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38)
-
남지장사 靑蓮庵(청련암)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남지장사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4호 [靑蓮庵(청련암) 가는 길] 청련암은 남지장사의 부속암자로 신라 신문왕 4년(684) 良介祖師(양개조사)가 왕명으로 남지장사를 창건하면서 함께 창건 임진왜란 때 惟政(유정) 휘하의 승병들이 훈련장으로 사용하였으나 병화로 소실되었다. [극락] 남지장사와 청령암을 이어주는 사진으로 보면 다리같지도 않은 작은 다리 옆 팻말이 붙어 있기에 보았더니, 극락이라 새겨져 있다. 極樂(극락)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 괴로움과 걱정이 없는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청련암 가는 길 2] 그 뒤 효종 4년(1653)부터 숙종 40(1714)까지 印惠(인혜). 勝敏(승민). 池月(지월) 등이 중건. 중창하였으며, 순조 6년(18..
2015.09.14 -
許蘭雪軒(허난설헌) 墓域(묘역)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산 29-5 경기도 기념물 제 90호 [허난설헌 안내표석] 이곳도 찾기가 힘이 들었다. 네비양이 가르켜 주는 주소의 목적지는 고속도로위 역시 말 물음으로 물어 물어 이곳까지 오게 되었다. 허난설헌 지묘라 새겨진 안내석이 반갑다. [안내석 글 내용] [재실과 안내판과 허난설헌 묘 전경] 안내석이 인도해 주는 대로 아늑한 길을 따라 오르니, 우측으로 주차장이 보여 우선 주차를 하고 돌아보니, 허난설헌의 묘가 재실과 함께 높다른 둔덕위에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안내판 글 내용] [묘역 옆 재실 전경] [정면에서 담은 묘역 전경] 난설헌 무덤은 안동 김씨 묘역에 있다. 3단으로 되어 있는데 남편과는 죽어서도 따로 떨어져 있다. 김성립은 후처로 들어온 남양 홍씨와 합장되어 ..
2015.09.11 -
海公(해공) 申翼熙(신익희)선생 生家(생가)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초월면 서하리 160-1 경기도 기념물 제 134호 [생가 입구쪽 담벽] 답사길에 길을 묻기위해 들린 곳에서 우연히 마주친 앞쪽 담벼락의 글을 읽고 이곳이 바로 해공 신익희선생의 생가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어 우선 이곳부터 들리기로 하였다. [조금 더 가까이]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한낮 생가 골목 입구에서 해공선생을 만났습니다. 선생의 생가가 있는 골목입구에는 '사마루, 지는 노을에 해공 선생을 만나다.'라는 글이 제일 먼저 반겨주었습니다. 사마루는 말을 타고 마을을 지나던 네명의 고려충신이 마을의 모습이 누각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신익희 선생의 주요 업적과 발자취를 소개하고 있었다. [해공선생 어록 담장] 골목안으로 들어가보았지요. 생가로 꺾어드는 담벽에도 ..
2015.09.10 -
申砬(신립)장군 묘역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대리 산1-1번지 경기도 기념물 제95호 [안내판과 묘소 오르는 길 전경] [묘역으로 가는 길] 주소가 있기에 쉽게 찾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 못하였다. 네비에 찍어놓은 주소로 가자는대로 움직였지만, 엉뚱한 곳에 대려다 놓고는 안내를 종료한다나 뭐라나...ㅠ.ㅠ [묘역 오르는 계단] 이럴땐 역시 그곳에 거주하고 계시는 분께 여쭈어보는게 상책이다. 물어 물어 어찌어찌 도착하였다. 안내팻말을 갈림길쪽에라도 세워두었드라면 참 좋았을텐데... 묘가 있는 둔덕에 오르니, 나란히 3기의 묘가 자리하고 있었다. 차례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申昉(신방)의 묘 전경] 申昉(신방, 1686-1736)은 신립의 6대손으로, 조선 후기의 문신. 자 明遠(명원) 호 鈍庵(둔암) 相臣(..
2015.09.08 -
靜一堂(정일당) 姜氏(강씨) 祠堂(사당)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정일당 강씨 사당과 묘소 가는 길] 이렇게 넓게 잘 닦아 놓은 길이지만, 아래쪽에서부터 더 이상 차량으로 이동할 수 없게 쇠줄로 막아 놓았다. 적당한 곳에 주차를 해 놓고 약 800m만 가면 있다는 사당과 묘소로 향했다. [사당입구 전경] 차량으로 이동하면, 금방일 거리를 한참을 걸어서 올라야 했지만, 정일당 강씨의 사당과 묘소를 답사하고 가겠다는 마음이 발걸음을 가볍게 했지요. 여긴가 저긴가 기웃기웃되며, 오르는 길도 흐뭇하였다. 드디어 사당이 보이기 시작... [추모비와 안내판 사당 전경] 靜一堂(정일당) 姜氏(강씨, 177~1832) 조선 후기의 여류문인. 본관 晉州(진주). 호 靜一堂(정일당). 충청북도 제천 출신 아버지는 在洙(재수)이며, 어머니는 安東權..
2015.09.07 -
南地藏寺(남지장사)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 865 시도유형문화재 34호 [南地藏寺(남지장사 전경] [음수대] [안내판과 안내도 전경] [남지장사 안내판 글 내용] [남지장사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우록마을 등산로 종합 안내도] [남지장사로 오르는 돌계단] 오래전 들렸을 때는 없었던 옹벽을 성처럼 쌓아 남지정사로 오르는 높다랗게 돌계단을 만들어 놓았네요. 07년도에 다녀온 남지장사와 비교해 보시려면 요기 클릭 하시면 됩니다. [光明樓(광명루)] [光明樓(광명루) 옆 범종] [光明樓(광명루) 현판] [光明樓(광명루) 전경] [光明樓(광명루)에서 담은 대웅전 전경]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로 가창면 最頂山(최정산)에 있는 사찰. 팔공산내의 北地藏寺(북지장사)와 서로 대칭되는 곳에 위치한 ..
2015.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