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러보기(204)
-
경상감영공원내(경상도 관찰사 및 대구 판관 선정비)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21번지 [안내판과 선정비 전경] 현재 경상감영공원에는 경상도 관찰사, 대구도호부사, 대구판관 등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 29기의 선정비가 있다. 선정비는 백성을 위해 선정을 베푼 관원의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선정비 설명 글] 우측 부터 차례로 소개합니다. 관찰사 이경여(1585~1657) 거사비 관찰사 구봉서(1596~1644) 청덕선정비 관찰사 민시중(1625~1677) 영세불망비 관찰사 이언기 청덕선정비 관찰사 홍우녕(1660~1717) 영세불망비 관찰사 김시경(1659~1735) 영세불망비 관찰사 민응수(1684~1750) 영세불망비 관찰사 민응수(1684~1750) 무휼승도비 관찰사 이기진(1687~1755) 영세불망비 관찰사 윤광안(1757~..
2016.12.29 -
대구 북성로 공구박물관
소재지 : 대구 광역시 중구 태평로2가 19 [공구박물관 안내팻말] 대구 북성로에는 특별한 박물관이 있다. 300여 개의 공구가게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그곳에 자리하고 있는 공구박물관이다. [공구 박물관 전경] 이 작고 앙징스러운 건물이 공구박물관? 아마도 제일 작은 박물관이 아닐까 북성로 공구박물관은 일제 강점기의 敵産家屋(적산가옥)을 이용해 만들어진 工具(공구) 博物館(박물관)이라 한다. 敵産家屋(적산가옥) : 자기 나라나 점령지 안에 있는 敵國(적국) 소유의 집. [공구박물관 정면 전경] 북성로 공구 거리는 ‘도면만 있으면 탱크도 만들 수 있다.’ 는 곳으로 이곳 북성로 공구 거리는 한때 못구할것도 없고 못만들것도 없는 곳이라 한다. 2군데의 출입문이 닫혀 있어서 안으로 들어가진 못하였다. [다시 ..
2016.12.21 -
향촌문화관. 대구문학관 둘러보기 종합편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향촌문화관. 대구문학관 전경] [대구 향촌문화관 1층 전시관 입구] 대구 향촌문화관 1층 전시관 둘러보기 [향촌동 사람이 모이는 동네] 대구 향촌문화관 2층 전시실 둘러보기 [3.4층 대구 문학관오르는 계단] 3층 대구문학관 둘러보기 대구문학관 작가와의 만남(그들이 남긴 어록) 다시보기 대구문학관(마음치유 살롱) 요기 클릭 [4층 행복한 문학 서재, 기획전시관] 대구문학관 4층(행복한 문학 서재) 둘러보기 [기획전시관 입구] 구상 展(전)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 요기 클릭 [2층 계단에서 담은 1층 향촌문화관 계단] 취조실 같기도 하고 감옥 같기도 한 이곳은 무엇? [1층 기념품 판매점] [기억의 탑 ] 자세히 살펴보니, 붉은 벽돌에 이름이 새겨져 있..
2016.12.20 -
대구문학관 작가와의 만남(그들이 남긴 어록)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작가와의 동행 골목길] 문인들이 찾던 술집과 다방, 그들이 표류하던 좁은 골목길을 대구 문학이 걸어간 골목길이기도하고, 오늘 그 골목길을 걸으며 우리는 그들의 상징적 이미지와 그들의 어록들을 길 위에서 만날 수 있도록 만들어 둔 곳 [김동리 어록] 순수문학의 본질 언제나 휴머니즘이 기초가 되는 것이다. 순수문학의 진화 (서울신문 1946.9.15)에서 [감나무 집] 감나무 집에서 만나는 박목월, 조지훈 시인의 어록 [박목월(시인) 어록] [조지훈(시인) 어록] [이영도(시조시인) 어록] 이곳은 어느분의 어록인지 담아왔다고 생각했는데... 실패하였네요..ㅠ.ㅠ [이호우(시조시인) 어록] [작가들이 즐겨 찾던 아루스 다방] [이응창(아동문학가) 어록] [..
2016.12.15 -
대구문학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3.4층 대구문학관 오르는 계단] [대구, 명작의 본향(조형물) 죽순] 3층 대구문학관 입구에서 담은 전경 '죽순'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4층까지 이어져 있다. [작품 죽순과 대구 명작의 본향 설명 글] [작가와의 동행 설명 글] 문인들이 찾던 다방, 술집 등 골목길에는 그들의 어록들을 만날 수 있다. [김동리(소설가) 어록] 이곳은 문인들이 남긴 어록들을 다시 새겨 볼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두었다. [씨뿌린 사람들] 대구는 민족시인 이상화와 소설가 빙허 현진건, 고월 이장희 등 우리 문학사에 새겨진 별들을 배출한 도시이다. 한국전쟁 때는 오상순, 조지훈, 박두진, 구상, 최정희 등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대구에 모여들어 전쟁기 문화수도의 역할을 ..
2016.12.14 -
대구 향촌문화관 2층(전시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49(향촌동) [1층 향촌문화관] [1층과 2층 계단 중간 그때 그 시절 사진] [향촌동] 향촌동은 6.25전쟁 당시 전국에서 모여든 문화 예술인들로 인해 당대를 대표하던 시인, 소설가, 화가, 작곡가, 연극영화인, 가수 등이 넘쳐났다. [나의 인생, 우리의 역사] 대구 중구 도심재생문화재단에서는 '생애사열전 100선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으며, 2012년 부터 발간된 생애사 45권과 기증유물, 사진 자료를 통해 격동의 역사 속에 묻혀 있던 이웃 어르신들의 삶과 지난 역사를 되짚어 볼 수 있다. [문화예술인들의 아지트] 특히 구상, 조지훈, 이중섭, 이상범, 김동진, 박사춘 등 이들이 대구로 내려오면서 명실상부한 한국문화예술의 중심이 되었다. 1950년대 다방은 한국..
2016.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