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러보기(204)
-
泗濱書院(사빈서원)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637 [입구쪽에서 담은 사빈서원]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서원의 삼문 경원루 전경] [景遠樓(경원루) 현판] [景遠樓(경원루)] 泗濱書院(사빈서원)은 조선 후기의 서원으로 靑溪(청계) 金璡(김진, 1500~1580)과 그의 아들 5형제의 유덕을 추모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하여 숙종 11년(1685) 사림과 후손들의 공의로 건립되었다. [博學篤行(박학독행)] 博學篤行(박학독행) : 널리 배우고 독실하게 실천하라는 뜻. 서원 삼문 앞쪽 경원루 좌측에 자리하고 있다. [主祀(주사, 관리사) 전경] 삼문은 닫혀 있고, 사람의 인기척도 없다. 주사와 서원사이로 들어가는 작은 협문이 열려 있기에 그곳을 통해 들어갔다. 주사는 정면 5칸, 측면 5칸의..
2016.06.11 -
野翁亭(야옹정)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구천리 348 경북문화재자료 제153호 [마을 입구에서 담은 野翁亭(야옹정) 전경] 野翁(야옹) 全應房(전응방)이 선조 때 건립한 정자이며, 도덕과 학문을 강의하고 토론하던 곳이다. 野翁(야옹) 全應房(전응방)의 할아버지 전희철은 임진왜란시 의병장 趙憲(조헌)의 裨將(비장)으로 큰 공를 세웠으며 금산싸움에서 金節(김절), 邊繼溫(변계온) 등 16인의 비장과 함께 전사한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野翁亭(야옹정) 현판] 현판은 退溪(퇴계) 李滉(이황)의 親筆(친필)이며, 전응방의 호 野翁(야옹)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野翁亭(야옹정)]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팔)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야옹정 안내판과 옆 건물] [안내판 글..
2016.06.06 -
나무 다시 생명을 얻다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3 [2층 벽면의 그림] [2층 벽면의 그림 2] 안동 민속박물관 1층과 2층 전시실을 둘러 본 후 내려오려다 앞쪽을 보니, 또 다른 전시실이 있었다. [나무 다시 생명을 얻다] 안동 민속박물관 2016년도 상반기 기획전시 나무 다시 생명을 얻다. 라는 제목의 전시관도 함께 둘러보겠습니다. [전시실 입구에서 담은 전경] 木家具(목가구) : 나무로 만든 가구 [전시실 내부] 이번 전시는 2014년부터 안동민속박물관의 소장품 가운데 일부를 기획전시실을 통해 공개하는 전시사업의 일환으로 대표적인 목가구와 생활 소품들을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변경하지 않고 공개하는 부정기적 전시이다. 우리 생활공간 곳곳에서 사용하던 필수 가재도구 대다수는 나무로 만들어졌다. [여러 종류의 장..
2016.06.03 -
안동 민속박물관(2층 전시관)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3 [안동 민속박물관 입구 표석비 [입구쪽에서 담은 민속박물관 전경] 안동댐 건설에 따른 수몰지역 문화재를 이건하여 5만여평의 민속경관지를 조성하였다. 1992년 6월 26일 개관한 박물관으로서 안동의 민속문화를 전시하는 전문박물관입니다. [출입구에서 담은 정면 2층 오르는 계단] 1층 전시관 소개를 마쳤으니, 2층 전시관으로.... 혹시 1층 전시관을 둘러보시지 못하셨다면 요기 클릭 하시면 됩니다. 2층 계단을 오르면, 마주 보이는 벽면의 그림 [ㅁ자 와가] [안내도와 안내글 내용] ㅁ자와가란 건물평면구조가 ㅁ자형으로 된 것으로 안마당을 중심으로 안방, 사랑방, 부엌 등이 ㅁ자로 배열되어 있고 지붕이 모두 기와로 연결된 집을 말한다. ㅁ자집의 종류로는 뜰집형과 튼ㅁ..
2016.06.02 -
안동 민속박물관(1층 전시관)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3 [안동 민속 박물관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도] [영어, 일어, 중국어, 안내 글 내용] [안동 민속박물관 입구 표석비 [입구쪽에서 담은 민속박물관 전경] 안동댐 건설에 따른 수몰지역 문화재를 이건하여 5만여평의 민속경관지를 조성하였다. [박물관 출입구] 1992년 6월 26일 개관한 박물관으로서 안동의 민속문화를 전시하는 전문박물관입니다. [출입구에서 담은 정면 2층 오르는 계단] [출입구 좌측 전경] [안동 차전놀이] [1전시관 하회마을] [古墳(고분)] 선사유적의 유물로 고인돌, 선돌, 고분, 무문토기, 돌화살촉, 그물추, 숫돌자귀 등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 [고려 공민왕 친필 안동웅부 현판] 그리고, 영호루, 진여문 그리고 영주 부석사의 무..
2016.06.01 -
경상북도 신도청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 [경상북도의회] 주차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동문으로 들어오면, 곧장 보이는 건물이 바로 경북도의회이다. [새천년의 아침 조형물] 도청으로 들어가는 문은 3곳이 있는데... 동문과 서문 중앙에 있는 경화문(솟을삼문)이다. 정문인 경화문은 솟을 삼문으로 전통건축 양식인 목조결구 방식으로 지은 건축물로 도민의 화합을 이끄는 문이란 뜻으로 '慶和門(경화문)'이라 지었다 한다. [박근혜대통령의 친필 글씨 경상북도청 표석비] 새로운 관광명소로 부각된 신청사가 전국적인 인기몰이를 하는 바람에 일손이 바빠졌다 합니다. 정문에는 방문객안내소를 설치하고, 청사 안내 해설사도 6명에서 9명으로 늘렸다. [경북도청] 경화문을 들어서면 새마을 광장 그리고 화랑 건물이 자리..
2016.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