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99)
-
우연히 만난 제영 鳳棲樓(봉서루)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석고리 254-1 [題詠鳳棲樓(제영 봉서루) 전경] [제영 봉서루 안내판 글 내용] [鳳棲樓(봉서루) 현판] [鳳棲樓(봉서루) 전경] 鳳栖樓(봉서루) 客館(객관) 동쪽에 있으며 縣監(현감) 吳致善(오치선)이 세웠다. 金綽(김작)의 記(기)에, '대개 이 고을이 나는 봉의 형국이므로 이렇게 이름지었다.' 한다. 盧叔仝(노숙동)의 시에, '鳳城山(봉성산) 밑 봉서루에 바람과 날씨 서늘하고 맑아 여름 또한 가을일세.' 했다. [鳳棲樓(봉서루) 현판] 누각안쪽에는 鳳棲樓(봉서루)라 적힌 커다란 현판 하나가 더 걸려 있다. [鳳棲樓(봉서루)] 봉서루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하여 '능주 읍지', '여지도서', '능주군 읍지', '능주 목지', '호남 읍지' 등의 읍지에 모두 '..
2019.08.28 -
靜庵(정암) 趙光祖(조광조) 선생 流配地(유배지)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 174 전라남도기념물 제41호 [정암 조광조 선생 적려유허비 출입구 와 안내판 전경] [정암 조광조 선생 적려유허비 안내판 글 내용] [愛憂堂(애우당) 현판] 愛憂堂(애우당) 현판은 後學(후학) 李炳玹(이병현)의 글씨라 합니다. [입구쪽에서 담은 애우당 옆 전경] 謫廬(적려)란 귀양 또는 유배되어 갔던 곳을 이르며, 유허비는 한 인물의 옛 자취를 밝히어 후세에 알리고자 세워두는 비를 말하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중종 때 이곳에 유배당한 조광조 선생의 옛 자취를 기록해 두고 있다. [우측에서 담은 애우당 전경] 愛憂堂(애우당)은 정암조광조 선생이 사약을 받은 자리라고 전해지며 그 자리에 건물을 세웠다 합니다. 정면 5칸 측면 2칸에 맞배지붕에 가운데 마루를 둔 구..
2019.07.23 -
화순 臨對亭園林(임대정원림)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사평리 601 국가지정 문화재 명승 제89호 전라남도 기념물 제69호 [임대정원림 안내판과 관광화순 QR코드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화순 관광 QR 코드 안내판 전경] 1985년 2월 15일 전라남도기념물 제69호로 지정. 역사.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2년 4월 10일 명승 제89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1985년 전라남도의 기념물로 지정될 당시에는 소유자 및 관리자가 여흥 민씨 문중이었으나 명승지로 지정되면서 화순군청이 보호, 관리하고 있다. 이 곳은 옛부터 풍광이 빼어나 선조때 考槃(고반) 南彦紀(남언기)가 정자를 세우고 垂綸臺(수륜대)라 이름지었다. 그 뒤 버려지다시피 한 정원을 沙崖(사애) 閔胄顯(민주현,1808〜1882..
2019.07.17 -
전남 화순 勿染赤壁(물염적벽)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창랑리 국가지정 문화재 명승 제112호 전라남도 기념물 제60호 [물염적벽 안내판 전경] 화순 적벽은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 보산리, 창랑리 일대 창량천 주위에 약 7㎞에 걸쳐있는 붉은 절벽이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경승지이다. 화순 적벽은 무등산 국립 공원이 품고 있는 제일의 비경으로 예로부터 '호남 제1의 명승지'로 알려져 왔다. 화순적벽에는 노루목적벽, 보산적벽, 창랑적벽, 물염적벽이 있는데 통칭해서 '화순적벽'이라 부른다. [안내판 글 내용] [안내도의 현재 물염정과 물염적벽의 모습] [안내도의 물염정과 물염 적벽의 옛모습(1930년대)] 중국의 후베이(湖北) 지역에는 '赤壁(적벽)’이라 불리는 네 곳이 있다합니다. 하나는 양쯔강 변에 있는데 이곳이 삼국 시대 周兪(..
2019.07.15 -
전남 8대 정자 중 으뜸인 勿染亭(물염정)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창랑리 산 373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3호 [초입에서 담은 전남 화순 물염정 전경] 勿染亭(물염정) 은 물염공 송정순(1521~1584)이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 담양으로 내려가던 중 물염적벽을 지나다 경치에 반해 띳집을 짓고 눌러 앉은 데서 연유하였다 하며, 勿染(물염)이란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다'라는 뜻으로 청렴결백하고 효심이 뛰어난 송정순의 호로 그의 성품을 잘 말해주고 있다 합니다. [기념비와 사적비 전경] [창립제5주년 물염회기념비명 병서] [물염정 삼현선생 사적비] [물염정 시가] [물염정 전승비] [물염정 오르는 돌계단 전경] [물염정 오르는 돌계단 우측 옆 비석군 전경] 물염정의 외손 금성 나씨의 공적비와 물염정 전승비도 세워져 있다. 물염 송정순에게는 ..
2019.07.08 -
화순 능주 팔경 중 하나 映碧亭(영벽정)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산 1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7호 [입구쪽에서 담은 영벽정 전경] 영벽정을 언제 지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양팽손(1488∼1545)과 김종직(1431∼1492)의 詩(시)로 미루어 조선 전기 관청에서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인조 10년(1632) 능주목사 정연이 아전들의 휴식처로 고쳐 지었다고 전하며, 고종 9년(1872)에 불타 버린 것을 고종 10년(1873)에 새로 고쳐 지었다. 이후에도 보수를 거듭해 오다가 1920년에는 주민들이 모은 비용으로 손질하여 고쳐 지었다. [영벽정 우측 노거수(왕버들)와 물에 비친 풍경]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연주산의 경치를 비추는 지석강물을 바라볼 수 있다하여 붙인 이름으로, 지석강 주변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영벽..
2019.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