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3. 3. 06:01ㆍ뿌리를 찾아서/묘역 답사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죽송리 335
[재실]
재실의 문이 닫혀 있어서 안으로 들어가보지 못하였다.
[담너머로 담은 재실]
아쉬워 담 너머로 깨끔발을 하고 담아 보았습니다.
[김방경 영정 웹에서 모셔옴]
그림은 김송배 화백이 그린 영정이라 합니다.
[묘역으로 오르는 돌계단]
[참판공 묘소 표석비]
[묘역으로 오르는 돌계단 2]
[묘역 전경]
金方慶(김방경, 1212-1300) 본관 安東(안동). 자 本然(본연).
신라 敬順王(경순왕)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敏成(민성)
아버지는 兵部尙書(병부상서). 翰林學士(한림학사)를 지낸 孝印(효인)이다.
어려서부터 할아버지 민성이 양육했는데 성품이 강직하고 도량이 넓었다.
[김방경 묘와 묘비]
고려 원종 11년(1270) 三別抄亂(삼별초난)을 토벌하고,
원종 15년(1274년)과 충렬왕 7년(1281)에 麗蒙聯合軍(려몽연합군)의
고려국 총사령관으로 일본정벌에 참가하여 분전하였던
上洛君 開國公(상락군 개국공)이다.
김방경은 역사 이래 처음으로 충렬왕과
함께 君臣間(군신간) 같은 시호인 忠烈(충렬)이다.
[묘비]
올곧은 성품으로 수많은 고초를 겪기도 했다.
여러 차례 무고를 당해 옥에 갇혔다 풀려나기를 반복했다.
제1차 일본정벌 직후에는 매국노 홍다구와
부원배들의 무고로 한겨울에 벌거벗긴 채 고문을 당하기도 했다.
당시 김방경은
"내가 나라를 위해 간과 골이 땅바닥에 굴러다닐지언정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는 데 부족하거늘 어찌 내 한 몸을 아껴서
거짓 자백으로 나라를 저버리겠는가"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참군인의 정신과 기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김방경은 제2차 일본정벌 후 1283년
삼중대광 첨의중찬 판전리사사 세자사로 정계에서 은퇴했다.
그 직후 상락군개국공 식읍 1천호 식실봉 300호에
봉해졌고, 타계 후 충선왕은 왕명으로 신도비를 세우게 했다.
[묘뒤에서 바라본 안산 전경]
장군은 고난의 시대에 살면서 그 주역의
한 사람으로 항쟁과 굴욕을 함께 맛본 역사의 증인이다.
[묘뒤에서 담은 안산 전경 2]
그는 처절한 대몽 항쟁을 겪으면서 우리 겨레가
쓰러지는 참담함을 보았고, 끈질긴 항쟁도 끝내 좌절되자
타협의 길을 걸어야 했다.
시대가 인물을 만들기도 하지만
때로는 시대가 인물을 삼키기도 한다. 그는 어느 쪽일까?
'뿌리를 찾아서 > 묘역 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선 김삿갓 유적지와 묘역 (0) | 2016.03.31 |
---|---|
창녕조씨 시조 태사공 조계룡의 묘소와 種德齋(종덕재) (0) | 2016.03.16 |
退溪(퇴계) 李滉(이황) 선생 묘소 (0) | 2016.02.23 |
안성남사당 바우덕이 묘 (0) | 2016.02.12 |
黃喜先生 墓(황희선생 묘)와 사당 (0) | 2016.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