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러보기(204)
-
관덕정순교기념관 사료전시실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입구에서 담은 사료전시실 전경] 중앙의 원형전시관 둘레에는 한국천주교 순교사 및 대구대교구 순교사가 정리되어 있다. 전시대 안에는 대구의 순교자들과 관련된 자료, 유물, 책자 등을 볼 수 있다. [성 바오로 사도의 유해] 향로, 성반 여러종류의 향동, 미사종, 한숟가락, 미사종, 성반, 주수병 등이 전시되어 있다. 2층 사료전시실에는 한티, 신나무골 등 교우촌과 초창기 교회, 순교자들이 쓰시던 유물, 각종 성물, 서적, 교리서, 기도서 등이 전시되어 있다. [첫 영성체 모습(김복연 M. 막달레나, 20C초)] [박해시대의 서책자료와 대구대교구 시복, 시성 운동 사진 자료 등] [洪儒漢(홍유한, 1726~1785)의 서한] [한국 천주교회사 및 대구 순교사 연표] 2층 ..
2017.02.24 -
전통인형으로 빚은 대구대교구 순교사 전시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전통인형으로 빚은 대구대교구 순교사 전시관] [전통인형으로 빚은 대구대교구 순교사 전시관 입구] [상주진영에서의 문초] 순조 27년 정해년(1827) 상주 고을 앵무동, 멍예목, 곰직이 등의 신자촌에서 붙잡혀 온 신자들이 상주진영에서 문초당하는 모습 [경상감영 옥중에서의 기도생활] 순조15 을해년(1815)의 박해로 청송 노래산 진보 머루산, 영양 우련전, 영양 곧은정 신자촌에서 잡혀온 신자들이 옥중에서 기도하는 모습 [청송 노래산의 부활첨례] 순조15년 을해년(1815) 신유대박해를 피해 노래산 신자촌에서 은거생활을 하던 경상도 지방의 초대 교유들이 부활축일을 지내고 있는 모습 [안내글 내용] [정면에서 담은 관덕당 형장] 고종3 병인년(1866) 문경의 여우목 신자..
2017.02.23 -
대구 觀德亭殉敎紀念館(관덕정순교기념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관덕정순교기념관 전경] 순교기념관이 세워진 이곳은 아미산이라고 불리던 언덕바지 땅으로서 조선시대 사상범을 처형하던 형장이었으며,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가 처형된 곳도 바로 이 곳이라 한다. [관덕정순교기념관] 을해박해(1815년), 정해박해(1827년), 기해박해(1839년), 병인박해(1866년) 때 천주교인 25명이 이곳에서 처형되었으며, 대구의 경상감영 옥사에서 순교한 이들도 31명에 이른다고 한다. [천주교 성지 관덕정순교기념관 오르는 계단] [성 이윤일 요한 동상] 계단을 오르면 실내로 들어가기 전 입구 왼쪽에 자리하고 있는 동상은 성 이윤일 요한으로 1866년 12월26일 이곳 관덕정에서 순교하신 분으로 이유일 요한이 시성되면서 관덕정 순교성지의 모습이 갖추어..
2017.02.22 -
大邱第一敎會(대구제일교회)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234번지 [계산성당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계산오거리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조선 말기의 설립된 오래된 교회이며 미국 베위량이 1893년 대구를 방문하여 개척 전도를 하면서 예배를 시작한 것이 시초이고 1897년 선교사 아니와가 정착하면서 본격적으로 교회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건널목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대구제일교회 안내판 전경] [안내판 글 내용] [안내판 영문 글 내용] [선교 박물관(선교사 스윗즈 주택)과 제일교회 전경] [영남신학대학교 옛터 기념비 전경] [영남신학대학교 옛터 기념비 글 내용] [선교 박물관 옆쪽에서 담은 제일교회 전경] 경북 및 대구 지역 최초의 개신교회이며 대구제일교회에서 분리된 교회만 20여개가 넘으며 대한예수교장로회가 분열 됭..
2017.02.21 -
대구 3.1운동 길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3.1운동 길 90계단위에서 담은 앞쪽 전경] 3.1운동 90계단길을 오르면 서문시장으로 연결되는 3.1운동길로 이어진다. [바닥에 새겨진 근대로의 여행 안내도] [3.1운동 길] 대구 만세운동 거사의 첫 집결지는 동산언덕 3.1운동길 솔밭이었고, 최종 거사 출발장소는 섬유회관 앞 당시 큰장 입구 소금집 달구지 위였다. [3.1운동 길 굴다리] 남산교회 김태련 조사의 독립선언문 낭독과 제일교회 이만집 목사의 독립만세 삼창으로 시작된 대구3.1만세운동은 요원의 불길같이 번져 교회와 교회를 통하여 경북 각 지역에 전파되었으며, 4월말까지 산발적으로 일어났다. [굴다리 아래 삼일운동 벽화] 대구의 3.1독립운동은 다른 도시와 달리 기독교 기관이 주축이 된 거사였으며, 당시 ..
2017.02.20 -
대구 3.1만세길(90계단)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성내2동 [쌈지공원에서 담은 90계단 3.1 만세길 전경] [안내팻말] [90계단 3.1 만세길] 계단의 수가 모두 아흔 개라 해서 '90계단'으로 불리는 이곳은 1919년 1000여 명의 학생들이 이 길을 통해 서문시장으로 나가 독립만세를 외쳤다고해서 '3.1만세길'로 불리기도 한다. [좌측 90계단 3.1 운동길 전경] [우측 90계단 3.1 운동길 전경] 대구의 생활상과 일본에 항거하는 대구 시민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이 90계단 3.1 운동길 벽면에 전시되어 있다. 담아온 사진들을 아래에 소개합니다. [계산성당과 대구전경] [교남기독청년회] [대구고보] [현 계성학교에서 본 서문시장] [백립을 쓴 상인(서문시장)] [천황당 못자리에 서문시장 형성] [신명여고] [계성학교..
2017.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