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 효. 열(14)
-
鄭文孚將軍(정문부장군) 墓(묘)와 忠德祠(충덕사)
소재지 :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동 379-32 경기기념물 제37호 [송산재 충덕사 정문부장군 묘 안내팻말] [송산재 충덕사 정문부장군 묘로 가는 출입구 전경] 鄭文孚(정문부, 1565~1624)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壬辰亂(임진란) 일등 공신 우찬성 대제학 의병장이다. 본관 海州(해주), 자 子虛(자허), 호 農圃(농포), 시호 忠毅(충의)이다. 기념비로 北關大捷碑(북관대첩비)가 있다. [정문부 선생 신도비와 북관대첩비 전경] 1565년 한성부에서 부사 鄭愼(정신)의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경기도관찰사를 지낸 鄭彦慤(정언각)이며, 할머니는 이조판서 申公濟(신공제)의 셋째 딸이다. [안내판 글 포토스케이브포 이어붙이기 편집 내용] [좌측 신도비각과 우측 북관대첩비 전경] [북관대첩비와 안내판 전경]..
2019.08.26 -
靜庵(정암) 趙光祖(조광조) 선생 流配地(유배지)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 174 전라남도기념물 제41호 [정암 조광조 선생 적려유허비 출입구 와 안내판 전경] [정암 조광조 선생 적려유허비 안내판 글 내용] [愛憂堂(애우당) 현판] 愛憂堂(애우당) 현판은 後學(후학) 李炳玹(이병현)의 글씨라 합니다. [입구쪽에서 담은 애우당 옆 전경] 謫廬(적려)란 귀양 또는 유배되어 갔던 곳을 이르며, 유허비는 한 인물의 옛 자취를 밝히어 후세에 알리고자 세워두는 비를 말하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중종 때 이곳에 유배당한 조광조 선생의 옛 자취를 기록해 두고 있다. [우측에서 담은 애우당 전경] 愛憂堂(애우당)은 정암조광조 선생이 사약을 받은 자리라고 전해지며 그 자리에 건물을 세웠다 합니다. 정면 5칸 측면 2칸에 맞배지붕에 가운데 마루를 둔 구..
2019.07.23 -
原州(원주) 忠烈祠(충렬사)
소재지 : 강원도 원주시 행구동 402-3 [충렬사와 운곡 원천석 묘역 가는 갈림길 전경] 운곡 선생의 묘역에 들리려면 이곳을 통과해서 조금 더 올라가야 하며, 우측으로 원주 충렬사로 오르는 돌계단이 있습니다. [우측 충렬사 오르는 입구 전경] 忠烈(충렬)은 '충성스러운 열사'라는 뜻이며, 따라서 충렬사에 봉안된 사람들은 대부분 외적의 침입 등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앞장서 나라를 구한 인물들을 모신 곳이기도 하다. '忠烈祠(충렬사)'는 사당 현판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현판 중 하나이다. [관리사무소와 화장실] 향교 같은 교육기관에 있는 사당은 거의 일률적으로 '大成殿(대성전)'이란 현판이 붙지만, 홀로 세워진 사당은 다양한 현판 이름이 있다. 그 중 가장 흔한 것이 '忠烈祠(충렬사)'라 ..
2019.05.13 -
의사 귀헌 姜克敬(강극경) 遺墟碑(유허비)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구암리 [同福吳氏世葬山(동복오씨세장산) 표석비 와 김삿갓 시비 전경] 이곳에 김삿갓문학동산이 자리하고 있으며, 난고 김병연 김삿갓의 다양한 시비를 만날 수 있으며, 시비가 끝나는 곳에는 義士(의사) 龜軒(귀헌) 姜克敬(강극경) 遺墟碑(유허비)를 만날 수 있습니다. 혹 김삿갓 문학동산의 시비를 보시지 못하셨다면 요기 클릭 또 요기 하셔서 1편과 2편으로 나누어 올린 게시물을 보셔요. [同福吳氏世葬山(동복오씨세장산) 표석비] 世葬山(세장산) : 대대로 묘를 쓰고 조상을 매장하는 산 [의사 귀헌 강극경 사적비 안내석 전경] [의사 귀헌 강극경 사적비 안내글 내용] [의사 귀헌 강극경 사적 안내비 뒷면 글 내용] [義士龜軒姜公遺墟碑(의사귀헌강공유허비)] 姜克敬(강극경 , 156..
2019.05.01 -
2.28 민주운동 기념회관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2113-10 [2.28 민주운동 기념회관 현판] [2.28 민주운동 기념회관 전경] [대구사랑 대구자랑 2.28민주운동 안내 글 내용] [2.29민주운동기념동산 안내 글 내용] [2.28민주운동 기념회관 출입구 전경] [전시실 안내도] 1층엔 기념관으로 2,3층은 도서관, 4층은 복합문화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민주운동의 문을 열다] 독재와 불의에 항거한 2.28 민주의거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2013년에 개관. [횃불 조각 작품] 1층 전시실 입구로 사람이 들어가면 횃불에 불이 들어온다. 2.28 민주운동은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사에 있어 첫 횃불을 상징한다. [2.28민주운동 벽화] 당시 운동을 주도하였던 학생들의 모습이 벽화처럼 벽에 새겨져 있다. [횃불을..
2019.02.28 -
국채보상운동 112주년 기념전시회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187 [대구문화예술회관 1층 4전시실 출입구 전경] 국채보상운동은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화 하기 위해 정치. 군사적 침략과 어울러 경제적 침략을 단행하자 이에 대항해 경제적인 자주권을 회복하여 국권을 수호하자는 운동이다. 러일전쟁에서의 승리와 을사5조약 등을 통해 한반도에서 정치. 군사적 지배권을 확보한 일본은 한국의 경제를 식민지화하기 위해 차관을 강요 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1905년부터 1910년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대일부채는 4,500만원에 달하였다. 이런 막대한 차관은 한국의 경제발전을 위해 들어 온 것이 아니라,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화하는데 사용될 일제의 식민지 건설비용을 모두 한국 정부에 전가시키기 위한 계략이었다. 국채보상운동은 이와 같은 차관의 이면..
2019.02.27