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러보기(204)
-
교육 역사 박물관이 된 선교사 블레어 주택 2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42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26호 [동산병원 근대로의 여행(골목투어) 입구] [골목길에서 담은 교육 역사 박물관 전경] 며칠전 들렸지만, 내부를 볼수 없었기에.. 행여나 하고 근처를 지나치다 다시 들렸다. [아랫쪽에서 담은 교육 역사 박물관(선교사 블레어 주택)] [교육 역사 박물관 안내팻말] 초록발판위에 신발들이 가지련히 놓여 있는게 눈에 띄었다. 살며시 문을 열어 보았더니 열린다. 오메 좋은거~~~ [문 우측으로 보이는 박물관 내부 전경] [뻥튀기 기계] 압력이 걸려 있는 용기에 쌀을 넣고 밀폐시켜 가열하면 용기 속의 압력이 올라간다. 이때 뚜껑을 갑자기 열면 압력이 급히 떨어져서 쌀알이 수 배로 부풀게 된다. 이것을 튀긴쌀 또는 膨化米(팽화미)라 한다. 이 때..
2017.02.08 -
교육 역사 박물관이 된 선교사 블레어 주택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42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26호 [선교사 블레어 주택(교육 역사 박물관) 전경] 블레어 주택은 선교사 블레어(Blair)와 라이스(Rice)가 살던 일제 강점기의 건물이다. 1989년 6월 15일에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교육 역사 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안내판 글 내용] [선교사 블레어 주택 안내표석] 이 집은 외관상 같은 시기 미국의 방가로등에 가까운 양식주거 건물로서 지금까지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곳은 문이 닫혀 있어서 내부를 둘러 볼 수 없었다. [블레어 주택 앞쪽 장독대 전경] 선교사 주택 앞쪽의 장독대가 신기하였다. 그들도 장독대를 실제로 이용하였을까? 아니면 전시용? [선교사 블레어 주택 전경] 청라언덕 바로 옆..
2017.02.07 -
의료박물관이 된 선교사 챔니스 주택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42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5호 [선교사 챔니스 주택(의료박물관) 전경] [선교사 챔니스 주택 표석] [안내팻말과 챔니스 주택(의료박물관)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의료박물관이 된 선교사 챔니스 주택] 선교사 Reiner가 살던 집으로 1910년경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Reiner 후로 Chamness, Sawtell 등의 선교사가 살았으며, (1984~1993)까지는 동산병원 의료원장인 H.F Moffett가 거주 하였었다. 현재는 의료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醫療博物館(의료박물관) 현판] [의료 선교 박물관 안내 글 내용] 박물관(주택) 내부는 1층과 2층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러나, 2층은 건물 노후와 관람객 안전을 위해 폐쇄하니 올라가지 말라는 안..
2017.02.06 -
韓國大邱 華僑小學(한국대구 화교소학)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종로2가 31 [韓國大邱 華僑小學(한국대구 화교소학) 현판] [韓國大邱 華僑小學(한국대구 화교소학) 전경] 서울의 종로와 똑같은 이름의 거리가 대구에도 있다. 대구의 종로는 한때 이 지역을 대표했던 거리였고, '종을 쳐서 시간을 알리는 종루가 있던 거리'라는 의미를 간직하고 있다. 대구 중구 종로거리를 따라 100여m를 걸어가다 보면 한문으로 '國大邱 華僑小學'라 쓰인 이국적인 건물이 보인다. 바로 대구화교소학교이다. [한국대구화교소학교 교문] 붉은색 대문을 들어서면 좌우로 진시황과 중국의 유명인사들을 벽화로 그려놓은 터널을 지나면 곧장 화교소학교로 이어진다. [대구화교협회 안내 글 내용] [홍무제와 당태종 벽화 전경] [입구쪽에서 담은 노자와 공자 벽화 전경] [출구쪽에서 담..
2017.02.04 -
대구의 몽마르뜨 靑蘿(청라)언덕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424 [청라언덕 안내팻말] 대구의 '몽마르뜨'라 불리는 '청라언덕' 울창한 숲, 고풍스러운 건물, 선교사 묘역 등이 이국적인 정취를 풍긴다. [입구쪽에서 담은 청라언덕 전경] '동무생각'의 작곡자는 박태준, 작사가는 노산 이은상이다. 가사에 나오는 청라언덕은 푸른 靑(청) 담쟁이 蘿(라)가 우거진 언덕이란 뜻이다. 백합 같은 내 동무는 박태준이 짝사랑했던 여고생이라고 한다. [대구 동산병원 구관 현관 전경] 이 현관(porch)은 제중원(1899)을 전신으로 한 대구 동산병원의 구관 중앙 입구이다. 대구 동산병원 구관은 제2대 동산병원장 플랫쳐(Archibald G.Fetcher)가 1931년 신축했으며, 2002년 5월31일 등록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었다. 대구 동..
2017.02.03 -
대구 제일 교회 내 현제명 나무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34 대구제일교회내 [우측에서 담은 玄濟明(현제명) 나무 전경] 玄石(현석) 玄濟明(현제명) 대구 출신의 성악가이자 작곡가 일제 말기와 해방직후 활발한 음악활동을 펼쳤다. 1931년에는 조선음악가 협회를 창립하고 이사장이 되었다. 그는 같은 해에 '현제명 작곡집 제1집'을 펴낸다. '현제명 작곡집 제2집'은 1933년에 나온다. 1940년에는 일제에 의해 연희전문학교 교원의 직위를 잃게 된다. 일제 말의 어둠의 시기에 그는 일본에 기울게 된다. [안내판] 수종 : 이팝나무 수령 약 200년 [玄濟明(현제명) 나무] 그의 노래들은 중고등학교 교과서 등을 통해서 해방 후 널리 불려졌다. '고향생각', '그 집 앞', '산들바람', '희망의 나라로', '나물 캐는 처녀' 등..
2017.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