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38)
-
포항 迎日臺(영일대) 해수욕장
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두호동 685-1 [바다속 누각 迎日臺(영일대) 전경] 제가 다니는 교회 에스더 전도회 주체로 70세가 넘은 남녀성도들에게 경노잔치를 베풀어 준다며 꼭 참석하라는 권유를 받고, 요상한 내 생일 때문에 띠는 개띠지만, 음력 47년 1월1일생이기에 때론 개와 돼지를 오락가락하는 띠 때문에... 갈까 말까? 망서리다가 조심스레 남편에게 말했더니, 오잉 어쩐일로 쉽게 "다녀와" 하네요. 떠나는 날 아침 금일봉도 받고 발걸음도 가볍게 교회로 향했다. [迎日橋(영일교)와 迎日臺(영일대) 전경] 교회에서 10시 출발 포항으로~ 점심을 먹기엔 좀 이른시간이라 주체측에서 정한대로 영일대 해수욕장 영일대로 갔다. 처음 보는 전경에 놀랐지요. 바다속에 세워진 누각 영일대 이곳이 어떤 곳인지 ..
2015.10.19 -
順天鄕校(순천향교)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금곡동 182 전남유형문화재 제127호 [주차장에서 담은 순천향교 외삼문 전경] 태종 7년(1407)에 순천성 동쪽 2.8㎞ 지점에 창건하였다가, 순천이 도호부로 승격됨에 따라 명종 5년(1550) 다시 옮겨 세웠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졌다가 광해군 2년(1610) 순천성 서쪽 舊址(구지) 북편으로, 정조 4년(1780)에 홍내동으로 이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순조 1년(1801)에 현재의 자리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순천향교 외삼문] [안내석 글 내용] [명륜당] 외삼문에서 이어지는 돌계단 위에는 명륜당이 자리하고 있다. [명륜당 앞쪽 담곁 비석군 전경] 비석군에 대해 좀더 자세히 보시려면 요기 클릭 하셔요. [서재옆 전경] [향교연혁과 오성. 송조사현] ..
2015.10.15 -
順天鄕校(순천향교) 碑石群(비석군)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금곡동 182 [순천향교 내 碑石群(비석군) 전경] 善政碑(선정비), 功績碑(공적비), 不忘碑(불망비), 興學碑(흥학비), 重修碑(중수비) 永世不忘碑(영세불망비), 頌德碑(송덕비),淸德碑(청덕비),功德碑(공덕비),愛民碑(애민비), 去思碑(거사비),永思碑(영사비)등등 여러곳에 흩어져 있던 비석들을 한 곳에 모아 놓은듯... 안쪽 은행나무 아래 있는 碑(비) 부터 자례로 담아 소개합니다. 하나 하나의 비는 소개하지 않겠습니다. 비문을 읽으시며, 천천히 살펴보셔요. 碑(비)들의 종류를 살펴보면, 善政碑(선정비) : 선정을 베푼 지방 수령이나 관리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興學碑(흥학비) : 교육에 대한 공로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不忘碑(불망비) : 어떠한 사실을 후세 사람들이 잊..
2015.10.14 -
황금꽃이 피는 나무
얼마전 이웃님의 포스팅에서 만난 꽃. 멀리서 보고도 금방 알아챘지요. 드디어 저도 金木犀(금목서)를 만났습니다. 물푸레나무과의 늘푸른 넓은잎 떨기나무로 목서의 변종으로, 원산지는 중국이라 합니다. 개화기는 9월 하순에서 10월 초순경이라 하구요. 꽃말은 참 많네요.^^ 겸손, 진실, 첫사랑, 도취, 당신의 마음을 끌다, 한가지일에 몰두하다. 木犀(목서)는 물푸레나무의 한자어이며, 이는 가지를 꺾어 물에 담그면 물이 푸르게 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가을 꽃 중에서 가장 향기가 진한 金木犀(금목서) 잎이나, 꽃을 따서 차로도 만들지만, 향이 너무 진해 녹차를 섞어 쓰기도 하며, 또는 술을 담그어 먹기도 한다. 기침 가래를 삭이고 중풍이나 버짐 치통을 다스리는데 효능이 있다 하며, 샤넬 No5 향수..
2015.10.12 -
廣原君(광원군) 李克墩(이극돈) 墓(묘)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3-1 성남시향토문화유적 제7호 [도로변 광주이씨 묘역 안내팻말 전경] [李克墩(이극돈) 神道碑(신도비)] [神道碑(신도비) 정면 사진] [광원군 이극돈 행적비와 묘로 오르는 계단 전경] 긴 계단을 오르면 곧장 광원군 이극돈의 묘가 보인다. [광원군 이극돈 행적비] 廣原君(광원군) 諱(휘) 克墩(극돈) 行蹟碑(행적비) 성남시향토문화유적 제7호 라 새겨져 있다. [광원군 이극돈 묘 전경] 조선 전기의 문신 李克墩(이극돈, 1435년 ~ 1503) 본관 廣州(광주), 자 士高(사고), 호 四峯(사봉)이다. 우의정 李仁孫(이인손)의 넷째 아들로 세조 3년(1457) 署令(서령)으로서 親試文科(친시문과)에 丁科(정과) 급제하였다. [좌측에서 담은 李克墩(이극돈) 묘] ..
2015.10.10 -
한택식물원내 木長丞(목장승)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한택로 15 한국의 마을 또는 절 입구, 길가에 세운 사람 머리 모양의 기둥. 장승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대의 性器(성기) 숭배에서 나온 것이라하며, 돌로 만든 석장승과 나무로 만든 목장승이 있으며, 전국에 분포해 있다. 목장승은 솟대에서, 석장승은 선돌에서 유래한 것이라는 등의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확실한 기원은 알 수 없다 합니다. 바라만 보아도, 諧謔的(해학적)인 그 모습이 웃음을 머금게 한다. 장승은 지역간의 경계나 이정표 구실은 물론이고 마을의 수호신 역할도 담당하였다. 길가나 마을 경계에 있는 장승에는 그것을 기점으로 한 사방의 주요 고을 및 거리를 표시하였다. 그러나 수호신으로 세운 장승에는 이정표시도 없고 천하대장군류의 표시도 없었다. 마을의 신앙 대..
2015.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