤
되었을 소년인데 이토록 성숙하고 그 詩才(시재) 또한 놀랍다.
보위를 그대로 지켰더라면 후일 성군이 되었을지도….
단종이 이처럼 시를 읊어 울적한 심사를 달래며
유폐생활을 하는 동안 경상도 순흥에 유배되었던 여섯째 숙부
錦城大君(금성대군)이 단종 복위운동을 하다가 발각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그러나 불행히도 거사를 해 보기도 전에 밀서가 발각되어
수 많은 사람이 죽고 화가 단종에게까지 미칠 줄을 어찌 알았으랴.
사람의 운명이란 하늘에 달린것을….애닯다 어이하리…
[좌측에서 담은 觀風軒(관풍헌) 전경]
단종을 살려 두고서는 복위운동이 그치지 않으리라고 판단한
수양과 그 추종자들은 단종을 죽이기로 작정하고 금부도사 王邦衍(왕방연)을
보내어 사형을 집행케 했다.
왕방연이 왕명을 어기지 못하여 사약을 가지고 관풍헌에
당도했으나 차마 입이 열리지 않아 집행을 못한 채 시간이 흐르고 있었다.
이때 貢生(공생) 福得(복득)이란 자가 단종의 뒤에서 활시위로 목을 졸라
비참한 최후를 맞게 했다고 한다.
단종이 숨을 거두자 시신은 東江(동강)에 버려졌고,
후환이 두려워 아무도 손을 대지 못하는데 영월 戶長(호장)이었던
아전 嚴興道(엄흥도)가 밤에 몰래 시신을 거두어 도망하다가
노루가 튀어 달아나는 곳에 눈이 녹았음을 발견하고 그 자리에
시신을 가매장한 후 온 가족과 함께 종적을 감추었다.
[觀風軒(관풍헌)에서 담은 삼문 전경]
지금의 단종왕릉인 莊陵(장릉) 자리가 바로 그 자리이고
풍수가들이 보아도 천하의 명당이라고 하니 하늘도 무심치 않았나 보다.
조선왕조 역대 임금 가운데 유일하게 國葬(국장)을 치르지 못한
'비운의 왕' 단종. 승하한지 550년만에 國葬(국장)으로 치루었다 한다.
단종이 사약을 받고 승하한 관풍헌을 출발해 사육신의 위패를 모신
창절서원에서 노제를 지낸 뒤 장릉까지 이어진 5백여 미터에 이르는 국장 행렬은
철저한 고증을 거쳐 진행하였으며, 장릉에 국장 행렬이 도착하자 단종의 천도를
기원하는 의미로 만든 모형 말인 죽안마를 불태우고 궁중 제례의식에 맞춰
제향제례를 성대히 치루었다 합니다.
'문화산책 > 정자와 누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思美人曲(사미인곡)의 산실 松江亭(송강정) (0) | 2016.04.27 |
---|---|
元昊遺墟碑(원호유허비) 및 觀瀾亭(관란정) (0) | 2016.04.22 |
二水三山(이수삼산)의 永川(영천) 朝陽閣(조양각) (0) | 2016.03.21 |
三槐亭(삼괴정) (0) | 2016.03.07 |
慶州(경주) 歸來亭(귀래정) (0) | 2016.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