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러보기(204)
-
대구시민 안전테마파크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1155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현판]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전경]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는 실질적인 안전체험을 위하여 특화된 지하철안전전시관을 비롯하여 산악안전전시관, 지진안전전시관, 미래안전영상관 등을 운영하고 있다. 안전의식 고취와 함께 우리가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재난 상황을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다. [안내팻말 과 자라 바위(돌거북) 전경] [자라 바위(돌거북) 안내판 글 내용] [대구시민안전파크] 상인동 가스폭발 사고, 2.18 지하철참사 등 각종 재난과 안전사고 유발요인을 분석하고이에 대한 실질적인 체험교육을 통해 시민의 안전의식과 재난대응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한다. [대구시민안전파크 2] 1코스(본관) 지하철안전체험 생활안..
2016.06.23 -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580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전경] 퇴계 이황선생의 형님이신 온계 이해선생께서 살림을 나신 집으로 삼백당 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溫溪先生舊宅(온계선생구택) 현판] [종택 삼문]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이인화의병장생가(온계종택) 솟을삼문 전경] [협분] 정문인 솟을 삼문은 닫혀 있고, 다행이 협문은 열려있었다. 온계종택 주인이신듯 하신 분이 주변 정리를 하시고 계시기에 양해를 구하고 집안으로 들어갔다. [협문쪽에서 담은 전경] [안채 대문] 대문도 닫혀있었지만, 허락을 얻을때 안채에는 들리지 않기로 하였기에 그냥 통과~ [三柏堂(삼백당) 현판] [三柏堂(삼백당) 전경] 1520년경에 지어진 집으로 溫溪(온계) 李瀣(이해, 1496~..
2016.06.20 -
안동 南興齋舍(남흥재사)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중가구리 535 경상북도 민속자료 28호 [입구쪽에서 담은 南興齋舍(남흥재사) 전경] 고려말의 문신 南輝珠(남휘주,1326∼1372) 南敏生(남민생, 1348∼1407) 부자의 묘를 보호하고 제사를 준비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南興齋舍(남흥재사)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안내판 중국어 글 내용] [안내판 일본어 글 내용] [南興齋舍(남흥재사) 현판] [南興齋舍(남흥재사)] 1500년대 창건한 것으로 추정하며, 南興寺(남흥사)의 법당을 개조한 것으로 이곳 지명을 따라 南興齋舍(남흥재사)라 하였다. 남흥재사의 또 하나 볼거리는 2층으로 된 건물이라합니다. 1층은 뒤주와 광으로, 요즘으로 말하면 냉장고의 역할을 했기 때문에 여름에 음식이나 식량..
2016.06.18 -
안동 천전리 霽山宗宅(제산종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29호 [霽山宗宅(제산종택) 표지석과 안내판] [안내판 글 내용] [닫힌 제산종택 현대식대문] 안동 천전마을 동쪽 끝편에 있는 齊山宗宅(제산종택)이다. 이 집은 조선후기 영조대 학자이자 관리였던 김성탁이 살았던 집이다. 이 집은 살림집와 김성탁이 후학을 양성하던 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霽山宗宅(제산종택) 전경] 霽山(제산) 金聖鐸(김성탁, 1684~1747) 자 振伯(진백), 호 霽山(제산), 본관 義城(의성) 남인의 명문인 천전김씨(김진의 후손)의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부터 촉망받는 학자였으나, 또한 그로 인해 노론의 집중적인 攻斥(공척)을 받아 유배지에서 생을 마쳤다. 저서로는 '제산문집' 16권이 있다. [霽山宗宅(제산종택)] 종택은 ..
2016.06.17 -
안동 천전리 恥軒(치헌)고택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225-1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3호 [입구쪽에서 담은 恥軒(치헌)고택 전경] [안내판 글 내용] [恥軒(치헌)고택] 菊灘(국탄) 金始精(김시정)의 셋째아들 金永運(김영운)이 1785년 分家(분가)할 때 건립한 집이다. 집을 짓는 데 쓴 재목은 인근의 맏집인 菊灘宅(국탄댁)을 짓고 남은 것으로 충당하였다 한다. [대문에서 담은 우측 전경] 堂號(당호)는 金永運(김영운)공의 號(호)를 따라 恥軒(치헌)이라 불렀다. [대문 좌측 고택 전경] 원래는 臨東面(임동면) 知禮里(지례리) 897번지에 위치하였으나 임하댐 건설로 1988년 현 위치로 이건했다. [恥軒(치헌)고택 2]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편에 안채 부속 건물이 있다. 'ㅁ..
2016.06.16 -
봉화 陶巖亭(도암정)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거촌2리 502 시도민속자료 제54호 [陶巖亭(도암정) 전경] 봉화읍 들어서기 직전의 한적한 거촌 황전마을에는 1650년 조선 효종 때 문신이였던 黃坡(황파) 金宗傑(김종걸, 1628~1708)이 세운 陶巖亭(도암정)이 있다. 당대의 유림들이 모여 時流(시류)를 논하고 풍류를 즐기며 交遊(교유)를 다진 곳이다. 김종걸 선생은 학식이 높았을 뿐 아니라 효성이 지극하기로도 팔도에 유명했다. 死後(사후)에 儒林(유림)의 추천으로 이조참판으로 추증된 인물이기도다. [陶巖亭(도암정) 현판] [陶巖亭(도암정)] 유림들이 세상사와 시를 읊던 곳으로 남향 건물이며 앞에는 인공섬을 갖춘 연못이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락식 건물로,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홑처마이다. [도암정..
2016.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