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합니다(227)
-
舍人岩(사인암) 옆 역동선생 기적비와 시비
소재지 :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사인암리 [안내판과 역동선생 기적비 전경] 우탁 선생은 고려시대 대학자로 금수산 자락 아래 단양군 적성면 현곡리 신원동에서 태어났는데, 인근에서는 새원이라고도 부른다. 금수산의 정기를 받은 적성 땅에는 '새'자가 들어가는 지명이 세 곳 있는데, 새원이. 새터. 새말 등이다. 이른바 큰 인물이 태어난다는 품달촌으로 새원이에서는 우탁 선생이, 새터에서는 조선시대의 명필이며 대학자인 지수제와 유척기 선생이 태어났다. [안내판] [안내판 글 내용] [嘆老歌(탄로가) 詩碑(시비) 전경] [嘆老歌(탄로가)] [嘆老歌(탄로가) 詩碑(시비) 전경] [嘆老歌(탄로가)] [嘆老歌(탄로가) 詩碑(시비) 전경] [嘆老歌(탄로가)] 후세에 전하는 역동 선생의 시조로는 청구영언에 '춘산에 눈 녹..
2015.11.17 -
답사길에 만난 귀한 인연(사우당 종택에서)
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 863 [한옥 체험관 전경] 윤동 마을은 순천 박씨와 의성 김씨가 대를 이어 살아온 이름난 명당으로 전통과 禮(예)가 삶과 함께 살아내려온 양반 마을이다. [체험관 안내글 내용] [한옥 체험관] 마을 한 가운데 자리한 의성 김씨 사우당 종가 앞쪽에는 한옥 체험관과 다도 체험장이 자리하고 있다. [전통문화 체험교육관 현판] [전통문화 체험교육관] 사우당 21대 종손 김기대씨는 詩(시)를 짓고, 가훈을 쓰시며, 종부 류정숙씨는 다도와 예절을, 며느리들은 가야금과 그림을 지도하는 등 선비정신과 전통문화를 배울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며 많은 이들에게 육백년 종가의 문을 활짝 열어놓고 있다. 이곳은 단순한 고택알기가 아닌 전통 의식주와 관혼상제 및 다도 예절 등 살아있는..
2015.11.17 -
옆집 새댁
삐리리리~~삐르르르~~~~~ 현관 벨이 울린다. "누구세요?" "옆집입니다." 문을 열고, 나갔더니.... 옆집 새댁이 무언가 담긴 비닐봉지를 준다. 지난 일요일 팔목을 다쳐, 반깁스하고 올라오다가 현관문 앞에서 옆집 새댁과 마주쳤다. 그다음 월요일 점심때가 못되어 이렇게 여러 종류의 먹을거리를 챙겨준 것이다. 남편과 딸, 아들 4식구이다. 오순도순 살아가는 모습이 보기만 해도 참으로 흐뭇한 가족이다. 손이 불편하다며, 쌈 배추는 깨끗이 씻어 먹기 좋게 손질까지 하고, 쌈장도 작은 찬 통에 넣고, 고들빼기김치랑 신문지에 얌전하게 싼 무 2개, 시골에서 주워왔다며 알밤도 한 묶음 새댁의 마음씀이 너무 따뜻해서 가슴이 뭉클했다. 참 좋은 이웃을 둔 전 비록 손목을 다쳐 깁스를 하였지만, 행복합니다.
2015.11.16 -
1억원고료 당선작 라이스워(Rice War)
생각지도 못했는데... 책이 배달되어왔습니다. 무슨 책일까? 궁금해서 뜯어보았습니다. 이완주선생님께서 보내주신 책 '1억원 고료 2008년 조선일보 논픽션 대상 수상작' 라이스워(Rice War) 첫장을 펼치니 저자 약력 소개. 읽어보시라고 좀 크게해서 올려보았습니다. 둘째 장에는 이렇게 친필싸인까지... 얼마나 행복했는지...^^ 상황문학 동인임이 자랑스러웠습니다. [15쪽] 15쪽글을 크게 해서 올렸습니다. [책 뒷면] 또다시 보릿고개가 찾아오는 미래를 상상해본 적이 있는가 우리 농업 현실과 식량 위기에 관한 보고서..... 모두들 식량이 무기가 될 날이 머지 않았다고 떠들어댄다. 그리고 곡물의 4분의 3을 수입해서 먹는 나라가 바로 우리나라이다. 이런 현실에서 과연 우리는 식량전쟁이 현실화됐을 때 ..
2015.11.14 -
단양팔경 上仙岩(상선암)
소재지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상선남길 36-5 [주차장 안쪽 쉼터] 선암계곡의 삼선암중 마지막으로 들린 상선암. 상선암을 잘못 찾아왔나?? 의심이 들만큼 입구쪽에 주차비를 내는 건물이 있다. 아닌가? 하고 돌아가려다 혹시나 하고 잠시 차를 세우고 여쭈었더니... 에궁 이곳이 맞다 하네요. 유일하게 큰 주차장이 있어 좋긴하였지만, 주차비가 있네요. [상선암 안내 팻말] 쉼터 옆으로 난 아랫쪽 길로 접어드니, 좌측으로 상선암 안내 팻말이 길을 잘못 접어들지 않았다 확인시켜주었다.^^ [쉼터 쪽에서 담은 상선암 전경] 上仙岩(상선암)은 중선암에서 약 2km 올라가면 수만 장의 靑丹大石(청단대석)으로 된 벽과 반석 사이로 흐르는 溪水(계수)가 폭포를 이루고 있어 절경이며, 선조 때 遂庵(수암) 權尙夏(권상..
2015.11.13 -
봉쥬르, 나폴레옹
우리말 공부를 깊이 있게 도와주는 봉쥬르, 나폴레옹 / 김재황 지음 도서출판 / 컴픽스 김재황시인은 고려대학교 농학과를 졸업하셨으며, 졸업 후 농촌지도사로 근무하시다가 중앙일보사 농림직 간부사원으로 전직하여 용인자연농원(현 에버랜드)개발에 참여하셨다. 언양농장장 및 대구제일농장자의 직책을 수행하셨으나, 시를 쓰기위해 사직하시고 서귀포에서 귤밭 농장을 10여년 동안 자영하셨다. 1987년[월간문학]에 시조 '서울의 밤'이 당선됨으로써 등단하셨다. 첫 시집 '거울 속의 천사'이래 '바보여뀌', '민통선이여 그 살아 있는 자연이여','못생긴 모과', '치자꽃', '너를 만나려간다', '바람을 지휘한다','잡으면 못 놓는다.' 그리고 시선집 '너는 어찌 나에게로 와서'등을 묶었으며, 시조집 '내 숨결 네 가슴 ..
2015.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