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러보기(204)
-
趙芝薰(조지훈) 趙東振(조동진) 형제 詩碑(시비)
소재지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조지훈 시비 안내 글] [입구쪽에서 담은 趙芝薰(조지훈) 詩碑 (시비) 시인의 숲 전경] 느티나무, 팽나무 등, 노거수의 온갖 잡목이 어우러진 수풀은 녹음이 짙어지는 오월을 맞아 푸름을 더해가고, 지훈의 시비는 그 속에서 짙은 초록의 물결로 나그네를 맞이해 주었다. 시비는 1982년 8월 15일 광복 37년을 기념하여 문하생 500여 명이 뜻을 모아 세웠다. [芝薰詩碑(지훈시비)] 16세가 되면서 서울로 올라가 향리의 선배 시인인 吳一島(오일도) 밑에서 출판일을 도우며, 보들레르, 와일드, 플로베르 등의 다양한 작품들을 섭렵하면서 문학적 수업을 닦아 나갔다. 지훈은 암흑의 식민지 시대에 민족의 영혼을 되찾으려 철두철미 전통으로 회귀한 선비시인이요, 지사志士시인이..
2016.08.08 -
具常(구상) 文學館(문학관)
소재지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785-84 [具常(구상) 文學館(문학관)] 시인은 유달리 물과 강을 사랑했다. 어린시절 자랐던 원산 덕원마을 앞 들판을 유유히 흘러 가는 적전강을 바라보면서 알 수 없은 해방감을 맛보기도 했었다는 시인은 강에 대한 상념을 종종 詩의주요한 소재로 삼곤 했다. 6.25전쟁의 와중에서 왜관으로 흘러온 시인은 아예 낙동강변에 사랑채를 짓고 '觀水齋(관수재)'라 했다. [觀水齋(관수재) 입구] '물을 바라보며 마음을 닦는다' 는 '觀水洗心'(관수세심)'은 시인의 시세계를 관통하는 정신이기도 했다. 서울로 올라온 후에도 기꺼이 한강이 바라보이는 여의도의 한 아파트에 기거했고, 그 집의 문패 역시 '觀水齋(관수재)' 였다. 시인 구상선생이 거주할 당시 관수재의 모습을 복원하..
2016.08.06 -
忠貞公(충정공) 籠巖(농암) 김선생 사적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궁기리 52 [사적지 입구쪽 신도비 전경] 좌측 대사헌 경질공 金之慶(김지경) 神道碑(신도비) 우측 그의 아들 좌의정 문대공 金應箕(김응기) 父子(부자)의 신도비가 나란히 세워져 있었다. [일각문과 충렬당 전경]] 충렬당으로 들어갈 수 있는 일각문이 닫혀 있어서 어디로 들어가야하나 살펴보니, 지나쳐온 훤히 열린 대문을 통해 들어갈 수 있었다. [충렬당 일각문 앞쪽 내판 글 내용] [입구쪽에서 담은 농암 김선생 사적지] 충정공 농암 金澍(김주) 생몰년 미상. 본관 善山(선산) 자 澤夫(택부), 호 籠巖(농암). 金濟(김제)의 아우로 高麗(고려) 忠臣(충신) 禮儀判書(예의판서)에 이르렀다. 1798년 정조는 忠貞(충정)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선생의 증손과 현손들은 높은 벼슬..
2016.08.02 -
영천 정재영씨 고택과 산수정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鄭在永(정재영)씨 가옥] 매곡마을은 임고면사무소에서 북으로 7km 떨어진 골짜기에 있다. 매곡 주위의 산들은 낮은 산이지만 마치 꽃술을 감춘 꽃잎처럼 겹겹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뒷산 작은 봉우리들이 매화꽃잎처럼 감싸고 있어 앞산은 이 매화를 찾아드는 나비의 모습이며 집터는 꽂술에 해당한다고 한다. [안채전경] 이 집의 특색이라면 우선 높은 축대에서 찾을 수 있다. 평지에 세워졌으면서도 사랑채의 축대가 행랑채보다 1.4m높게, 안채마루와 행랑채의 지붕이 거의 같은 높이라고 한다. 본채가 행랑채보다 높게 설계되는 것은 주인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아랫사람은 주인을 대할 때 늘 올려다보게 되어있다. 그래서 간혹 높은 축대의 대청마루에서 주인이 호령을 할 때면..
2016.07.30 -
강원 三陟浦鎭城址(삼척포진성지)와 六香亭(육향정)
소재지 : 강원도 삼척시 정상동 [육향산 오르는 돌 계단] 삼척시 육향산 일대는 조선시대 동해안의 9개군(흡곡~평해)과 율령도(독도)까지 해상방위를 총괄했던 三陟浦鎭城(삼척포진성)로 조선시대의 대학자요. 정치가였던 미수 許穆(허목)선생이 삼척부사로 재임할 당시 동해안의 조수와 홍수를 물리치기 위해 만든 '陟州東海碑(척주동해비)' 전서체의 백미, '大韓平水土讚碑(대한평수토찬비)'가 자리하고 있는 삼척을 대표하는 문화유적지 가운데 하나이다. [육향산 오르는 돌 계단 2] 동해안 방위의 보루였던 三陟浦鎭城(삼척포진성)이 1916년 삼척항 축조공사로 헐어 없어지고 현재 육향산정에는 三陟浦鎭城址(삼척포진성지) 표석만 그 흔적을 알려주고 있으며, 윗쪽으로는 六香亭(육향정)이 있다. [三陟浦鎭城址(삼척포진성지) 표석..
2016.07.26 -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생가
소재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충청대로841번길 17 [생가 안내팻말] 주차장에 차를 주차해 놓고 골목길로 들어섰습니다. 골목길이 끝나는 곳에 반기문 평화랜드가 보였으며, 만국기가 바람에 펄럭이고 있었다. 평화랜드 앞쪽에 세워져 있는 생가 안내팻말을 보고 생가부터 들려보기로 하였다. [생가 앞쪽에 있는 광주반씨 장절공파 행치종중 사당] 이 곳은 선조영정 다섯분과 위패 삼십분을 모시고 있는 곳으로 광주반씨 장절공파 행치종중 사당으로 2000년도에 건립되었으며, 매년 음력 10월 3일 제사를 지낸다고 한다. [생가 전경]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생가마을인 행치마을은 보덕산이 좌우에서 감싸안고 있으며, 온화하고 정겨운 느낌을 주는 마을로 생가, 기념관, 평화랜드 및 선영과, 사당, 돌로 만든 세계도(족보), ..
2016.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